• 제목/요약/키워드: J. Decipien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검정납작골풀(골풀과): 한국 미기록 식물 (Juncus fauriei Lév. & Vaniot (Juncaceae): a new record in Korea)

  • 김성민;조양훈;김종환;심상득;김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30-334
    • /
    • 2012
  • 골풀과의 골풀속에 속하는 Juncus fauriei L$\acute{e}$v. & Vaniot는 일본과 러시아에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는 종인데, 강원도의 하조대 해안가 사구 습지에서 이를 발견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 식물은 줄기의 단면이 납작하고 주로 나선상으로 꼬여있고, 화피편의 가장자리가 검은색을 띄는 특징으로 국내 골풀속 내의 section Juncotypus에 속하는 근연 종인, J. decipiens (골풀), J. setchuensis (푸른갯골풀), J. haenkei (갯골풀), J. brachyspathus (참골풀)와 확연하게 구분 된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국명을 '검정납작골풀'로 신칭하였고, 이 분류군의 사진 및 형질에 대한 기재, 근연 분류군들과 구분할 수 있는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Taxonomic assessment of North American species of the genera Cumathamnion, Delesseria, Membranoptera and Pantoneura (Delesseriaceae, Rhodophyta) using molecular data

  • Wynne, Michael J.;Saunders, Gary W.
    • ALGAE
    • /
    • 제27권3호
    • /
    • pp.155-173
    • /
    • 2012
  • Evidence from molecular data supports the close taxonomic relationship of the two North Pacific species Delesseria decipiens and D. serrulata with Cumathamnion, up to now a monotypic genus known only from northern California, rather than with D. sanguinea, the type of the genus Delesseria and known only from the northeastern North Atlantic. The transfers of D. decipiens and D. serrulata into Cumathamnion are effected. Molecular data also reveal that what has passed as Membranoptera alata in the northwestern North Atlantic is distinct at the species level from northeastern North Atlantic (European) material; M. alata has a type locality in England. Multiple collections of Membranoptera and Pantoneura fabriciana on the North American coast of the North Atlantic prove to be identical for the three markers that have been sequenced, and the name Membranoptera fabriciana (Lyngbye) comb. nov. is proposed for them. Many collections of Membranoptera from the northeastern North Pacific (predominantly British Columbia), although representing the morphologies of several species that have been previously recognized, are genetically assignable to a single group for which the oldest name applicable is M. platyphylla.

이뇨성(利尿性) 생약(生藥)의 약리학적(藥理學的) 연구(硏究) (A pharmacological Study of Diuretic Medicinal Plants)

  • 안영란;김학성;박정섭
    • 생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9-102
    • /
    • 1978
  • Several kinds of medicinal plants are used as diuretics in folk medicines and oriental drugs. The diuretic action of water extracts of the ten kinds of crude drugs, such as Pachyma hoelen $R_{UMPHIUS}$ Zea mays L., Akebia quinata $D_{ECAISNE}$, Alisma orientale Juzepezuk, Atractylodes koreana $N_{AKAI}$, phytolacca americana L., Achyranthes japo-nica $N_{AKAI}$, Juncus decipiens $N_{AKAI}$, Prunella asiatica $N_{AKAI}$ and Artemisia capillaris $T_{HUNBERG}$ was examined in mouse and compared with aminophylline as a contro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urine volume was found to be remarkably increased by the Pachyma hoelen RUMPHIUS, Phytolacca americana L., Prunella asiatica $N_{AKAI}$ and Artemisia capillaris $T_{HUNBERG}$, moderately increased by the Akebia quinata $D_{ECAISNE}$, Achyranthes japonica $N_{AKAI}$ and Juncus decipiens $N_{AKAI}$, and slightly increased by Zea mays $L_{ENNE}$, Alisma orientale $J_{UZFPEZUK}$ and Atractylodes koreana $N_{AKAI}$.

  • PDF

농경작지 식생의 군란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연구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 김종원;남화경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3호
    • /
    • pp.203-215
    • /
    • 1998
  • The weed vegetion of the rice fields in south Korea was researched in terms of syntaxonomy and synecology. Total 186 releves were analyzed by the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10 syntaxa were recognized: Stellario-Alopecuretum amurensis ass. nov. hoc loco, Alopecuro-Ranunculetum scelerati Miyawaki et Okuda 1972, Hemistepto-Capsellietum bursa-pastoriae ass. nov. hoc loco, Oryza sativa-Echinochloa crusgalli community, Sagittario-Monochorietum plantaginea Miyawaki 1960, Cyperus iria community, Hyperico-Juncetum decipiens ass. nov. hoc. loco, Spirodela-Lemna paucicostata community, Lemno-Salvinetum natans Miyawaki et J. Tuxen 1960. The Oryzo-Echinochloion oryzoides Bolos et Masclans 1955 and the Alopecurion amurensis Miyawaki et Okuda 1972 are representative of the summer annual plant community and the winter annual plant community. It was emphasized that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study on the ruderal and segetal weed vegetation in Korea should be accomplished in consideration of bioclimatic condition of summer monsoon climate of Korean Peninsula.

  • PDF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의 중금속(重金屬) 존재형태(存在形態)와 함량조사(含量調査)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and the Existential Form of Heavy Metals in Plants and Soils surrounding Ruined Mine)

  • 정상섭;박창동;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1권
    • /
    • pp.111-120
    • /
    • 1993
  • 폐광산(廢鑛山) 주변(周邊)의 토양(土壤) 및 식물체(植物體)에 존재(存在)하는 중금속(重金屬)과 그들의 토양(土壤)에서의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다. 토양(土壤) 중(中)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Mn을 제외(除外)하고 A토양(土壤)에서 제일 많았고, Mn은 B토양(土壤)에서 함량(含量)이 제일 높았다. 존재형태(存在形態)에 따른 각 중금속(重金屬)의 함량(含量)은 각 원소별(元素別)로 차이가 있었는데, 즉 Cd와 As는 유기태(有機態), Cu와 Pb 및 Mn은 Carbonate태(態), Fe와 Zn은 잔사태(殘渣態)가 다른 형태(形態)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참억새와 골풀은 각각 75%와 15% 정도(程度)로 서식(棲息)하고 있었으며, 이는 이들 식물(植物)들이 중금속(重金屬)에 대해 내성(耐性)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억새와 골풀에 분포(分布)되어 있는 중금속(重金屬)은 Mn을 제외하고 줄기보다는 뿌리에 더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참억새의 경우 Zn은 줄기와 뿌리에 비슷하게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周邊) 용수(用水)의 분석(分析) 결과(結果) 침출수(浸出水)에서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이 높게 나타났으며, Fe와 Mn 및 Zn이 많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The Riparian Vegetation of Close-to-Nature River${\cdot}$Streams in Korea

  • Kim, Chul;Yang, Hyo-Si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4-241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riparian vegetation of the 6 river${\cdot}$stream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nineteen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A: Salix koreensis community, B: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C: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D: Amorpha fluticosa community, E: Brousonnetia papyrifera community, F: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G: Rubus corchorifolius community, H: Phramities japonica community, I: Phramites communis community, J: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K: Miscanthus sine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L: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ommunity, M: Humulus japonicus community, N: Zoysia japonica community, O: In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P: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community, Q: Junco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R: Rumex crispus community, S: 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versides was recovered in the surveyed results according to river${\cdot}$stream basin, in other words, 10 communities in the upper river${\cdot}$stream riparian, 15 communities in the middle river${\cdot}$stream riparian, 10 communities in the down river${\cdot}$stream riparian. Th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in the upper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was analyzed by common community of the 6 river${\cdot}$stream riparian, respectively, but none in the middle. The standing profile of vegetation across 6 river${\cdot}$stream was seen stepwis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shrub community by natural waterway in the upper,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Rumex crisp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in the middl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The differences of distributional featurs of vegetation emerged from the riparian of the 6 river${\cdot}$stream, but don't from the 6 river${\cdot}$stream.

정족산 무제치늪 식물의 무기이온, 질소 및 인의 양상 (The Patterns of Inorganic Cations, Nitrogen and Phosphorus of Plants in Moojechi Moor on Mt. Jeongjok.)

  • 배정진;추연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09-114
    • /
    • 2003
  • 고층습지식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한 정족산 무제치늪에 서식하는 14과 22종의 식물을 대상으로 체내 무기양이온(K, Ca, Mg), 중금속이온(Al, Fe, Mn), 질소 및 인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무제치의 물은 15∼30 μ S/cm의 전기전도도(EC)와 pH 5.0∼5.6 (토양 4.3∼5.1)의 산도를 나타내었으며, Ca, Mg과 같은 2가 양이온의 함량이 낮은 반면 높은 중금속함량(특히 Al)을 보여 전형적인 산성토양의 특성을 보였다. 조사된 습지식물은 무기양이온함량에 있어 종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풀, 진퍼리새, 기장대풀, 억새, 진달래, 산철쭉, 개미탑, 끈끈이주걱은 400 μ Mg DW 이하의 매우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동의나물, 숫잔대, 산제비난, 멱쇠채, 제비꽃, 바디나물은 체내 높은 무기양이 온 함량을 보였다. 특히 국화과의 멱쇠채와 제비꽃과의 제비꽃은 Ca과 Mg을 축적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오이풀과 꽃창포의 무기양이온 함량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조사된 대부분의 식물들은 토양의 높은 중금속 함량에도 불구하고 체내 낮은 농도의 중금속을 함유하였으며, 축적된 총 중금속함량 및 조성은 식물 종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낮은 질소 및 인 함량에도 불구하고 조사된 대부분의 식물종들은 생육초기단계에 있어 비교적 높은 질소 및 인 함유하였으며,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무제치늪에 서식하는 식물종들은 생육초기에 무기양이온 및 질소를 축적하고 생육과정에 이를 재이용하고, 중금속을 배제하는 기작을 발달시킴으로서 빈영양의 산성 환경을 극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Flora and Life Form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 김명현;한민수;최철만;방혜선;정명표;나영은;강기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6-213
    • /
    • 2010
  •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 서식지의 환경과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환경적 특성은 상관이 수목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즉 직사광선이 차단되지 않는 개방된 습지로써 연중 물이 마르지 않고 수심 2-10 cm정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수질분석결과 pH와 EC는 매우 넓은 범위의 값을 나타냈고, T-N과 T-P는 매우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수질이 꼬마잠자리의 서식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마잠자리 서식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35과 60속 67종 2아종 14변종 3품종으로 총 86분류군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별로는 사초과와 벼과가 가장 많이 차지했다. 조사지역 간 공통으로 출현한 식물종은 쇠뜨기, 버드나무, 고마리, 벼룩나물, 좀고추나물, 매듭풀, 바늘꽃, 미나리, 쥐깨풀, 통발, 질경이, 골등골나물, 별날개골풀, 골풀, 청비녀골풀, 사마귀풀, 뚝새풀, 조개풀, 도깨비사초, 방동사니대가리, 쇠털골, 바늘골로 총 22분류군이었다. 출현한 관속식물의 생활 조성을 살펴보면, 휴면형은 HH형이 39분류군(45.3%), 번식형에서 지하기관형은 R5가 42분류군(48.8%), 산포기관형은 중력산포형(D4)이 59분류군(68.6%), 생육형은 직립형(e)과 총생형(t)이 각각 23분류군(26.7%)으로 조사되어 꼬마잠자리 서식지의 생물학적 유형(biological type)은 HH-R5-D4-e(t)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