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em difficulty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7초

치과기공소의 작업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Laboratory's Working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 권은자;한민수;오선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1-22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ntal laboratory's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level and to examine its correlation. Methods: 180 dental technicians in Seoul, Incheon, and Chungnam area were selecte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6, 2009 to May 20, 2009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 for the tools for this stud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with its proven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d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consisted of 43 questions on the basis of related referenc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32 questions which included general attribute of subjects(14 questions), working Environment(20 questions) and turnover intention(9 questions). The data analysis was processed by computerized system with SPSS 12.0.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T-test, F-tes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working environment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tem of health(P<0.05). The average in the working environment was indicated to be high with 1.5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turnover intention level, there was difference in the item of working hours a day(Hour), job satisfaction level, plan for task continuity, most difficulty given task(P<0.05). The average of turnover intention was indicated to be high with 2.85. Conclusion: Correlation between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most of variables were indicated to have reverse correlation, thereby having been shown that the worse working environment leads to the more turnover intention.

우울증상에 대한 심리척도의 유용성에 대한 기초연구 -비우울증, 화병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liminary Study on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Scale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 최우창;김나현;최승원;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3-372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s in depression symptoms as compared with non-depressions and hwabyung. Methods: A total of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and hwabyung,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CL-90-R, BDI, STAI, STAXI, ISI, HRSD, 20-Item Alexithymia Scale, BSDS and NEO-PI. Thereafter, th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1) In the results of SCL-90-R, the PST score group of hwa-byung group withou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from the depression group without hwa-byung. 2) In the results of NEO-PI, the NEO-PI-O score of hwa-byung group without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from the depression group without hwa-byung. 3) In the results of 20-Item Alexithymia Scale, the total score and score of difficulty for identifying feelings scale from the depress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compared to the score of non depression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found are expected to serve as a useful resource for future studies when developing the instruments of oriental medical evaluations for hwa-byung.

현직 수학교사 문항 개발 연수의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o Improv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53-267
    • /
    • 2014
  • 교사의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은 자동적으로 개발되지 않으며 실습을 통해서 개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 문항 개발 연수가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에 효과에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수에 참여한 수학 교사들이 문항 개발에 대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연수 과정을 구성하였고, 연수 전과 후로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평가지, 문항 검토 의견서를 작성하게 하고, 연수 후에 일부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스스로 판단하기에 문항 개발 연수는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표준화 검사에 대한 이해와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검토 의견을 제시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짧은 연수시간은 연수의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이었고, 팀내 토론과 팀간 토론 과정, 강사의 피드백,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부족의 자각은 효과적인 요인이었다.

  • PDF

남성 휠체어 장애인의 정장 개발을 위한 의복 착용실태 및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Wearing Apparel Conditions and Clothing Preferences for Development of a Suit for Disabled Males in Wheelchairs)

  • 이재향;양정은;박광애;박장운;유희천;배수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33-74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inconvenience in existing ready-made clothes and clothing preferences through a survey of 197 wheelchair-bound males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suit that consider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in wheelchairs for improved quality of living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the 30s to 40s age group was the largest at 71.6%.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y was myelopathy at 72.6%. Also 59.9% of respondents had a job and ongoing external and social activities. As for the duration of wheelchair use, 10-20 years was the longest at 40.6%. It was found from the survey that respondents felt inconvenienced with existing clothes and changing pants was most inconvenient. Most experienced having their clothes altered due to the difficulty in finding well-fitting ones; consequently, the length of pants was the most altered item because pants are based on the size of a standing man and there exists a discrepancy in length due to the atrophy of the legs of the disabled. They preferred one style in general for clothing preferences as well as common design and details as well. However, they preferred a style with a short front and long back due to a discomfort in jacket length. A short length was the most complained about pants item.

3차원 국토지하정보 DB설계 및 활용성 검토를 통한 지식기반 커뮤니티 구축 방안 (The Establishment Plan of Knowledge-Based Community through the 3-D National Underground Information DB Design and Utilization Review)

  • 송석진;장용구;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3-70
    • /
    • 2011
  •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공간정보체계 사업은 기존의 2차원 지리정보에서 3차원 공간정보를 기본 지형공간정보로 확장되고 있다. 지상 지형공간정보의 구축은 대부분 완료하거나 진행 중에 있는 반면에, 지하특성을 나타내는 시추자료 등의 부족으로 지하 지형공간정보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하의 지형공간정보 구축 측면에서는, 국내의 기관별로 지하정보를 구축 및 관리하고 있으나, 기관별로 보유하고 있는 지하정보는 상호 공유되지 않아 비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정보 구축 효율성을 높이는 일환으로, 지반의 상태를 구성하는 지반 DB항목과 지질의 상태를 구성하는 지질 DB항목으로 나누어 3차원 국토지하정보 DB설계를 제시하였다. 구축된 DB를 실제 모델지역에 적용하여, 국토지하정보 활용 기술 구현 및 활용성을 검토하고, 국토지하정보 지식 기반 커뮤니티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원자력발전소 전기기기의 보수, 교체 방법론 (Repair and Replacement Methodology for Electrical Equipment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 박철희;박완규;이만복;김춘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77-179
    • /
    • 2018
  •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 at 2011, nuclear industrial has been focused on 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 not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Continued good operating performance of nuclear power plants has been the best critical issue to nuclear utilities. Replacement for complete components as well as parts of components is being procured because nuclear utilities must maintain safety and reliability of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However, many suppliers and manufacturers are giving up a nuclear quality assurance program under reduction in new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t is able to be increased difficulty in procuring spare parts to support operations and maintenance of nuclear power plants. Over 20% of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in some countries is obsolete. Owing to obsolescence of nuclear safety-related items and/or withdrawing a nuclear quality assurance program of suppliers and manufactures, some replacement item and part might be procured to the item not covered by appendix B to USNRC 10 CFR Part 50. Under various methods of the nuclear repair and replacement methodology, utilities are supposed to establish a typical program for a repair and replacement of an electrical equipment and its parts in conjunction with a nuclear quality assurance. Concerning this typical program, this study suggests the repair and replacement methodology of electrical equipments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by procurement of a power supply, based on nuclear regulations, codes, standards, guidelines, specific and general technical information, etc..

  • PD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Hong, Jeong-Ju;Song, Chung-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7-155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basic materials for effective education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d empirical base supporting the strengthening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with nursing college students ready for an employ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knowledge level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against the clinical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ē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in SPSS WIN 21.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knowledge level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received a score of 88.95. 'Admission management' item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4.96 point on a 5 point scale while 'Retention urinary catheterization' item received the lowest score of 3.06. The higher the difficulty level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was, the lower the knowledge level of it was. 2) The satisfaction against the clinical practice received a score of 3.28. In the clinical practice area, the satisfaction against the curriculum received a score of 3.84, the satisfaction against clinical practice contents a score of 3.39, the satisfaction against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 score of 3.17, the satisfaction against clinical practice time a score of 3.1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level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systematic education of essential basic nursing skills could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against the clinical practice.

객관식 선다형문항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uessing on the Correct Answer in a Multiple Choice)

  • 권보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9-36
    • /
    • 2020
  • 학생의 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항들이 평가도구로 사용되었다. 그 중에 선다형 문항은 채점에 있어서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지만 추측의 요인을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선다형 문항을 질문지와 선택지 사이의 관계에 따라 2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하나는 선택지 k개에 대해 추측의 확률이 1/k인 기존의 고전검사이론에서 사용하는 유형이며 다른 하나는 부분적 지식이라는 개념을 도입한 유형이다, 제안한 유형에서 부분적 지식의 개수가 i일 때 추측의 확률을 (i+1)/k인 유형이다. 기존 이론에서의 문항 추측도를 기초하여 제안된 유형에 대한 문항 추측도를 유도하였다. 이를 기존의 유형과 제안된 유형에서 추측이 정답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분석하였다. 이는 제안된 유형이 기존의 유형보다 문항 추측도가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전시 군수물자의 효율적 분배와 수송을 위한 TC 위치선정 방법론 연구 (Method of Location Decision far a Transfer Center Distributing a Necessary Resource Item whil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Wartime)

  • 정병호;김익기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4
    • /
    • 2009
  • 전시 공군은 각 지역에 거점부대를 선정하여 해당 지역에서 동원되는 품목별 물자를 인수하고, 물자가 부족한 지역의 거점부대에 잉여물자를 분배하여 전체 부대가 일정한 군수지원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또한, 지역 거점부대는 해당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군소 운영부대들에 대한 DC(Distribution Center)의 역할도 담당하여 지역에서 동원되는 물자들과 타 지역 거점부대로부터 인수한 해당 지역 부족물자들을 군소운영부대에 분배한다. 하지만, 전시 동원물자 수송은 물자가 많이 동원되는 지역의 거점부대가 물자가 적게 동원되는 부대로의 분배 및 수송을 책임지기 때문에 동원물자들의 생산특성에 따라 지역 거점부대별 수송부담의 불균형과 다빈도 수송으로 인한 수송 자산(병력, 수송수단)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공군본부나 군수사령부와 같은 상급부대는 전체적인 동원물자의 분배와 수송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조정 통제하는데 대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지역에 TC(Transfer Center)를 설치하여 물자를 분배하고 수송하는 방법론을 제시고자 한다.

통합 평가치 예측 방안의 협력 필터링 성능 개선 효과 (The Effect of an Integrated Rating Prediction Method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llaborative Filtering)

  • 이수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21-226
    • /
    • 2021
  • 협력 필터링 기반의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평가 이력을 바탕으로 하여 현 사용자가 선호할 만한 상품들을 추천해 주며 현재 다양한 상업용 목적의 필수불가결한 기능이다. 추천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사한 평가 이력을 기반으로 미평가 상품들에 대한 선호 예측치를 산출하는데, 기존 연구에서 대개 두 가지 방법, 즉, 유사 사용자 기반 또는 유사 항목 기반 방법을 각기 개별적으로 활용해 왔다. 이들 방법들은 사용자들의 평가 데이터가 희소할 경우 또는 유사 사용자나 유사 항목을 구하기 어려울 경우에 산출한 예측치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가지 방법을 통합하여 평가치를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장점은 보다 많은 수의 유사 평가치들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추천의 질이 향상된다는 점이다. 성능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희소한 데이터셋에서 예측치 정확도, 추천 항목 적합도, 항목 순위 적합도의 모든 측면에서 기존 방법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다소 밀집한 데이터셋에서는 예측치 정확도 측면에서는 가장 우수하고, 다른 평가 척도에서는 기존 방법과 대등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