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lation of Listeria spp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도계장 유래 닭고기와 부산물 및 환경재료에서 Listeria spp의 분리 및 분리균의 특성 I. Listeria spp의 분리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of Listeria spp from poultry meat, products and environmental specimens in chicken slaughterhouse I. Isolation of Listeria spp)

  • 손원근;강호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7
    • /
    • 1991
  •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trait of listeriosis,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poultry meat, products and environmental specimens in chicken slaughterhouse. Also determined were isolation rates by the different enrichment procedures,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s. In a total of 307 samples including poultry meat, liver, feathers, feces, chiller water, scalding water overflow and slaughterhouse floor, Listeria spp were isolated predominantly from scalding water overflow (90.0%), body skin before washing (66.7%), liver (20.0%) and feathers(15.0%) However, few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body skin after washing and feces. The higher isolation rates were obtained in the secondary enrichment procedure (7.2%) than in the primary enrichment (3.9%); after stored the secondary enrichment cultures for 2 weeks at $4^{\circ}C$, Listeria spp were present in 9.8%. The majority of the isolated Listeria spp were identical to those of the standards strains in biochemical and cultural properties. Overall, Listeria spp were present in 13.4% of the specimens tested, and were in order of prevalence of L innocua(11.1%), L monocytogenes(3.3%), L grayi(0.7%) and L murrayi(0.3%).

  • PDF

돈육가공 작업환경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와 혈청형 분포조사 (Isolation and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Pork Fabrication processing Environment)

  • 홍종해;안상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25-429
    • /
    • 1998
  • 하류 처리물량 20톤 규모의 중급 돈육처리장 3군데를 대상을 장갑, 칼갈이, 칼, 도마, 운송벨트, 박피기, 작업장내 공기, 도체, 부분육의 Listeria monocytogenes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총 시료수는 330건으로 시료는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면봉으로 대상 부위의 표면 100㎠를 채취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업환경 시료 234건 중 Listeria monocytogenes 17.5% 기타 Listeria spp.는 34.2%의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2. 시료별 Listeria monocytogenes 분리율을 장갑 20.8%, 칼갈이 21.3%, 칼 14.6%, 도마 20.8% , 운송벨트 28.6%, 박피기 16.7%이었고, 작업장내 공기에서는 분리되지 않았다. 3. Listeria monocytogenes 오염은 원료육인 도체에서 8.5% 인 반면 최종생산 돈육에서는 14.6%가 검출되어 작업과정에서 오염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5). 4. 작업환경에서 분리한 41건 Listeria monocytogenes 혈청형 분포는 4b 36.6%, 1/2a 24.4%, 4ab 17.0%, 4a 4.9%, 1/2c와 4c는 공히 2.4%이었고, 도체 및 최종생산 원료육에서는 4b, 1/2a, 4ab형이 검출되었다.

  • PDF

동물(젖소)건강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V. 유우의 사육규모에 따른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빈도 (Development of a Model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V. Iso1ation Frequence Of Salmonella sp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airy Cow with different herd size)

  • 김용환;김종수;김곤섭;최민철;이은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0
    • /
    • 2000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isolation frequency of Salmonella sa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fecal samples collected form 33 dairy cow feedlots in West Gyeong-nam province from tan. 179\ulcorner to Feb. 1999.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8.7% of fecal samples and 57.5% of dairy cow feedlots participaiting in this study had at least one positive fecal 7ample. The isolation rates of Salmonella spp. in each herd size were 42.9% in ln less than 125 heads, 63.6% in 25% to 50 heads and 75% in more than 50 heads. Of the positive sample, the most common serogroup recovered was Bl(31.5%), followed by C1 and D(22.9%), C2(16.2%), A(4.2%) and E(2.1%), in order. However,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et detected in the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all feedlots.

  • PDF

Occurrenc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Listeria Species in Turkey Meats

  • Aras, Zeki;Ardic, Mustaf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69-673
    • /
    • 2015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Listeria species in turkey meats and to check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the isolated strains. Hundred and fifteen raw turkey meat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the supermarkets, butchers and restaurants. Strai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were made according to the ISO11290-1 metho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was determined by the standard disc diffusion method. A total of 47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115 (40.9%) raw turkey meat samples. The isolates were distributed between L. monocytogenes (25.53%), L. innocua (34.04%), L. grayi (31.91%) and L. welshimeri (8.51%). A total of 55.3 % of Listeria spp. isolates were multi-resistant to at least 3 of the antimicrobial agent tested. The level of multi-resistance was higher in L. monocytogenes strains (66.7%) than in L. innocua (62.5%) and L. grayi (53.3%). Listeria spp. isolates were highly resistant to ampicillin, cephalothin, penicillin, meticillin, oxacillin, and trimethoprime-sulfamethoxazole. The isolates particularly L. monocytogenes are increasingly resistant to one or more antibiotics and may represent a potential risk for public health because these antibiotics are common used in treatment of listeriosis. The correct and controlled use of antibiotics in veterinary medicine is important to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김밥 전문음식점 내 작업 환경에서의 Listeria spp. 오염의 변화 (Changes of Contamination Level of Listeria spp. during the Processing Environments in Kimbab Restaurants)

  • 김지연;권일경;하승열;홍종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2-236
    • /
    • 2005
  • 김밥은 소비자가 즐겨 찾는 대표적인 RTE식품으로 전문음식점에서의 구입 및 섭취가 증가하면서 안전성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오전과 오후 시간대의 작업 조건에서 Listeria spp. 오염 변화와 관련된 사항을 분석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관리되어야 할 내용을 파악하였다. 전체 264건의 시료 중 Listeria spp.는 114건($43.2\%$)이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Listeria spp. 중 Listeria innocua 95건($83.3\%$), L. murrayi 18건($15.5\%$), L. grayi($0.9\%$)이 분리되었다. 인체 유해균인 Listeria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모든 작업 환경에서 오전보다 오후 시간대의 오염수준이 더 높았으며(P < 0.05), 김밥 제조 과정에서 작업 도구의 세척$\cdot$소독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김밥은 열처리 없이 그대로 섭취하므로 식재료 및 도구의 초기 오염 관리와 제조된 김밥의 보존 온도 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김밥 전문음식점에서의 식재료 준비 단계에서부터 오염 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준비된 식재료의 보관 온도 준수, 도마, 칼, 장갑 등의 세척$\cdot$소독 및 교환 횟수 준수, 식재료 보관 용기가 포함된 김밥 제조대의 오염 차단 설계, 특히 식품 취급 종업원이 위생수칙을 준수하도록 위생관리 지침 및 위생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위생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김밥 전문음식점의 현실에 맞는 Good Hygienic Practices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시판 김밥을 포함한 즉석조리 식품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조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냉장, 냉동 및 포장육 중 식중독균의 분포 및 혈청형 (Prevalence and Serovar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Retail Fresh, Frozen and Packed Meats)

  • 강호조;김용환;석주명;이성미;김종염;정석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7-332
    • /
    • 1999
  • 1996년 3월부터 1998년 10월간에 경남지방 시판 냉장육 888건, 냉동포장육 222건 및 수입 냉동육 117건의 시료로부터 식중독관련 병원균의 분포와 혈청형을 조사하였다. 식중독균의 분리률은 Staphylocorcus aureus. Campylobarter jejuni/coli, Listeria monocytogenes 및 Salmonella spp 순으로 높았고, Escherichia coli O157:H7은 전시료를 통해서 분리되지 않았다. C. jejuni /coli는 냉장육에서 높은 오염률을 나타내고, 냉동포장육에서는 거의 분리되지 않는데 반해서 L. monocytogenes는 냉장육에 이해서 냉동포장 계육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낸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분리균의 혈청형 분포는 Sta. aureus의 경우 대부분이 enterotoxin type C와 D였고, Salmonella spp는 돈육유래균에서 모두 A group이었으며, 계육유래균은 대부분 B와 D group이었다. L. monocytogenes는 계육유래균의 대부분이 type 1 이었고, type 4는 소수로 분리되었다.

  • PDF

국내에서 판매되는 냉동식품으로부터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및 특성조사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Frozen Foods in Korea)

  • 장윤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24-1329
    • /
    • 1999
  • 국내 유통중인 냉동만두와 피자 중 L. monocytogenes의 분포와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8년 8월부터 11월에 걸쳐 시료 72개를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전체 냉동식품 중 9.7%(7개)에서 L. monocytogenes가 분리되었으며 냉동만두 중 11.1%,피자 중 5.6%가 오염되어 있었다. USDA와 FDA방법. 그리고 modified cold enrichment 방법 중 USDA방법이 가장 L. monocytogenes의 분리율이 높았으며 분리된 L. monocytogenes 혈청형은 4였다. PCR실험결과 CAMP test와 API Listeria kit를 사용하여 분리된 균주가 L. monocytogenes임이 확인되었다. USDA방법과 PCR을 이용하여 L. monocytogenes를 분리하고 확인하는데 3-4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분리 및 확인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분리된 L. monocytogenes의 내열성을 조사한 결과 tryptic soy broth에서 D값이 $60^{\circ}C$에서 49.2초, $65^{\circ}C$에서 8.8초였으며 냉동식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L. monocytogenes의 분리율이 높은 식품에서 D값의 측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소규모 돼지도축공정에서 도체오염 미생물의 변화 (Microbial change of pork carcass during processing in small size slaughterhouse)

  • 홍종해;이경환;이성모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37
    • /
    • 2002
  • Major hazards existed in slaughterhouse are pathogenic microorganisms originated from intestinal microflora of slaughtered animals. This study was intend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sources during pork slaughtering in small plants.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group,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Campylobacter jejuni/coli were isolated from the surface sample of pork carcasses. Contamination level among different sampling points of ham, belly and neck did not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Therefore, the mixed sampling from belly and neck of carcass could be effective for microbiological monitoring. Isolation rate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showed Salmonella spp 20.9%, Listeria monocytogenes 10.5%, and Campylobacter jejuni/coli 8.1% from 296 sampling points. High prevalence rate of Salmonella spp indicated that the contamin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occurred due to unsanitary processing control, which required HACCP system in small plan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prerequisite program should be a key factor for a successful HACCP system implementation especially in small size slaughterhouse.

도계장 유래 닭고기와 부산물 및 환경재료에서 Listeria spp의 분리 및 분리균의 특성 II. 분리한 L monocytogenes의 혈청형과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of Listeria spp from poultry meat, products and environmental specimens in chicken slaughterhouse II. Serotyp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L monocytogenes isolates)

  • 손원근;강호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9-284
    • /
    • 1991
  •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aspects of listeriosis, serotypes of L monocytogen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Listeria spp isolated from chicken carcases and chicken slaughter house environmental specimens were determined. Of 28 L monocytogenes strains, 12 strains(42.9%) were serotype 4, and the remaining 16 strains were untypable. Peak distributions of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u}g/ml)$ of the isolates were $0.78{\mu}g/ml$ for ampicillin, $0.39{\mu}g/ml$ for erythromycin and penicillin G, $1.56{\mu}g/ml$ for tetracycline and $6.25{\mu}g/ml$ or $12.5{\mu}g/ml$ for chloramphenicol, and $3.13{\mu}g/ml$ to > $100{\mu}g/ml$ for kanamycin and neomycin. Most of 214 isolates were sensitive to ampicillin and erythromycin, but 20. 1~78. 0% of the strains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e, kanamycin, penicillin-G and neomycin. Single or double drug resistance were observed in 75.8% of the resistant strains.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s were Nm P-G(37.4%) in double pattern and P-G(23.7%) in single pattern.

  • PDF

주요 식중독균 분리용 선택배지의 타당성 연구 (Evaluation of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of Foodborne Bacteria)

  • 조서희;하지형;김근성;심영환;권기성;한정아;황인균;하상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8-394
    • /
    • 2007
  • 본 연구는 현행 식품공전상 제시되어 있는 식중독균 분리배지의 평가를 위해 Salmonella spp.,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의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Broth와 Food에서 시험하였다. Food는 닭고기, 쌀, 돼지고기, 고등어를 대상으로 5가지 식중독균을 접종후 균주의 recovery를 확인하였고. Broth는 5가지 식중독세균용 29가지 분리 선택배지를 사용하였다. Broth에서는 각 세정균에 대한 분리배지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Food에서는 그 차가 크지는 않았으나, 분리선택배지간의 분리능에 통계적 유의차가 존재하였다. 식품공전에 등재된 전통적인 분리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가 Chromogenic 배지 등 새로운 선택배지에서 분리된 균수보다 많았다. 국제적으로 등재된 배지간의 선택성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추후 다양한 배지가 식품공전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