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land tourism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34초

Corona declassified imagery for land use mapping: Application to Koh Chang, Thailand

  • Kusanagi, Michiro;Nogami, Jun;Chemin, Yann;Wandgi, Thinley Jyamtsho;Oo, Kyaw Sann;Rudrappa, Prasad Bauchkar;Hieu, Duong V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91-893
    • /
    • 2003
  • This study uses the images from the Corona ‘spy’ satellite, which have been declassified in November 2002 and available on Internet order for a very low cost. The image used dates from 1973 and has about 6m panchromatic characteristics. Along with a Landsat5TM of 1990 and Aster of 2001, a temporal range of about 30 years is achieved. A simple classification of the area was processed and crosschecked manually from the available recent toposheets of Thailand. Results show the development of human infrastructure in the Protected Island of Koh Chang in Thailand, from 1973 to date. Specific human locations are identified linked either to tourism development, or to villages of fishermen. Scope for using Corona in land cover changes on a longer time period than usual satellite images is possible. Some classification issues coming from the sensor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Accuracy assessment is also an issue because of the age of the sensor.

  • PDF

The influence of Jeju island's environmental resource factors on agricultural product purchase intention: a comparison of image of environment resource and environment-product image congruence

  • Ho Joong, Yi;Kyeong Ah, Ahn;Shin Hea, Choi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3호
    • /
    • pp.667-678
    • /
    • 2022
  • A characteristic of a region's environmental resources is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is study explores methods of making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appealing to consumers. We looked at ways to appeal to consumers by using the image of environment resource and environment-agriculture product image congruence. The relationships of two dimensions of environmental image,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re examin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both the image of environment resource and environment-agriculture product image congru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perceived quality. This study tried to ascertain which of the two dimensions of the environmental image factor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consumer appeal for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s a result, both the image of environment resource and environment-agricultural product image congruence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hrough perceived quality. By comparing the paths of the two dimensions it is found that the method of appealing to consumers by using the environment-agriculture product image congruence is more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making locally produced agricultural products appealing to consumers and suggest an effective strategic direction for sell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제주도 어류양식장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Survey of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Fish Farms on the Jeju-Island)

  • 문영건;하진환;강창희;송춘복;오명철;허문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91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제주도에서 성업 중인 육상 수조식 양식장 21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미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양어 용수, 양어 사료, 양식 넙치에서 조사하였다. 식품 병원성 미생물 중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그리고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특이할만한 점은 여름에 들어서면서 집중적이면서도 빈번하게 비가 내렸다. 양어용수를 검사한 결과 S. aureus, B. cereus and Salmonella spp.는 각각 $0-3.3{\times}10^2 CFU/ml,\;0-2.2{\times}10^2CFU/ml\;and\;0-5.1{\times}10^1 CFU/ml$ 검출이 되었다. 또한 사료 내 미생물을 조사하여 본 결과 조사한 MP사료 85%에서 S. aureus, B. cereus and total coliforms이 검출이 되었다 반면 양식 넙치를 조사한 결과 Escherichia coli O157:H7, total coliforms은 검출이 되지 않았다. 추후 이와 관련하여 좀더 체계적인 연구 시스템을 양식현장에 적용한다면 근래 들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식품위생상 수산물이 야기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되어 안전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연도교와 선박간의 충돌사고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of Collision Accidents Between Island Bridge and Ship Using an Image Processing Method)

  • 장다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1111-1119
    • /
    • 2022
  • 신안군 해역의 섬을 통한 관광사업이 활발해지면서 도서 간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은 현재까지 총 13개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통항로에 설치된 해상교량은 선박통항에 있어 위험성을 주며, 특히 섬과 섬을 연결하는 연도교의 경우 수로의 폭이 매우 좁아 그 위험도는 더욱 높다. 본 연구는 신안군 해역의 연도교에 대한 해상교통조사를 토대로 교각과 선박의 충돌위험도를 항만수로의 위험도 평가 모델인 IWRAP(IALA Waterway Risk Assessment Program)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신안1교가 충돌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항선박의 대부분은 연안 여객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안1교는 대상해역의 교각 중 가장 충돌사고가 많이 발생한 곳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안1교 해역환경의 위성사진을 영상처리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해도에는 볼 수 없는 장애물이 교량 근처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장애물을 피해 교량의 통항유도방식인 양방향 통항과 달리 한 방향으로 통항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영상처리기법을 활용한 위험원인 분석방법은 향후 연도교의 위험요인 분석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교량 통행안전을 위한 IoT 기반 재난 정보 제공 스마트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Disaster Information Providing Smart Platform for Traffic Safety of Sea-Crossing Bridges)

  • 박상기;김재환;서동우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5-113
    • /
    • 2023
  • 전라남도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25곳의 연륙·연도교가 있으며, 다도해와 이를 잇는 해상교량을 중심으로 해양 및 관광 자원이 풍부한 지자체이다. 그러나, 해상교량의 경우 강풍, 태풍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교량의 구조적 안전성과는 별개로 교량의 과대진동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와 지역주민들의 불안감이 증대되는 현안이 있다. 실제로 최근 2019년에 개통한 신안군의 천사대교의 경우, 강풍과 과대 진동으로 인한 차량 통행 제한이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그로인한 지역주민 및 운전자의 불안감 증대로 민원이 속출되고 있다. 따라서, IoT계측기술을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량적이고 정확한 교량의 풍황상황과 통행과 관련된 교량의 진동수준을 실시간으로 지역주민에서 제공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관리에 대한 지역주민 불안감을 해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계측시스템 및 IoT센서를 이용하여 해상교량의 풍속 상황과 진동을 상시적으로 관측하고 이를 지역주민 및 관리자에게 전파함으로써 해상교량의 안전 및 통행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강풍 및 대형 재난재해에 대해서도 사전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고군산 선유팔경(仙遊八景)의 설정과정과 집경(集景) 특성 (A Study on the Setting Process and Form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onyu Eight Scenic in Gogunsan Islands)

  • 정우진;황국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50
    • /
    • 2019
  • 본 연구는 고군산 선유팔경이 설정된 경위와 각 경점의 경관특성을 고찰한 것으로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9년 이래 설정된 경점은 수차례 그 내용과 순서가 바뀌었고 표제어 또한 일정한 변천과정이 확인된다. 70년대까지 알려진 팔경은 공식적인 팔경명이 없거나 고군산팔경으로 명명된 경우가 많았으며, 무산십이봉이 제외된 구성을 보인다. 또한 팔경의 경점이 시기별로 제각각인 유형도 나타나는데, 따라서 선유팔경의 초기 형태는 인근 지역의 팔경을 참조하되, 고군산군도 특히 선유도의 경승이 취사선택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현재와 같은 팔경 요소가 모두 충족되어 나타나는 2000년대 초의 선유팔경은 순번이 명시되어 있고 표제어가 네 글자로 정제되어 있어 전통적인 팔경의 명명법을 따르고 있다. 이때 제1경이 망주폭포로 설정되고 선유낙조가 제8경으로 구분되기도 하였는데, 현재는 제1경이 선유낙조, 제2경이 망주폭포의 순서로 확정되었다. 이러한 경처 순서의 변화는 시기별 대표 경관자원이 달랐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셋째, 정체성과 완결성이 약한 점은 선유팔경에 내재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무엇보다 설정주체와 설정시기가 모호하며, 선행되는 옥구팔경, 임피팔경 등 인근 지역의 팔경사례를 답습한 흔적이 역력하다. 또한 경관대상에 대한 지식정보, 조망하는 시점의 명시, 역사·문화적 배경 등이 모호하여 정제되지 않은 불완전한 체계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제1경 선유낙조는 전체 경점을 대표하는 것을 넘어 팔경 전체를 지배하는 주도적인 이미지를 갖는다. 일시적 경관인 낙조가 제일의 경관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것이 선유도의 아름다운 자연적 요소들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경관의 총체로 인식되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선유낙조를 기점으로 선유도 및 고군산군도 전체 경관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기왕의 인식을 활용하여, 다른 고군산군도 경관자원의 가치 고양시킬 여지는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 각 경점의 정체성과 완결성을 강화하는 작업이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크루즈 기항지의 서비스가 크루즈 관광객의 여행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s at a Cruise Ship Port on Cruise Tourists' Satisfaction and Loyalty)

  • 정승훈;양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06-314
    • /
    • 2014
  • 크루즈 관광산업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융복합 산업으로 지역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기항지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루즈 기항지인 제주도를 방문한 크루즈 방문객 대상으로 기항지 서비스 요인을 파악하고 관광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크루즈 관광 서비스 등 문헌조사를 통해 기항지 서비스 유형을 조사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유효표본 357부를 확보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기항지 인프라 서비스, 기항여행 서비스, 기항선택속성 등 기항지 서비스 유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항지 서비스는 부분적으로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항지 서비스는 부분적으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항여행 서비스와 기항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크루즈 기항지 마케터들이 기항지 서비스 구성 및 제공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정보데이터 기반의 경관보전직불제도 실태분석과 농촌공간 재생의 활용방안 (Analysis of the Landscape Conservation Direct Payment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Utilization of Rural Area Regeneration)

  • 김용진;강동진;최진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9권3호
    • /
    • pp.39-52
    • /
    • 2023
  • There is a clear need to enhance the attractiveness of rural areas by leveraging their core assets to respond to emerging mega-trends. This paper analyzes the progress of the direct payment program that has been implemented to preserve agricultural landscapes in rural areas, using spatial information data. The study identified the planting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rops, spati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by the beneficiar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pati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could be classified into eight types: tourism resources and nearby agricultural areas, designation across the entire rural area, agricultural areas around villages, large-scale agricultural areas, small-scale agricultural areas, scattered and dispersed areas, independent parcels of land, and ranch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landscape preservation direct payment system,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rural specialized zones. The landscape preservation direct payment system focuses on income support for farmers and providing agricultural benefits in terms of public interest. Meanwhile, the landscape agricultural zone serves as a rural specialized zone, highlighting the ne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ntegrated rural landscape management. It is important for farmers, as the key stakeholders, to preserve the agricultural landscape in rural areas. Forming community-level cooperatives and engaging in relevant activities are crucial for achieving this goal. In order to actively preserve the agricultural landscap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umption of financial support for village landscape preserva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 designation of landscape agricultural zones. There is a need to conduct a specific review and explore measures to accommodate the designated landscape complex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e higher the ratio of designated landscape complexes, the more agri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based on public value has been carried out. The designation of such landscape complexes can be seen as a demand for voluntary utiliz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s in the region. Moreover, as the ratio of designated landscape complexes increases, it becomes evident that farmers at the village level actively participate in agri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and contribute to providing public value or utilize it as a tourism resource.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managing agricultural landscapes at the village level within the appropriate context.

GIS를 활용한 제주지역 관광객 안전사고 분석 (Analysis of tourist safety accidents in Jeju Area using GIS)

  • 최용복;정헌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5-60
    • /
    • 2024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관광객 안전사고 발생현황을 GIS를 통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제주지역 관광객 안전사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 동부 읍면지역이 연구대상지로 선택되었으며 2021년도가 연구기간으로 설정되었다. 분석에는 2021년 1년간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관광객 안전사고 데이터와 안전사고 발생에 따른 구급출동 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안전사고 발생현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주 전지역에 대한 관광객 안전사고 발생 현황에 대한 분석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월별, 시간별, 장소별 관광객 안전사고의 발생 패턴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공간데이터를 바탕으로 격자분석과 중첩분석을 활용하여 관광객 안전사고와 구급출동 현황을 분석하여 관광객 안전사고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광객 안전사고에 대한 GIS 분석을 통하여 관광객의 활동 특성을 고려한 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특히 취약지역에 대한 관광시설물 점검과 안전사고 예방 홍보 활동과 같은 적극적인 예방조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제주도 중문 연안역의 물리해양환경에 대한 연구 (Study on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the Coastal Sea of Chung-Moon, Cheju Island)

  • 홍창수;오경희;방익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4호
    • /
    • pp.211-217
    • /
    • 2001
  • 관광단지의 개발로 인해 생활오염수가 연안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된 제주도 남쪽 중문 연안해역에 대해 1997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매달 1회씩 관측하여 물리해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겨울철과 여름철의특성은 각각 $12{\sim}4$월과 $6{\sim}10$월에 나타나며 5월과 11월은 중간시기이다. 겨울철에는 수온이 약 14{\sim}16^{\circ}C$, 염분이 34${\sim}$34.7 psu로 대마난류수가 분포하며 여름에는 수온이 $15{\sim}27^{\circ}C$, 염분이 32${\sim}$34.3 psu로 저층에는 여전히 대마난류수가 분포하고 표층에는 저염의 양자강연안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자강연안수의 영향이 특히 강한 때는 30 psu 이하가 나타나기도 한다. 성층은 연안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고 외양에서 약 20m층에서 6${\sim}$10월에 형성된다. 표층의 등온선과 등염분선의 분포는 때때로 해안선에 수직인 경향이 나타나며 이것은 정점1부근의 화력발전소와 정점3부근의 하천과 하수종말처리장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번 관측으로는, 이들의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최대한도는 수온이 300m 거리에서 약 $0.4^{\circ}C$이하, 염분이 30m 이내의 거리에서 약 0.1 psu이하로만 말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측정점들이 화력발전소와 하수종말처리장 배출구에 보다 가깝고 조밀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