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radiator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5초

조미료의 방사선 조사선원에 따른 전자스핀공명 분석 특성 (Analytical Properties of Electron Spin Resonance after Irradiation of Seasonings with Different Radiation Sources)

  • 안재준;김귀란;;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5-391
    • /
    • 2009
  • 시판 혼합조미료(SS-1, SS-2)를 시료로 하여 조사선원(감마선, 전자선) 및 조사선량(0-20 kGy)에 따른 ESR spectrum의 특성을 비교하고, 방사선조사 유래의 sign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여 조사여부 판별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된 조미료 시료에서는 조사선원에 상관없이 특이한 free radical의 ESR signal을 보여주었다. 이 signal은 g-value가 2.031, 2.021, 2.017, 2.009, 2.002, 1.990 및 1.980인 크고 작은 7개의 peak를 지닌 crystalline sugar 유래의 multicomponent radical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처리되지 않은 두 시료(SS-1, SS-2)는 모두 매우 낮은 강도의 singlet line의 형태의 spectrum을 나타내어 비조사구와 조사구의 구별이 분명하였다. 조사선원과 선량에 따른 signal intensity를 비교한 결과,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모든 조사선량에서 전자선 시료가 감마선시료보다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R^2=0.9916{\sim}0.9973$). 두 시료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spectra는 조사선원 및 조사선량에 관계없이 g-value와 signal을 나타내는 자장영역은 거의 일정하였으며, 주요 signals($g_2=2.021$, $g_4=2.009$, $g_5=2.002$, $g_6=1.990$)의 강도 역시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R^2=0.8243{\sim}0.9929$).

방사선 조사 건조향신료의 ESR 측정에서 Cellulose Radical의 Parameter 분석 (Parameter Analysis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of Cellulose Radicals in Gamma-irradiated Dried Spicy Vegetables)

  • 안재준;김동길;정형욱;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1-375
    • /
    • 2009
  • ESR spectroscopy에 의한 방사선 조사 건조향신료의 조사여부의 정확한 판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방사선 조사 유래의 cellulose radical에 대한 parameter를 분석하였다. 건조향신료 분말 4종(고추, 마늘, 양파, 후추)에 대하여 0, 1, 5, 10 kGy의 $^{60}Co$ 감마선을 조사한 후 ESR signal을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4종의 건조향신료는 모두 방사선 조사 유래의 triplet signal인 cellulose radical을 나타내면서 center signal($g_2=2.00673$)은 좌우 3.0455 mT 간격의 특이적인 signal을 보였다. 조사시료에서 나타난 hyperfine triplet signal(cellulose radical)의 g-value, center field 및 저-고자장 signal의 간격은 조사선량이 변화하여도 일정하였으므로 이들 parameter들은 cellulose radical의 고유 특성임을 확인 하였다. 이로써 감마선 조사시료와 비조사 시료 간의 구별이 분명하였다. ESR signal intensity는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R^2=0.8452{\sim}0.9854$). 이상의 결과에서 cellulose radical의 parameter 분석은 건조향신료의 ESR 분석에서 조사여부의 판별에 대한 신뢰성을 뒷받침 해 주었다.

MC3T3-E1 조골세포주의 osteonectin과 bone sialoprotein mRNA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mRNA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 하쌍용;강기현;이상래;권기정;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4권2호
    • /
    • pp.99-106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henotypic expression of the MC3T3-El osteoblastic cell line, especially on the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Materials and Methods: Cells were irradiated with a single dose of 0.5, 1, 4 and 8 Gy at a dose rate of 5.38 Gy/min using Cs-I37 irradiator. After specimens were harvested, total RNA was extracted on the 3rd, 7th, 14th, 21st day after irradiation. The total RNA was reverse-transcribed and the resulting cDNAs were subjected to amplification by PCR with a pair of primers. Results: The irradiated cells showed a dose-dependent increase in osteonectin mRNA expression when compared with the unirradiated control group. The irradiated cells showed no difference in bone sialoprotein mRNA expression when compared with the unirradiated control group. In accordance with the duration of culture period after irradiation, the level of osteonectin mRNA expression showed no difference, but it increased a little at the 21st day in the 4 and 8 Gy exposure groups. In the case of bone sialoprotein, however, the level of mRNA ex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3rd and 7th day after irradiation, but it showed no difference at the 14th and 21st day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each single dose of 0.5, 1, 4 and 8 Gy influenced the mRNA expression of osteonectin and bone sialoprotein at the calcification stage of osteoblastic cells, suggesting that single dose of irradiation affected the osteoblastic bone formation at the cell level.

  • PDF

Radiation-induced Apoptosis, Necrosis and G2 Arrest in Fadu and Hep2 Cells

  • Lee Sam-Sun;Kang Beom-Hyun;Choi Hang-Moon;Jeon In-Seong;Heo Min-Suk;Choi Soon-Chul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4호
    • /
    • pp.275-279
    • /
    • 2000
  • Purpose: Radiation damage is produced and viable cell number is reduced. We need to know the type of cell death by the ionizing radiation and the amount and duration of cell cycle arrest. In this study, we want to identified the main cause of the cellular damage in the oral cancer cells and normal keratinocytes with clinically useful radiation dosage. Materials and Methods: Human gingival tissue specimens obtained from healthy volunteers were used for primary culture of the normal human oral keratinocytes (NHOK). Primary NHOK were prepared from separated epithelial tissue and maintained in keratinocyte growth medium containing 0.15 mM calcium and a supplementary growth factor bullet kit. Fadu and Hep-2 cell lines were obtained from KCLB. Cells were irradiated in a /sup 137/Cs γ-irradiator at the dose of 10 Gy. The dose rate was 5.38 Gy/min. The necrotic cell death was examined with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in the culture medium. Every 4 day after irradiation, LDH activities were read and compared control group. Cell cycle phase distribution and preG1-incidence after radiation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Propidium Iodine staining. Cell cycle analysis were carried out with a FAC Star plus flowcytometry (FACS, Becton Dickinson, USA) and DNA histograms were processed with CELLFIT software (Becton Dickinson, USA). Results: LDH activity increased in all of the experimental cells by the times. This pattern could be seen in the non-irradiated cell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on-irradiated cells and irradiated cells. We detected an induction of apoptosis after irradiation with a single dose of 10 Gy. The maximal rate of apoptosis ranged from 4.0% to 8.0% 4 days after irradiation. In all experimental cells, we detected G2/M arrest after irradiation with a single dose of 10 Gy. Ye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G2/M arrested cells. The maximal rate of the G2/M ranges from 60.0% to 80.0% 24h after irradi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s on the rate of the G0/G1 phase. Conclusion: Radiation sensitivity was not related with necrosis but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These data suggested that more arrested cell is correlated with more apoptosis.

  • PDF

방사선 조사가 배양된 조골세포의 apoptosis와 세포주기의 변화 및 석회화 결절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Irradiation on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of Rat Calvarial Osteoblast)

  • 이영미;최항문;허민석;이삼선;최순철;박태원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0권3호
    • /
    • pp.189-198
    • /
    • 2000
  • Purpose: The study was aimed to detect the induction of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after irradiation on primarily cultured osteoblasts. Materials and Methods: Using rat calvarial osteoblasts,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ere studied. The single irradiation of 10 and 20 Gy was done with 5.38 Gy/min dose rate using the l37Cs cell irradiator at 4th and 14th day of culture. Apopto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were assayed by the flowcytometry at 1, 2, 3, and 4 days after irradiation. The formation of calcified nodules was observed by alizarin red staining at 1, 3, 10, 14 days after irradiation at 4th day of culture, and at 1, 4, 5 days after irradiation at 14th day of culture. Results: Apoptosis was not induced by 10 or 20 Gy independent of irradiation and culture period. Irradiation did not induced G1 arrest in post-irradiated ostedblasts. After irradiation at 4th-day of culture, G2 arrest was induc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irradiation at 14th-day of culture. In the case of irradiated cells at 4th day of culture, calcified nodules were not formed and at 14th-day of culture after irradiation, calcified nodule formation did not affected. Conclu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radiation at the dose of 10-20 Gy would not affect apoptosis induction of osteoblasts. Cell cycle and calcified nodule formation were influenced by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osteblasts.

  • PDF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산화납 기반 방사선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sign of lead monoxide based radiation detecto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a Radioactive Source in an NDT)

  • 안기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3-188
    • /
    • 2017
  • 최근, 감마선 조사기의 자동 원격 조사 제어기가 오동작하여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방사선 피폭 사고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NDT 분야에서는 방사선에 대한 잠재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사선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파괴검사장비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사선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화납 기반 방사선 검출기에 대한 감마선 응답 특성을 모의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는 방사선원에서 방사되는 감마선 에너지에 따라 상이하며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최적화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bO 기반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는 Ir-192에 대하여 $200{\mu}m$, Se-75 $150{\mu}m$, Co-60 $300{\mu}m$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2차 전자 평형을 고려한 PbO 기반 방사선 검출기의 적절한 두께는 $300{\mu}m$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다양한 NDT 장비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시 방사선 검출기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두께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방사선 조사된 후추가루의 검지를 위한 점도법의 적용 (Application of Viscometri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Irradiated Black and White Pepper)

  • Yi, Sang-Duk;Chang, Kyu-Seob;Yang, Jae-Se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4-121
    • /
    • 2000
  • 본 연구는 점도 측정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검은 후추가루와 횐 후추가루의 조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이전의 연구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양한 rpm에서의 검지 가능성과 회귀식 및 회귀계수를 설정하여 보다 최적화 되고 체계적인 검지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실험에 사용된 검은 후추가루와 흰 후추가루는 polyethylene bag에 포장되어졌고 한국원자력연구소내의 Co-60감마선 조사시설을 이용하여 2.5, 5, 7.5, 10, 15 kGy로 조사되어졌다. 10 %, 13%농도의 검은 후추가루와 7%, 10% 농도의 흰 후추가루 시료를 만들기 위하여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시킨 후에 알카리화 하였고 Brookfield DV-III rotation viscometer를 이용하여 30。C 에서 30초 동안 30. 60, 90, 120, 150, 180, 210 rpm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점도와 표준편차는 조사선량과 rpm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점도도 증가되어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여 주었고, 이러한 경향은 모든 시료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120 rpm 에서 10% black pepper, 13% black pepper, 7% white pepper, 10% white pepper 의 회귀식과 회귀계수는 0.9531 (y=-131.29x+1769.0), 0.9725 (y=-351.33x+4036.0), 0.9731 (y=2208.0e-${^-0.3546X}$), 및 0.9959 (Y=5116.0e${^-0.2887X}$)를 나타내었으며 조사선량과 점도간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점도 측정법은 방사선 조사된 검은 후추가루와 흰 후추가루의 조사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골 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의 림프구에서 방사선 적응반응의 유도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Radiation Adaptive Response in Lymphocytes of patients Undergoing Bone Scintigraphy)

  • 민정준;범희승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2-177
    • /
    • 1999
  • 목적: 핵의학과에서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골 신티그라피가 인체에 방사선 장해를 일으키는지 아니면 오히려 적응반응을 통하여 유리한 작용을 하는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 신티그라피를 시행한 22명의 환자(남자 6명, 여자 16명, 평균 연령 $50{\pm}14$세)를 대상으로 Tc-99m-methylene diphosphonate (Tc-99m-MDP) 주사 전과 주사 후 4시간에 각각 5 ml씩 채혈하여 배양하고 배양 46시간 후에 Cs-137조사기(central dose rate=654 Gy/h, Gammacell 3000 Elan, Nordion, Canada)를 이용하여 2 Gy의 감마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대조군 10명의 혈액을 채혈하여 Tc-99m-MDP 주사전에 채혈한 군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고 배양하였다. Colcemid 처리 2시간 후에 수확하여 세포 600개당 불안정 염색체인 반지형과 이 중 중심체형 염색체의 숫자를 계수하여 각 군 간의 불안정염색체계수를 분산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Tc-99m-MDP를 주사하기 전에 채혈하고 2 Gy를 조사한 군과 대조군에서 2 Gy를 조사한 군의 불안정염색체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각각 $385.1{\pm}30.5$, $367.8{\pm}36.6$, p>0.05). 하지만 Tc-99m-MDP를 주사한 후에 채혈하고 2 Gy를 조사한 군에서 불안정 염색체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192.6{\pm}22.1$, p=0.0001). 결론: 골 신티그라피에 의한 저선량의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 말초혈액 림프구가 적응반응을 나타내어 다음에 이어지는 방사선 장해에 대해 저항성을 갖는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체세포주 A431에서 방사선 조사 후 DNA수선 유전자 발현과 세포고사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Induced Activation of DNA Repair Genes and Radiation Induced Apoptosis in Human Cell Line A431)

  • 범희승;민정준;최근희;김경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4-153
    • /
    • 2000
  • 목적: 피부세포인 A431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고사가 방사선량과 방사선 조사 후 경과시간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혀보고,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수선유전자의 발현을 방사선량별, 조사 후 경과시간별로 분석하여 세포고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피부상피암 세포의 일종인 A431을 Cs-137 세포조사기를 이용하여 5 Gy, 25 Gy씩 조사하고 4, 12, 48시간이 지난 다음 세포를 모아 유세포계측법을 이용하여 고사세포를 계수하였다. 또한 이 세포들을 North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방사선량별, 경과시간별로 유전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각 실험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OVA test에 의해 검정하였으며, p값 0.05 미만을 유의한 수준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유세포 계측기로 측정한 고사세포의 비율은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째에 가장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DNA수선유전자의 발현은 5 Gy 조사 후 p53, p21, hRAD 유전자가 12시간째에 증가하였고, 25 Gy 조사 후에는 hRAD50과 p21이 12시간에 증가하였으며, p53과 GADD45는 12시간까지 별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였다. 결론: 피부상피암세포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고사는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에 가장 현저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세포고사에 DNA수선 유전자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최근에 발견된 hRAD50 유전자도 세포고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반도체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sign of Semiconductor Detecto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a Radioactive Source in an NDT)

  • 김교태;김주희;한무재;허예지;안기정;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71-175
    • /
    • 2017
  • 비파괴검사 분야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방사선원에 대한 시스템 개발에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자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사고 발생 확률은 높은 실정이다. 방사선에 대한 잠재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사선원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조사기의 선원 가이드 튜브에서 방사선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사선 검출기에 대한 특성을 모의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Ir-192의 감마선 에너지에 대한 방사선 검출기는 반도체 소재에 무관하게 $150{\mu}m$에서 2차 전자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감마선 응답 특성은 $HgI_2$가 가장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모니터링 시스템의 검출부에 위치하는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바탕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시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위험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방사선 사고에 대한 예방 및 선제적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사회 안전망 구축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