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nic liquid (I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ethylene oxide) with an Ionic Liquid

  • Singh Pramod K.;Kim, Ki-Il;Rhee Hee-Woo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73-273
    • /
    • 2006
  • The encapsulation of volatile organic electrolytes is a major challenge in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DSSC. Ionic liquid (IL) within polymer electrolytes is an attractive candidate for replacement. Here we used a low viscosity ionic liquid 1-ethyl 3-methylimidazolium thiocyanate in order to modify ionic conductivity (${\sigma}$) of polymer electrolyte ($PEO:Kl/l_{2}$) and hence DSSC efficiency. The doping of IL enhanced ${\sigma}$ and attained maximum (${\sigma}=7.62{\times}10^{-4}S/cm$) at 80 wt% of IL concentration. Beyond this it was harder to get stable films. XRD confirmed that the intensity of the sharp PEO crystalline peaks decreased when IL was added. The DSC studies confirmed the reduction in crystallinity by adding ionic liquid.The efficiency of solar cell using aforesaid material was 0.6 % at 1 sun irradiation.

  • PDF

실리카의 이온성 액체 기능화가 메탈로센 담지촉매의 에틸렌 중합 거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unctionalization of Silica with Ionic Liquid on Ethylene Polymerization Behavior of Supported Metallocene)

  • 이정숙;이창일;고영수
    • 공업화학
    • /
    • 제27권1호
    • /
    • pp.86-91
    • /
    • 2016
  • Ionic liquid 기능화 및 메탈로센 촉매 담지를 위해 세 종류의 무정형 실리카와 SBA-15를 담체로 사용하였다. Ionic liquid가 표면 기능화된 실리카는 1,3-bis(cyanomethyl)imidazolium chloride의 염소 음이온과 실리카 표면의 OH 그룹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합성되었다. 에틸렌 중합을 위해 ionic liquid가 기능화된 실리카에 메탈로센과 조촉매 methylaluminoxane(MAO)을 담지하였다. SBA-15와 비교하여 큰 기공 크기를 갖는 ionic liquid가 표면 기능화된 XPO-2412와 XPO-2410에 담지된 촉매는 기능화되지 않은 실리카에 담지된 촉매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SBA-15에 담지된 촉매는 ionic liquid의 표면 기능화 후에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는 ionic liquid와 메탈로센 촉매, 조촉매 MAO가 담지되면 기공의 크기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중합 시 에틸렌 모노머와 조촉매가 기공 내 촉매 활성점으로 확산하는데 제한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카 표면의 OH 그룹의 농도 변화에 따른 촉매의 중합 활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무정형 실리카의 OH 그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중합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실리카에 담지된 촉매의 중합 활성은 ionic liquid 표면처리 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온성액체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회수 (CO2 Absorption in Ionic Liquids)

  • 정순관;김대훈;백일현;이시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492-497
    • /
    • 2008
  • 기-액 흡수 평형장치에서 이온성액체와 아민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흡수특성을 평가하였다. 9가지의 이온성액체와 두 종류의 아민수용액의 이산화탄소 압력에 따른 흡수특성과 시간에 따른 흡수속도를 측정하였다. 이온성액체의 양이온과 음이온을 변화시켜 이산화탄소흡수에대한 이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아민수용액은 이온성액체보다 높은 이산화탄소 흡수능과 빠른 흡수속도를 보였다. 이온성액체 중에서는 1 bar에서 $0.14molCO_2/molIL$의 흡수능을 보인 [emim][$Tf_2N$]이 가장 우수한 효율을 보였다. 흡수반응온도가 증가할 수 록 이산화탄소 흡수능은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이산화탄소 흡수에는 이온성액체의 음이온이 주된 역할을 수행하며 양이온은 부가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Capsaicin by Ionic Liquid Composite-Modified Electrode

  • Kim, Dong-Hwan;Nam, Sungju;Kim, Jaeyoon;Lee, Won-Yon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77-184
    • /
    • 2019
  • An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for capsaicin has been developed using ionic liquid (IL) doped graphene-titania-Nafion composite-modified electrode. The combination of IL (1-hexyl-3-methylimidazolium with hexafluorophosphate counter ion) in the composite-modified electrode resulted in a significantly increased electrochemical response for capsaicin compared to that obtained at the corresponding electrode without IL. The increased electrochemical signal could be ascribed to the decreased electron transfer resistance through the composite film and also to the effective accumulation of capsaicin on the electrode surface due to ${\pi}-{\pi}$ interaction of the imidazole groups of IL with the aromatic rings of capsaicin. The present IL composite-modified electrode can detect capsaicin with a concentration range from $3.0{\times}10^{-8}M$ to $1.0{\times}10^{-5}M$ with a detection limit of $3.17{\times}10^{-9}M$ (S/N = 3). The present sensor showed good reproducibility (RSD = 3.2%).

The Soft Material Obtained from an Europium (III)-Containing Ionic Liquid

  • Shao, Huifang;Wang, Yige;Li, D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3호
    • /
    • pp.973-976
    • /
    • 2011
  • The addition of organic ligand (${\beta}$-diketone or heterocyclic compound) to the europium (III)-containing ionic liquid resulted in bright luminescent soft materials with the molar ratio of europium/ionic liquid (IL)/ligand being 1:3:1 that exhibit bright red light under UV lamp. The luminescent properties such as emission features and lifetime of $^5D_0$ $Eu^{3+}$ excited level are dependent on the organic ligands. The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luminescence spectroscopy. The data shows that at least parts of the ILs (carboxylic acid) are replaced with ${\beta}$-diketone ligand rather than the formation of europium complex with the molar ratio of $Eu^{3+}$:IL: ligand being 1:3:1, while no ILs could be replaced by the heterocyclic ligand such as Bpy and Phen.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막 (Ionic Liquid based Carbon Dioxide Separation Membrane)

  • 박정혁;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0권3호
    • /
    • pp.149-157
    • /
    • 2020
  • 유기 양이온과 유기/무기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이온성 액체는 저온 용융 염의 종류이며 이산화탄소 분리 기능에 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온성 액체를 기반으로 한 막을 개발하여 연도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걸러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리뷰에서는 홀로 설 수 있는 중합 이온성 액체(PIL), 이온성 액체와 이온성 액체 복합 막의 혼합의 기술이 논의될 것이다. 새로운 이온성 액체의 모노머 도입, 그리고 중합 이온성 액체 막과 복합 막의 미세구조변형은 막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켜 가스투과율과 선택도를 크게 향상 시키는데 시용되어 왔다. 이온성 액체 모너머의 양이온과 음이온의 다양한 변형은 막의 가스 분리성에 큰 영향이 있다.

이산화탄소 분리를 위한 이온성 액체 기반 복합 멤브레인: 총설 (Ionic Liquid Consisted of Composite Membrane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A Review)

  • 영 사이먼 시 영;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3권5호
    • /
    • pp.240-247
    • /
    • 2023
  • 가스 분리 방법 중에서도, 멤브레인을 이용한 CO2 포집 및 분리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꾸준히 성장하는 분야이다. 이온성 액체(IL) 기반 복합 막은 CO2를 분리하는 데 있어 우수한 성능값을 보여준다. 유사하게, 다양한 공중합체/IL 복합막 또한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이러한 공중합체/IL 복합만에 산화그래핀과 같은 필러를 첨가하면 IL과 유기 필러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필러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CO2의 친화도, 선택도 및 흡착과 같은 요소를 향상시킨다. 금속-유기 구조체(MOF)를 사용하는 공중합체/IL 복합 막은 향상된 CO2 투과도를 보여주었다. 이 총설에서는 이온성 액체와 공중합체복합막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이산화탄소분리성능에 대한 상관관계를 논의한다.

이온성액체/유기화합물/초임계이산화탄소계의 상평형 (Phase Equilibria of Ionic Liquid/Organic Compound/Supercritical CO2 Systems)

  • 임방현;김종원;백상민;손보국;이용록;이철수;이흔;나춘섭;심재진
    • 청정기술
    • /
    • 제12권3호
    • /
    • pp.128-137
    • /
    • 2006
  • 초임계이산화탄소 내에서 이온성액체의 부피 변화와 상온 이온성액체와 유기화합물의 혼합물이 두 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고압 view cel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온성액체(ionic liquid, IL)로는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phosphate ([bmim][$PF_6$])와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bmim][$BF_4$])를 사용하였으며, 유기화합물로는 methanol과 dimethyl carbonate를 사용하였다. 일정한 양의 [bmim][$PF_6$]에 대하여 유기화합물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상이 나누어지는 지점인 lower critical end point (LCEP) 압력이 감소하였다. 이온성액체의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LCEP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LCEP가 나타나지 않았다. LCEP는 같은 부피의 [bmim][$PF_6$]에서보다 [bmim][$BF_4$]에서 약 1.0 MPa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K-point는 이온성액체의 종류와 유기화합물의 양에 따라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초기시료 중 이온성액체([bmim][$PF_6$])의 농도 (IL/(IL+MeOH))가 7.23 mol% 보다 크면 혼합물의 LECP에서 $L_1$의 부피가 $L_2$의 부피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작으면 작게 나타났다. 이산화탄소의 존재 하에서 이온성액체의 부피변화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313.15 와 343.15 K 사이에서는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300 bar에서는 원래 부피의 123~126 %가 되었다.

  • PDF

리튬전지용 에테르가 기능화된 이온성 액체 기반 이온성 액정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Ionic Liquid Crystal Electrolytes based on Ether Functionalized Ionic Liquid for Lithium Batteries)

  • 김일진;김기수;이진홍
    • 공업화학
    • /
    • 제31권3호
    • /
    • pp.305-30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에테르가 기능화된 이온성 액체인 [DMIm][MPEGP] (1,3-dimethylimidazolium (2-methoxy(2-ethoxy(2-ethoxy)))-ethylphosphite)와 리튬염인 LiTf2N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을 혼합하였고, 리튬염의 함량을 조절하여 전해질을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전해질은 리튬염 혼합에 따라 불투명해지고 흐름성이 제한된 열방성 액정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리튬염의 함량에 따라 형성되는 이온성 액정의 자기조립구조와 이온 전도 현상을 다양한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온성 액정의 향상된 이온전도도는 정렬된 구조를 통한 이온 전도 특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리튬이온전지 특성 평가에서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비전도성 매질 내 이온성 액체 액적의 충전 현상 (Charging of an Ionic Liquid Droplet in a Dielectric Medium)

  • 임도진
    • 청정기술
    • /
    • 제20권4호
    • /
    • pp.354-358
    • /
    • 2014
  • 이온성 액체는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이온성염으로 최근 청정 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 전해질, 촉매로써 주목받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전도성 매질 내 액적의 접촉 충전 현상을 이용하여 여섯 가지 서로 다른 이온성 액체에 대한 충전 거동을 고찰하였다. 이온성 액체 액적의 충전 현상은 이전 수용 액적의 충전 현상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으며 기본적으로 완전 도체 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온 종류에 따른 상세 거동은 다소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정 용매 및 촉매로 각광 받고 있는 이온성 액체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