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dine Chemistry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3초

HIx 용액을 이용한 분젠 반응에서 상 분리 조성에 미치는 SO2-O2 혼합물 기체의 영향 (The Effect of SO2-O2 Mixture Gas on Phase Separation Composition of Bunsen Reaction with HIx solution)

  • 한상진;김효섭;안병태;김영호;박주식;배기광;이종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421-428
    • /
    • 2012
  • The Sulfur-Iodine (SI) therm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process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thermochemical water splitting technologies. In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SI process, the $O_2$ produced from a $H_2SO_4$ decomposition section could be supplied directly to the Bunsen reaction section without preliminary separation. A $HI_x$ ($I_2+HI+H_2O$) solution could be also provided as the reactants in a Bunsen reaction section, since the sole separation of $I_2$ in a $HI_x$ solution recycled from a HI decomposition section was very difficult. Therefore, the Bunsen reaction using $SO_2-O_2$ mixture gases in the presence of the $HI_x$ solu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 of $O_2$. The amount of $I_2$ unreacted under the feed of $SO_2-O_2$ mixture gases was little higher than that under the feed of $SO_2$ gas only, and the amount of HI produced was relatively decreased. The $O_2$ in $SO_2-O_2$ mixture gases also played a role to decrease the amount of a impurity in $HI_x$ phase by only striping effect, while that in $H_2SO_4$ phase was hardly affected.

방사성(放射性) 의약품(醫藥品) 합성방식(合成方式)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부-(第 1 報) (Preparation of Radiopharmaceuticals-(1))

  • 김유선;김순옥;김종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3-87
    • /
    • 1967
  • $^{131}I$$^{125}I$를 함유(含有)하는 Hippuran, L-Thyroxine, Triiodothyronine, Rose Bengal, RISA, MAA, Triolein, Oleic acid 및 주사용(注射用) 옥소액(沃素液_의 합성방식(合成方式)과 $^{203}Hg$을 함유(含有)하는 Neohydrine의 합성방식(合成方式)을 각각(各各) 연구(硏究)하여 표지수율(標識收率) $100{\sim}60%$의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합성방식(合成方式)에서는 교환법(交換法), 옥화법(沃化法)을 사용(使用)하였고 특(特)히 Chloramin-T를 이용(利用)한 저온(低溫) 옥화반응(沃化反應)을 이용(利用)하였다. 합성품(合成品)의 제제법(製劑法) 및 pyrogen free 시험결과(試驗結果)를 기술(記述)하였으며 당연구소(當硏究所)에서의 제품분배(製品分配) 상황(狀況)을 보고(報告)하였다.

  • PDF

Dicyclohexyl-24-crown-8과 Tetraphenylborate에 의한 원자로 냉각수로부터 세슘 핵종의 이온쌍 용매추출 (Ion-Pair Extraction of Cs Radionuclides by Dicyclohexyl-24-crown-8 and Tetraphenylborate for Their Determination in Reactor Coolant)

  • 이인종;김시중;이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62-267
    • /
    • 1983
  • 가압형 경수로의 일차 냉각수로부터 세슘 핵종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그 방사능을 결정하기 위한 Scheme이 연구되었다. 세슘의 분리는 dicyclohexyl-24-crown-8과 sodium tetraphenylborate에 의한 이온쌍 용매추출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추출에 미치는 수소, 세슘, 나트륨 및 borate 이온의 영향이 연구되었다. 요오드와 크세논 핵종의 방해 현상은 각각 티오황산나트륨에 의한 요오드의 환원과 1N 염산수용액에 의한 역추출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었다

  • PDF

Molecular Dynamics Study on the Structural Phase Transition of Crystalline Silver Iodide

  • Jun Sik Lee;Mee Kyung Song;Mu Shik Jh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2권5호
    • /
    • pp.490-494
    • /
    • 1991
  • The ${\beta} to {\alpha}$ phase transition in silver iodide is studied with the (N, V, E) and (N, P, T) molecular dynamics (MD) method. In experiment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is 420 K. Upon heating of ${\beta}$ form, the iodine ions undergo hcp to bcc transformation and silver ions become mobile. MD simulations for the ${\beta}$ and ${\alpha}$ phases are carried out at several temperatures and the radial distribution functions (rdf) are obtained at those temperatures in the (N, V, E) ensemble. But the phase transition is not found in our calculation. Next the phase transition is studied with the (N, P, T) MD and we find some evidences of phase transition. At 3 Kbars and 2 Kbars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 re is about 300 K. For 3.55 Kbars, the phase transition is higher (420 K) than the low pressure case.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is somewhat dependent on the pressure in our calculations.

식물유 기반 에스토라이드 합성 및 윤활 특성 (Synthesis and Lubricant Properties of Vegetable Oil based on Estolides)

  • 손정매;김남균;신지훈;정근우;윤병태;김영운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1권5호
    • /
    • pp.195-204
    • /
    • 2015
  • Several researches are focused on improving the value of fine chemicals based on biomass resources due to environmental and other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etroleum-based products. Therefore, the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estolides derived from plant-based waste oil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 as lubricants and as processing oil for butyl rubber products have been studied. Four kinds of estolide were prepared with conversions of 71~92% over 24h using various vegetable oils, as determined by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FT-IR spectroscopy determines the esterification of estolides using 2-ethylhexyl alcohol. The estolides have iodine values of 35~90, α-ester/α-acid ratios of 0.45~0.55, and total acid number of 114~134 mg KOH g–1. Four ball wear tests show that the wear scar diameters (WSDs) of estolides as base oil significantly decreased to 0.328~0.494 mm, compared to WSDs of 0.735 and 0.810 mm of WSD for 150N and Yubase 6, respectively, as general base oil. Thus, the estolides have better wear resistance and satisfying design objectives for the engineering of a variety of lubricant base oils.

황-요오드 수소 제조 공정에서 초음파 조사를 이용한 분젠 반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unsen Reaction using Ultrasonic Irradiation in Sulfur-iodine Hydrogen Production Process)

  • 김효섭;이동희;이종규;박주식;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29권1호
    • /
    • pp.56-61
    • /
    • 2018
  • 황-요오드(SI) 공정의 통합 운전을 위한 분젠 반응 단계에서, $I_2$$H_2O$ 반응물들은 $HI_x$ 용액 내 용해된 성분들로써 공급된다. $HI_x$ 용액과 $SO_2$ 공급을 이용하여 분젠 반응이 수행될 때 $HI_x$ 상 내 대부분의 $H_2SO_4$ 생성물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HI_x$ 상에 대한 $H_2SO_4$ 상의 부피 비가 매우 낮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상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HI_x$ 용액을 이용한 분젠 반응에 대한 초음파 조사의 효과들을 연구하였다. 분젠 반응과 함께 초음파가 조사될 때 $HI_x$ 상으로부터 $H_2SO_4$ 상으로 이동된 $H_2SO_4$의 양은 최대 58.0 mol%까지 증가하였으며, $H_2SO_4$ 상의 부피 또한 최대 13.1 vol%까지 증가하였다. 특히, 상 분리에 대한 초음파 조사의 효과는 온도, $I_2$$H_2O$ 공급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초음파 조사는 $HI_x$ 상 내 반응 평형을 미시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추가적인 $H_2O$ 분자들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로부터 추가적으로 생성된 $H_2O$ 및 분리된 $H_2SO_4$ 분자들이 $H_2SO_4$ 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더 많은 $H_2SO_4{\cdot}xH_2O$ (x = 5-6) 착물들을 형성하였다.

PWR 사용후핵연료 중 탄소-14 및 트리튬 정량 (Determination of carbon-14 and tritium in a PWR spent nuclear fuel)

  • 김정석;박순달;이창헌;송병철;지광용
    • 분석과학
    • /
    • 제18권4호
    • /
    • pp.298-308
    • /
    • 2005
  • 사용후핵연료시료 중에 함유된 탄소-l4와 트리튬을 회수 및 정량하였다. $CO_2$ 운반체($CaCO_3$)를 포함한 사용후핵연료시료를 $90^{\circ}C$에서 8M $HNO_3$ 용액으로 용해하면서 휘발된 $^{14}CO_2$를 1.5 M NaOH 용액을 포함한 포집관에 수집하였다. 용해 중 휘발되는 방사성 요오드는 Ag-silica gel 흡착체를 담은 포집 관으로 사전제거하였다. 핵연료 용해용액 중에 남아있는 트리튬(HTO)를 정량하기 위하여 양이온과 음이온 교환수지 혼합물 및 무기이온교환체를 이용한 뱃치 및 분리관법으로 용해용액을 탈이온화시켜 간섭이온을 제거하였다. 포집용액 중의 탄소-14와 탈이온화수 중의 트리튬을 액체섬광계수법으로 정량하였다.

비산회재 및 무연탄을 원료로 한 흡착제 제조 (Manufacture of Adsorbent from Fly-ash and Anthracite)

  • 백일현;빈현숙;류완호;김태영;민병무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43-547
    • /
    • 1999
  • 본 연구는 현재 폐기되고 있는 미연탄소분을 많이 함유한 비산회재를 이용하여 흡착제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제조된 흡착제에 대한 중금속 제거 실험을 통하여 중금속을 함유한 폐수처리기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비산회재에 장성탄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세 종류의 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장성탄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펠릿의 고정탄소함유량이 증가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탄화와 활성화를 거처 85~96%의 경도와 100~300 mg/g의 요오드 흡착량을 갖는 흡착제를 제조하였으며, 장성탄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경도 및 요오드 흡착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중금속의 제거실험에서 제조된 흡착제에 대한 Pb와 Cr의 제거율이 90%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비산회재의 겨우 Pb 31.5%, Cr 5.6%의 낮은 제거율을 보였다. 이는 활성과정동안 비산회재에 함유된 미연탄소분과 $SiO_2$에 의하여 흡착성능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다.

  • PDF

목탄 및 수피탄의 중금속 이온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Ions Using Wood Charcoal and Bark Charcoal)

  • 조태수;이오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37
    • /
    • 2007
  • 탄화온도 차이에 따른 목질 탄화물의 중금속 흡착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목부와 낙엽송(Larix kaempferi) 수피분말을 $400{\sim}900^{\circ}C$에서 탄화하였다. 목질 탄화물의 pH는 재료의 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900^{\circ}C$의 목탄 및 수피탄은 각각 10.8, 10.4를 나다내었다. 또한 탄화 온도 증가와 함께 탄소함량비가 증가하고 동일 탄화온도에서 목탄에 비해 수피탄의 탄소함량비가 큰 경향을 보였다. 액상흡착력을 나타내는 요오드흡착력은 목탄이 수피탄보다 다소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목탄과 수피탄에 의한 15ppm의 Cd, Zn 및 Cu 중금속용액에 대한 흡착제거율을 조사한 바, 높은 탄화온도에서 제조된 목탄과 수피탄일수록 높은 중금속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탄화물 종류에 있어서는 목탄이 수피탄 보다 높은 중금속 제거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목탄의 경우, $500^{\circ}C$ 이상에서 제조된 탄화물 0.2 g의 사용으로 거의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흡착질 종류에 있어서의 제거성능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화물의 흡착성은 Cu>Cd>Zn 순으로 높았다. 이는 목탄과 같은 흡착제와 흡착의 대상이 되는 흡착질과의 물리 화학적 상호관계가 흡착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목탄의 흡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old Nanoparticles Coated with Gd-Chelate as a Potential CT/MRI Bimodal Contrast Agent

  • Sk Md., Nasiruzzaman;Kim, Hee-Kyung;Park, Ji-Ae;Chang, Yong-Min;Kim, Tae-J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5호
    • /
    • pp.1177-1181
    • /
    • 2010
  •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old nanoparticles coated by Gd-chelate (GdL@Au) is described, where L is a conjugate of DTPA (DTPA = diethylenetriamine-N,N,N',N",N"-pentaacetic acid) and 4-aminothiophenol. These particles are obtained by the replacement of citrate from the gold nanoparticle surfaces with gadolinium chelate (GdL). The average size of GdL@Au is 12 nm with a loading of GdL reaching up to $1.4{\times}10^3$ per particles, and they demonstrate very high r1 relaxivity (${\sim}10^4mM^{-1}s^{-1}$) and the r1 relaxivity per [Gd] is as high as $10mM^{-1}s{-1}$. Here, we also describe the use of bimodality of this contrast agent (CA) as a highly efficient CT contrast agent based on gold nanoparticles (GNP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odine based contrast agent. The MTT assay performed on this CAs reveals the cytotoxicity as low as that for Omniscan$^{(R)}$ in the concentration range required to obtain intensity enhancement in the in vivo MRI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