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 system

검색결과 1,948건 처리시간 0.029초

리눅스에 사용되는 X 윈도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X Window used in Linux)

  • 성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93-1401
    • /
    • 2017
  • 리눅스 운영체제는 데스크톱이나 서버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자동차, 임베디드 기기 등 다양한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고, 자유롭게 사용가능한 공개 소프트웨어라는 특징으로 인해 운영체제 부문에서 대부분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데스크톱 분야는 마이크로소프사의 윈도우가 장악하고 있고, 애플사의 Mac OS도 매니아층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나 리눅스의 성장세는 답보 상태이다. 이러한 열세를 만회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는 X 윈도 시스템을 손꼽을 수 있다. 아직까지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이 전통적인 구조의 X.org 서버를 X 윈도 시스템으로 사용하는데, 무겁고 처리 속도도 느린 단점이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Wayland라는 새로운 구조의 X 윈도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Wayland는 임베디드나 모바일 기기에서 적합할 만큼 작고 가벼워서 데스크톱 분야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관련 기기에도 탑재할 수 있다. Wayland의 등장과 더불어 시작된 X 윈도의 변화는 리눅스 대중화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Real-time Intelligent Exit Path Indicator Using BLE Beacon Enabled Emergency Exit Sign Controller

  • Jung, Joonseok;Kwon, Jongman;Jung, Soonho;Lee, Minwoo;Mariappan, Vinayagam;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82-88
    • /
    • 2017
  • Emergency lights and exit sign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safety precautions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in public buildings. These emergency sign indicates saf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doors, us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sign. However visibility of those signs drops drastically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smoke, etc. and loss of visibility causes serious problems for safety evacuation. This paper propose a novel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built-in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 to assist the emergency self-guiding evacuation using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o avoid panic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s. In this approach, the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with the BLE beacons deployed in the indoor environments and the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direction to move, and next exit sign position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 in the Internet / Intranet over the available LTE and/or Wi-Fi network connectivity. The map server generate an optimal emergency exit path according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for each smart device. All emergency exit path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emergency exit signs,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e proposed exit sign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evaluated in real-time building environment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proposed exit sign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exit path route based on the BLE beacon message,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is competitive and viable.

원격 어항 관리 시스템 (Fishberry: A Remote Fishbowl Management System)

  • 신제우;차해운;김병갑;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5-102
    • /
    • 2019
  • 물고기 반려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어항 관련 편의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제품들은 기능이 부족하거나 비싼 가격으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어항의 센서, 모터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다루었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 째, 먹이지급 진행 및 예약. 둘째, 환수 진행 및 예약. 셋 째, 온도와 pH 수치의 측정 및 시각화 그리고 알림기능이다. 동작시간 측정 실험을 통해 외부에서도 시스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고, 날짜별 pH 측정 실험을 통해 언제 환수를 하는 것이 적절한지 검증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물고기를 더 편하고 안전하게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지능형 의료영상검색시스템 HIPS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Medical Image Retrieval System HIPS)

  • 김종민;류갑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15-20
    • /
    • 2016
  • 본 논문은 의료영상 CT 기반의 지식데이터 검색 관리시스템 구축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정밀한 지능형 검색기술을 활용하여 의료영상을 판독하고 환자의 병명을 진단함으로써 병원 업무 효율성을 높이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ACS의 의료 영상 DICOM 파일을 읽어서 영상을 처리하고, 특징 값들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진료에 필요한 새로운 의료영상을 읽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CT의 특징 값과 비교하여 유사성을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연구학술용으로 제공된 100장의 CT DICOM을 JPEG 파일 형태로 변환한 후, SIFT, CS-LBP, K-Mean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Code Book Library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 최적화를 통하여 새로운 CT 이미지에 대한 기존 데이터와의 유사성을 검색 하여 그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환자의 진료 및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데이타를 위한 쿼리 처리 시스템 (Query Processing System for Multi-Dimensional Data in Sensor Networks)

  • 김장수;김정준;김영곤;이창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39-144
    • /
    • 2017
  • 최근 GeoSensor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공간 센서 데이터와 같은 2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질의 처리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질의 처리 시스템들은 시공간 센서 데이터와 같은 다차원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타 타입과 연산자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다차원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질의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시나리오를 통해 본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수행시간 및 메모리 사용량 등의 성능평가를 통해 기존 시스템들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신뢰성 강화를 위한 오류 추적 시스템 설계 (A Design on Error Tracking System for Enhanced-Reliable IoT Service)

  • 임호성;최창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2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분석 및 추적,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오류에 대한 세부적인 부가정보(OS, Browser, Device)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오류가 발생한 상황을 개발자가 인지하도록 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강화하였다. 특히 서비스 내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 개발자가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알림 매체(Email, Slack, SMS)를 통해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 및 개발과정에서 사물인터넷 환경의 특성 상 여러 언어(Typescript, Swift, Android)에 대해 수용할 수 있도록 공용 인터페이스를 고안했으며, 이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모바일, 웹, 데스크톱 어플리케이션 등 여러 사물인터넷 시스템에서 발생한 오류를 수용해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오류 이슈를 통해 집합으로 표현함으로써 개발자가 서비스 개발 시 어떤 이슈가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대시보드를 통해서 발생한 오류들을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였다.

초기 프레임 크기 예측을 통한 DFSA(Dynamic Frame Slotted Aloha) 알고리즘 성능 개선 (Performance Improvements of DFSA(Dynamic Frame Slotted Aloha) Algorithm through Estimation of Intial frame Size)

  • 이강원;이문형;이현교;임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517-1530
    • /
    • 2017
  • 기존의 충돌 방지 알고리즘들은 현 프레임내의 충돌 정보를 토대로 다음 프레임내의 슬롯 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충돌 정보가 전혀 없는 초기 프레임의 슬롯 수는 결정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들 알고리즘들은 초기 슬롯 수를 임의의 상수로 설정해 사용하고 있는데 알고리즘의 효율이 초기 슬롯 수에 민감하다는 연구결과를 감안하면 이는 개선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효율적인 초기 프레임 슬롯 수 결정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는데 이를 통해 Dynamic Frame Slotted Aloha Algorithm의 성능 개선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2.4 GHz RFID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성능 측도로 사용한 Throughput과 Delay Time을 유도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모형을 Java로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통해 Throughput은 9.6%, Delay Time은 9.8%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Anchor 볼트 형태의 Strain Gauge 센서를 이용한 지게차 적재 중량 측정 시스템 (Forklift Weight Measurement System using Anchor Bolt Type Strain Gauge Sensor)

  • 한치문;임춘식;이성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00-206
    • /
    • 2019
  • 산업현장에서의 지게차의 전복에 의한 안전사고 빈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지게차 전복의 가장 큰 원인은 과적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적재 중량을 측정해야 한다. 가장 보편적인 적재 중량 측정 방식은 로드셀(load cell)로 측정 오차가 적은 장점이 있지만 설치 단가가 비싸다는 점 때문에 산업현장에 쉽게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로드 셀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되었지만 측량 정밀도가 높지 않은 strain gauge 센싱 방식을 적용한 지게차 새로운 적재 중량 측정 시스템을 제안한다. 센서의 측량 정밀도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4개의 센서가 각각 4개의 anchor bolt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anchor 볼트 형태의 strain gauge 센서를 지게차에 적용하여 측정한 결과 1%의 측정 오차를 얻을 수 있었다.

Simulation of Fire Evacuation Induction System Using Smartphone Navigation Application

  • Shin, Dongmin;Jeon, Seongman;Lee, SungPil;Cho, By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43-251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재 대피 유도 시스템의 모의 실험 연구이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은 한국디자인 진흥원 K도 C시 소재 6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화재 발생 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보 시스템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에서는 K도 C시에 소재한 한국산업디자인진흥원에서 6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K 대학교 응급구조학과 3학년 학생 80명이 참여했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연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 화재 상황에서 대피 안내가 이뤄진 경우보다 대피 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시행 전후에 화재 예방 시스템 및 화재 예방 의식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실험 후 화재 예방 시스템 및 화재 예방 의식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비상계단 진입과정에서 계단실의 안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앱으로 제공한다면 도움이 된다. 사무실에 앉아 APP을 통해 영상물 등 가상 대피훈련을 제공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증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결과 화재대피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경함하는 것만으로도 화재예방 시스템 필요성 및 화재 예방인식 향상에 도움이 되며, VR 시뮬레이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할 것이다.

새로운 팔 스윙 보행 패턴 기반 보행 안전 시스템 (A New Arm Swing Walking Pattern-based Walking Safety System)

  • 이경민;인치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88-9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고령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새로운 팔 스윙 보행 패턴 기반 보행안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스마트 밴드, 스마트 워치 등 햅틱 기반의 디바이스를 활용한 고령 보행자용 보행 안전 시스템으로 기존의 하지 운동의 보행 패턴으로 보행자의 낙상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팔 스윙 기반의 보행 패턴을 활용한다. 팔 스윙 기반 보행 패턴은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팔의 스윙을 통해 걸음수 및 보행자의 낙상 상황을 인지하며 낙상 상황이 발생하는 위치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령 보행자에게 낙상 발생 예상 위치 근처를 보행할 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여 고령자에게 보행 안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고령자의 안전한 보행 권리 및 환경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