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T sensors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8초

멀티 모달 기반의 스마트 감성 주얼리 (Smart Affect Jewelry based on Multi-modal)

  • 강윤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317-1324
    • /
    • 2016
  • 아두이노 플렛폼을 활용하여 스마트 주얼리에 보석처럼 빛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감성적인 주얼리로 색을 표현하였다. 감성적인 색 표현을 위해 플러칙의 감정 팽이 모형을 활용하여 감정과 색의 유사성을 적용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온도, 조도, 소리, 자이로 센서와 스마트 주얼리의 맥박센서로부터 인식된 값을 입력받아 감성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과정은 온톨로지 기반의 추론규칙을 적용하고, 상황정보에서 나타난 감성에 따라 감성 색을 찾고 그 감성 색을 스마트 주얼리의 LED에 적용하였다. 주얼리 착용자의 감정에 따라 스마트 주얼리에 내장된 LED에 결정된 감성 색으로 빛을 냈다.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서 클라우드와 학습된 요소 공유 방법 기반의 효율적 엣지 컴퓨팅 설계 (Design of Efficient Edge Computing based on Learning Factors Sharing with Cloud in a Smart Factory Domain)

  • 황지온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67-2175
    • /
    • 2017
  • 최근 사물인터넷은 인공지능의 발전, 연결된 기기의 증가와 클라우드 시스템의 높은 성능으로 인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많은 기기와 센서로부터 생산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들은 지능적 진단, 추천 서비스 뿐 아니라 스마트 관제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 영역의 확대를 이끌고 있다.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에 대한 연구는 높은 성능을 지닌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작은 또 하나의 서버로써의 역할에 국한되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미성에 따른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범용적 서버로써의 역할보다는 도메인에 특화된 기능과 요구사항을 지녀야 한다. 스마트 팩토리에서의 엣지는 제한적 필터링, 사전 포맷팅을 포함하는 전처리와 그룹 컨텍스트 융합, 지역적 룰의 관리 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장 특성에 맞는 효율성과 강건함 측면을 강조하는 요구사항들을 도출하고, 클라우드와 학습된 요소 공유 방법을 기반으로 하는 엣지 컴퓨팅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엣지는 네트워크 자원 소모를 감소시키고 룰과 학습화된 모델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세먼지, 악취 농도 예측을 위한 앙상블 방법 (Ensemble Method for Predicting Particulate Matter and Odor Intensity)

  • 이종영;최명진;주영인;양재경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03-210
    • /
    • 2019
  •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produced research and reports in order to forecast more exactly air quality such as particulate matter and odor. However, such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atmospheric diffus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air quality prediction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a. Even though it has various merits, it has some limitation in that it uses very limited spatial attributes such as geographical attributes. Thus, we propose the new approach to forecast an air quality using a deep learning based ensemble model combining temporal and spatial predictor. The temporal predictor employs the RNN LSTM and the spatial predictor is based 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he ensemble model also uses the RNN LSTM that combines two models with stacking structure. The ensemble model is capable of inferring the air quality of the areas withou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nd even forecasting future air quality. We installed the IoT sensors measuring PM2.5, PM10, H2S, NH3, VOC at the 8 stations in Jeonju in order to gather air quality data.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our new model has very exact prediction capability with comparison to the real measured data. It implies that the spatial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 more exact air quality prediction.

Worker-Driven Service Development Tool for Smart Factory

  • Lee, Jin-He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43-150
    • /
    • 2020
  • 최근 모바일, 클라우드, 그리고 사물인터넷의 융합으로 다양한 스마트팩토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많은 기업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은 근로자 관점에서 구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로자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스마트공장 서비스를 수요자들이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작을 현장 근로자가 직접할 수 있는 개발도구를 구현하였다. 서비스에 사용되는 제조데이터는 제조설비와 연결된 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내에 저장된다. 그리고 플랫폼에 저장된 제조데이터로부터 설비 모니터링, 공정상태분석, 설비 제어 등 다양한 스마트 공장 서비스를 근로자가 직접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매우 쉽게 만들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특히 소규모 제조 기업에서 기업의 특정 목적에 맞게 수시로 서비스를 변경해야하는 환경에서 더욱더 큰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장 근로자의 스마트팩토리 운용 및 활용 능력 향상은 물론 중소기업의 스마트팩토리 인재 양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멀티터치 기술과 영상인식 기술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Smart Factory Platform based on Multi-Touch and Image Recognition Technologies)

  • 홍요훈;송승준;장광문;노정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팩토리 작업장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멀티터치 기술 기반 센서로부터 수집된 이벤트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장의 상태 감시와 이벤트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팩토리 작업장 내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작업자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얼굴인식을 통한 개별 작업자 인증으로 콘텐츠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제스처 인식을 통한 콘텐츠 제어 기능을 구축하여 작업자가 간단하게 문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모바일 장치에서도 얼굴인식 기능을 구현하여 작업자를 위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작업장 안전, 콘텐츠 보안, 작업자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원격 어항 관리 시스템 (Fishberry: A Remote Fishbowl Management System)

  • 신제우;차해운;김병갑;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5-102
    • /
    • 2019
  • 물고기 반려인들이 증가함에 따라 어항 관련 편의제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제품들은 기능이 부족하거나 비싼 가격으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어항의 센서, 모터 등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을 다루었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 째, 먹이지급 진행 및 예약. 둘째, 환수 진행 및 예약. 셋 째, 온도와 pH 수치의 측정 및 시각화 그리고 알림기능이다. 동작시간 측정 실험을 통해 외부에서도 시스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고, 날짜별 pH 측정 실험을 통해 언제 환수를 하는 것이 적절한지 검증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물고기를 더 편하고 안전하게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지능형 노지 농작물 관리 시스템 개발 (The Smart Outdoor Cultivation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 염성관;홍성광;고완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63-68
    • /
    • 2018
  • 농업 인구의 감소와 노령화로 인하여 온실 재배 중심의 스마트 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나 채소와 같은 작물의 경우 노지 재배가 70%를 차지한다. 이에 노지 농작물 재배의 자동화, 무인화 및 지능화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토양 오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노지 농작물 제배 시스템 구축 사례를 설명하고 노지작물 제배 시스템에서의 환경 변수를 정의하였다. 다양한 센서을 통해서 토양의 온도, 함수율, 전기전도도, 산성도를 측정하여 LoRa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로 정보를 전달하고, 서버는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비량 및 관수량을 제어한다. 노지농작물 재배에 적합한 통신 방식인 LoRa 기술을 이용하여 넓은 노지를 관리하고 생산량 및 판매실적까지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활기기 센서를 이용한 상황인지 온톨로지 모델링 (Context-aware Ontology Modeling using by Legacy Home Appliences)

  • 이은영;민욱기;원유석;김보남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7-740
    • /
    • 2013
  • 오래 전부터 홈 네트워크 컴퓨팅을 위하여 많은 스마트 홈 생활기기의 개발과 함께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실제 일상생활에서는 이미 구매한 생활기기의 긴 수명주기 때문에 건축물 신축 시 스마트 생활기기 및 관련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홈네트워킹을 위한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존(legacy) 생활기기를 사용하면서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를 이용하기위해 가전기기에 부착시킬 수 있는 인에이블러(enabler)를 사용한다. 다양한 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인에이블러는 각 센서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들을 사물웹 게이트 웨이로 전달하며 게이트웨이는 사용자의 간섭 없이 입력받은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에이블러의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을 자동으로 추론하여 실시간으로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인지 온톨로지 모델을 제시한다.

  • PDF

ILOCAT: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3차원 위치 획득 인터랙티브 GUI Toolkit (ILOCAT: an Interactive GUI Toolkit to Acquire 3D Positions for Indoor Location Based Services)

  • 김석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866-872
    • /
    • 2020
  •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람과 물체 간의 거리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는 최근 키넥트와 같은 저렴한 가격의 깊이 센서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다수의 깊이 센서들은 사람의 위치를 트랙킹하는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하지만 물체의 위치는 직접 수동으로 측정해야 한다. 물체의 3차원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3차원 인터랙션이 필요한데 이는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일반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의 경우에는 3차원 위치 획득이 제한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ILOCAT (Interactive LOcation Context Authoring Toolkit)을 제안한다. ILOCAT 은 일반 사용자들이 실공간에서 GUI를 활용하여 쉽게 물체의 3차원 위치를 취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ILOCAT 의 디자인 및 구현을 상세히 설명한다.

임펄스 잡음 환경에서 분할 마스크와 표준편차에 기반한 영상 복원 알고리즘 (Image Restoration Algorithm based on Segmented Mask and Standard Deviation in Impulse Noise Environment)

  • 천봉원;김우영;사공병일;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039-1045
    • /
    • 2021
  • 4차 산업 혁명과 IoT 기술의 발전으로 카메라 센서와 영상에 기반한 자동화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영상 및 신호처리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임펄스 잡음에 훼손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디지털 필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영상에 설정된 로컬 마스크를 기준으로 수직, 수평, 대각선 방향으로 8개의 마스크로 분할하며, 각 분할 마스크의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기준값을 구한다. 최종 출력은 공간적 거리에 따른 가중치와 기준값을 사용한 가중치를 로컬 마스크에 적용하여 계산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 알고리즘과 시뮬레이션하였으며, 확대영상과 PSNR 등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