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undation Area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6초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Applying with GIS)

  • 이창희;한건연;김지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에서의 침수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계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미국환경보호청(EPA)의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모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 배수 시스템에서의 도시유역 유출량 및 월류량을 계산하고, 지표면으로 월류된 유량에 대해 GIS를 이용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GIS를 이용한 침수해석 모형으로는 Level-Pool 침수해석모형과 DEM 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고 도시지역에서의 시간별 침수위 및 침수범위 등을 계산 할 수 있게 하였다. 도시배수시스템과 지표침수해석모형을 GIS를 이용하여 통합시킨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해서 배수 시설에서의 유출량 예측과 지표면에서의 월류유량의 전파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지역에서의 배수 시설의 설계 및 운영의 문제, 침수 예상도의 작성 및 각종 홍수 예경보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파제에 의한 범람면적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Inundation Areas by Levee Breaching using LISFLOOD)

  • 최천규;최윤석;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3-39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LISFLOOD 모형을 이용하여 범람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FLUMEN 모형에 의해 작성된 홍수범람도와 비교함으로써 국내하천에 대한 LISFLOOD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파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범람해석에 적용하였으며, 파제 시나리오별 범람해석 결과를 평가하였다.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파제 시나리오별 범람해석 결과, FLUMEN 모형에 의해 작성된 홍수범람도와의 각 파제 구간별 범람면적의 상대오차가 0.2% ~ 42% 정도로 파제 지점에 따라서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홍수위험지도 제작방법과 같이 파제 시나리오의 범람해석 결과를 중첩하여 작성된 두 모형의 최대 범람면적에서는 약 1.2%의 상대오차를 보임으로써 서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LISFLOOD 모형은 입력자료의 구축이 용이한 격자형태의 DEM과 상류단 경계조건인 수문곡선만을 활용하여 범람해석을 할 수 있으며, 범람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이 FLUMEN 모형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속한 범람해석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서는 LISFLOOD 모형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레이더 정량강우와 연계한 홍수유출 및 범람해석 시스템 확립 III. 2차원 홍수범람 모의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 최규현;한건연;김상호;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47-3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의 전파양상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2차원 범람홍수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으며, 레이더 정량강우-홍수유출-범람해석에 대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태풍 루사로 인한 감천 유역의 실제 제방붕괴 사례에 대한 적용을 실시하였으며,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자료인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고, 지상의 강우관측자료와 최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cokrig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레이더와 연계한 2차원 정량강우량은 유역에서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유역에서의 홍수량은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홍수범람모의를 위해 이용되었다. 모의결과는 실제 홍수흔적과 하천에서의 홍수위 자료 등과 비교하여 잘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수에 의한 침수 취약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Geographic Database for Prediction of Flood Vulnerable Area)

  • 황유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2-178
    • /
    • 2006
  • 홍수가 발생했을 때 침수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피해를 예방하며 인적.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관련된 연구에는 지형학적방법, 과거자료를 활용하는 방법,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본 연구는 문산천과 곡릉천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지역은 저지대의 넓은 평야로서 홍수에 취약한 지역이다. 과거 홍수자료와 지형정보를 이용 분석했다. 표고가 낮으면서 경사도가 낮은 지역은 홍수에 의한 침수 가능성이 높으므로 선행연구에서 표고 50m 이하의 지역을 침수예측 지역으로 제시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고도 10 m 지역범위가 1999년, 1998년 침수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더욱 더 일치하며, 경사 분석에서는 경사도 5도 이하 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일치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의 도시계획 또는 국토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 구축된 다양한 주제도를 활용하여 재해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 PDF

SWMM과 FLUMEN을 이용한 수영.망미 저지대의 침수 분석 (Inundation Analysis of Suyoung.Mangmi Lowland Area Using SWMM and FLUMEN)

  • 강태욱;이상호;정태훈;오재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149-158
    • /
    • 2010
  • 최근 우리나라의 강수량과 호우의 발생 일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홍수 재해의 피해액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MM과 FLUMEN 모형을 이용하여 부산의 수영과 망미 지구에 대한 침수 상황을 분석하였다. 수영과 망미 지구는 1995년 이래 침수위험지구였다. 이 지역의 최근 침수는 2009년 7월 7일과 16일의 호우에 의하여 발생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16일의 침수 상황을 분석하였다. 계산의 첫 번째 단계는 SWMM을 이용하여 우수관거를 흐르는 홍수 수문 곡선을 산정하는 것이다.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FLUMEN을 이용하여 침수 분석에 사용되었다. 침수 분석의 결과는 연구 지역의 실제 침수 상황과 비교 분석되었다. 실제 최대 침수심은 7월 16일에 1.0 m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에 반해 계산 결과는 최대 침수심이 약 1.2 m에 이르러, 다소 크게 추정하고 있다. 오차의 원인은 홍수유출량 산정의 오차와 FLUMEN을 이용한 모의에서 건물의 지하층으로 유입된 수량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것 때문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침수 분석에 사용한 모형과 일련의 분석 과정은 호우에 따른 침수와 배수 능력을 검토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Development of Numerical Model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a River with GIS Application

  • Lee, Hong-Rae;Han, Kun-Yeun;Kim, Sang-Ho;Choi, Hyun-Sa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10권
    • /
    • pp.59-72
    • /
    • 1999
  • FIAS(Flood Inundation Analysis System) using Arc/Info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Namhan River basin. The DWOPER model is revised and expanded to handle simultaneous multiple overtopping and/or breaking, and to estimate the inundated depth and extents. The model is applied to an actual levee overtopping case, which occurred on August 23∼27, 1995 in the Namhan River. Stage hydrographs inside and outside of the levee are compared, then inundated discharges from overbank spilling are computed. The Graphic User interface is developed with AML. Two- and three-dimensional inundation map by Arc/Info are presented. The computed inundation extends agree with observations in terms of inundated depth and flooded area. The FIAS is useful for the analysis of flood hazards and preparation of inundation map for river basins.

  • PDF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홍수범람정보의 3차원 가시화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Flood Inundation for Local Inundation Map)

  • 이진우;김형준;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79-182
    • /
    • 2008
  • This study simulated the flood inundations of the Nakdong River catchment running through Yangsan, a small city located in the south eastern area of Korea by using the depth 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numerical model. The numerical model employs the staggered grid system including moving boundary and a finite different method to solve the Saint-Venant equations. A second order upwind scheme is used to discretize the nonlinear convection terms of the momentum equations, whereas linear terms are discretized by a first order leap-frog scheme(Cho and Yoon, 1998). The numerical model was applied to a real topography to simulate the flood inundation of the Yangsan basin. The numerical results for urban district are visualized in three dimension. These results can be essentially utilized to construct the three dimensional inundation map after building the GIS-based database in local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to protect the life and property safely.

  • PDF

SWMM을 이용한 도시지역 내수침수 취약성 평가 (A study of Assessment for Internal Inundation Vulnerability in Urban Area using SWMM)

  • 손태석;강동호;장종경;신현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05-117
    • /
    • 2010
  • 도시지역의 지형적인 저지대, 배수능력 부족, 하수역류 노면배수 등은 내수침수의 주요원인이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증가, 경제발전과 인구증가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 도시지역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도시지역 내수침수의 위험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부산시 대표 도시하천인 온천천을 대상유역으로 하여 SWMM 모형을 구축하고 각 소유역의 대표 우수관을 선정하여 강우에 의한 도시하천 내수침수 위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침수위험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SWMM모형 내 관거의 용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Capacity를 이용하였으며 Capacity에 따라 내수침수 위험도를 1단계에서 4단계로 구분하였다.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은 2009년 7월 7일 부산시 집중호우에 의한 실제침수 구역과 SWMM 모형의 모의에 의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부산지점 빈도별(10, 20, 50, 100년) 지속시간별(6, 12, 18, 24hr) 확률강우량을 입력하여 내수침수 위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예경보 및 내수침수 취약지구 선정에 활용가능할 것이다.

Flood Hazard Map in Kumagaya City

  • Tanaka, Seiichiro;Ogawa, Susum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63-765
    • /
    • 2003
  • We made a hazard map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for he greatest inundation damage that happened for the 20th century. We calculated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from 1983 to 2000. We calculated it from a damage report and an aerial photo for a flood. We considered relation of both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the damage. We expected the inundation damage in the future and made a hazard map.

  • PDF

침수피해 정보를 이용한 농경지의 지형학적 침수취약지도 작성 - 진주시를 사례로 - (Mapping of Inundation Vulnerability Using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Flood-damaged Farmlands - A Case Study of Jinju City -)

  • 김수진;서교;김상민;이경도;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51-5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map of farmland vulnerability to flood inundation based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from the flood-damaged areas. Vulnerability mapping based on the records of flood damages has been conducted in four successive steps; data preparation and preprocessing,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 criteria, calcul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using a fuzzy membership function, and evaluation of inundation vulnerability. At the first step, three primary digital data at 30-m resolution were produced as follows: digital elevation model, hill slopes map, and distance from water body map. Secondly zonal statistics were conducted from such three raster data to identify geomorphic features in common. Thirdly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was defined as the value of 0 to 1 by applying a fuzzy linear membership function to the accumulation of raster data reclassified as 1 for cells satisfying each geomorphic condition. Lastly inundation vulnerability was suggested to be divided into five stages by 0.25 interval i.e. extremely vulnerable, highly vulnerable, normally vulnerable, less vulnerable, and resilient. For a case study of the Jinju, farmlands of $138.6km^2$, about 18% of the whole area of Jinju, were classified as vulnerable to inundation, and about $6.6km^2$ of farmlands with elevation of below 19 m at sea water level, slope of below 3.5 degrees, and within 115 m distance from water body were exposed to extremely vulnerable to inundation. Comparatively Geumsan-myeon and Sabong-myeon were revealed as the most vulnerable to farmland inundation in the Jin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