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undation Analysis System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6초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 피해 규모 추정 (Estimation of Inundation Damages of Urban area Around Haeundae Beach Induced by Super Storm Surge Using Airborne LiDAR Data)

  • 한종규;김성필;장동호;장태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41-350
    • /
    • 2009
  •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해 태풍의 강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피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전에 침수예상지역 및 예상피해규모를 파악하고, 대비하는 일은 아주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3년 부산과 경남지역 연안을 강타한 태풍 Maemi(매미)의 이동경로에 태풍 매미를 비롯하여 Vera(베라)(일본 이세만, 1959), Durian(두리안)(필리핀, 2006) 그리고 2005년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Katrina(카트리나)의 특성을 갖는 슈퍼태풍의 내습을 가정하여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의 침수피해규모를 추정하였다. 태풍별 해수면 상승고는 기존 연구자들의 수치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육상표고와 해저수심의 서로 다른 기준면을 통일시킨 후 계산하였고, 항공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GIS 공간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침수고, 침수면적 및 건물피해액을 추정하였다. 태풍의 강도와 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근년에 Katrina(카트리나)급의 슈퍼태풍이 내습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 연구결과는 연안 도심지역에 대한 해안침수예상도와 범람피난지도를 제작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1D-2D 통합 도시 침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침수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Simulation and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using the integrated 1D-2D urban flood model)

  • 이승수;노성진;장철희;이동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263-275
    • /
    • 2017
  • 고정확도의 도시침수 모의를 위해서는 물리적 개념에 기반한 통합적 수치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ee et al. (2015)이 개발한 1차원 하수관망, 2차원 범람 모형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고, 과거 도시 홍수 사상의 침수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모형은 이중배수 개념에 기반하여 멘홀 대신 집수구를 지표면과 하수관망 사이의 교환유량 산정 지점으로 이용하므로 보다 실제와 유사하게 침수 과정을 모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표면 범람 해석시 건물에 의한 차단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은 서울 사당 유역에서 발생한 침수 사상에 대해서 재현 모의를 통해 검증하였다. 적용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은 실제 침수 피해 영역을 실제와 유사하게 모의 하였을 뿐만 아니라 침수 원인을 보다 자세히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보여주었다.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내외수 연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oupled Model for the Flood Inundation Simulation)

  • 김형준;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47-105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coupled model for the flood analysis. Firstly, the model(river model) describing the inundation in a river solves the two-dimensional Saint Venant equations with a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it is possible moving boundary treatment. The other model(inland model) in developed based on the ILLUDAS model to describe the conveyance capacity of a stormwater sewer system. Finally, a coupled model is applied to a real situation. The newly developed coupled model simulates reasonably the flood event occurred in a river and a inland simultaneously

  • PDF

Impact of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Sewer and Surface flow on 2011 Urban Flooding in Sadang stream watershed, Korea

  • Pakdimanivong, Mary;Kim, Yeonsu;Jung, Kwansue;Li, He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397-397
    • /
    • 2015
  • The frequency of urban floods is recently increased as a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and haphazard development in urban area. To mitigate and prevent the flood damage, we generally utilized a numerical model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risk of urban flood. Contrary to general flood inundation model simulating only the surface flow, the model needs to consider flow of the sewer network system like SWMM and ILLUDAS. However, this kind of model can not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flow and drainage network. Therefore, we tried to evaluate the impact of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sewer and surface flow in urban flooding analysis based on simulations using the quasi-interacted model and the interacted model. As a general quasi-interacted model, SWMM5 and FLUMEN are utilized to analyze the flow of drainage network and simulate the inundation area, respectively. Then, FLO-2D is introduced to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flow and sewer system. The two method applied to the biggest flood event occurred in July 2011 in Sadang area, South Korea. Based on the comparison with observation data, we confirmed that the model considering the interaction the sewer network and surface flow, showed a good agreement than the quasi-interacted model.

  • PDF

도시 하수관거 설계 방법의 적정성 평가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methodology for urban sewer system)

  • 박주현;김선호;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411-42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식 기반의 하수관거 설계모델 Makesw와 도시유출해석모델 SWMM을 활용한 국내 하수관거 설계 방법의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다. 대상유역으로는 군자배수구역을 선정하였으며, 강수량, 유량, 토지피복도, 토양도, 불투수도, 수치지형도의 자료를 수집하여 홍수량 산정에 활용하였다. 적정성 평가는 SWMM 기반 홍수량을 기초로 Makesw 기반 홍수량과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홍수량 비교분석은 설계강우와 실제 침수강우사상 기반의 Makesw와 SWMM의 홍수량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설계강우 기반 홍수량 비교 결과 유역의 간선에서는 합리식 설계홍수량이 SWMM 설계홍수량보다 과대모의 하였으나, 유역 내 지선에서는 합리식 설계홍수량이 과소모의되는 관거가 다수 나타났다. 또한 실제 침수사상 적용 결과, 간선 및 지선에서 합리식 모델의 홍수량이 SWMM의 홍수량보다 과소모의되는 관거가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유역 중심에 위치하는 간선, 1차 2차지선에서 유량 차이가 큰 관거가 집중되었다. 따라서 합리식 설계방법은 보수적인 설계방법이라고 말하기 어려우며, 하수관거 설계시 정상류해석 방법인 합리식과 부정류 해석방법인 SWMM을 활용한 설계를 병행하고 안정적인 해석결과를 활용하여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지적정보 기반의 강우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Analysis of Flooded Areas for Cadastral Information-Based Rainfall Frequencies)

  • 민관식;이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110
    • /
    • 2010
  • 태풍 및 국지성 폭우로 인한 침수 및 범람지역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재해 이력에 대한 체계적 구축과 침수 예측에 대한 정략적 분석을 통한 재해 예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피해지역의 수치영상을 기반으로 피해조사 범위 산정의 기반 자료와 속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체계 매핑 기술을 사용하여 수치영상과 피해지역 연속지적도의 속성정보 융합을 통해 현장 실사용 재해정보지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재해정보의 고도화를 위해 홍수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상 지역의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돌발홍수 예측지역을 표시하였으며 지적 정보를 활용하여 빈도별 침수면적 및 침수피해율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사전에 자연재해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자연재해관리 업무 효율성 및 대응능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낙동강 제방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 해석 (Flood Inundation Analysis from Levee Failure in Nakdong River)

  • 전민우;한건연;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259-26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제방의 월류 및 붕괴에 따른 홍수파가 제내지로 전파되는 경우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하천에 대한 홍수류 해석은 Preissmann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제내지에서의 범람해석을 위해 2차원 모형을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이들 두 모형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하도-제내지 연결부 수치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에서는 잠수효과의 해석을 위한 관련방정식을 도입하여 제내지에서의 수위 상승에 따른 하천으로부터의 월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2002년 9월 낙동강 유역 실제 제방붕괴의 경우에 적용하여 제내지에서의 2차원 범람양상을 유속분포와 범람수심에 대해서 주요 시간대별로 계산하여 도시하였으며 모의결과는 당시의 실측자료 및 홍수범람범위와 잘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확률년수의 설정이 우수관거 설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infall Design Frequency Determination on the Design of Storm Sewer System)

  • 이철규;현인환;독고석;김형준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47-654
    • /
    • 2005
  • Recently, the economic losses caused by inundation are increasing due to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e., intensive land utilization and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properties. It is regarded that the role of the storm sewer systems in urban areas becomes more important as one of th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the inundation loss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rainfall design frequency enhancement on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torm sewer systems were analyzed by increasing the design frequency from the present design frequency of the sewer systems, which is 5~10 years, to 15 years, 20 years and 30 years. The change rate functions of the design discharge and construction cost based on the various design frequencies were derived by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change the rate of design discharge at 15, 20, 30 years rainfall design frequencies were increased by 10%, 17.1%, and 27.2%,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hat at 10 year frequency.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design frequency from 10 years to 15 years, 20 years and 30 years, the construction costs were increased by 5.0%, 8.0% and 12.4%, respectively. Finally, their reliabilities need to be tested by applying the rate functions to the real storm sewer districts.

하천구역내 저지대 침수예측을 위한 낙동강 친수지구 홍수예측체계 구축 및 적용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Flood Forecasting System for Waterfront Belt in Nakdong River Basin for the Prediction of Lowland Inundation of River.)

  • 김태형;곽재원;이종현;김극수;최규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4-294
    • /
    • 2019
  • 현재 홍수통제소에서 하천의 홍수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은 저류함수법 등에 의한 강우-유출모형과 FLDWAV 모형에 의한 수리학적 모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스템은 주로 홍수특보지점의 기준수위 초과여부를 예측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한편 공원 캠핑장 자전거 도로 등 친수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하천변의 관리와 운영을 위한 정보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특정지점의 주의보, 경보 등의 고수위 예측 뿐만 아니라, 하천내에서 친수공간으로 활용되는 저지대 침수예측정보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으로 활용되는 하천내 저지대의 홍수예측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1차원 수리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도버퍼링 기법을 통해 고해상도 격자 기반의 공간연산을 수행하는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해석결과로 격자기반의 침수심 및 침수구역이 표출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다. 안동지구를 대상으로 지형정보 및 시설물 정보를 반영하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안동댐 및 임하댐의 가상 방류 시나리오를 통해 친수공간의 방류량 규모별 침수여부 및 침수정도를 분석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친수지구의 침수예측정보를 관계기관에 사전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 지자체의 수방활동 및 재해예방 활동에 지원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