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looded Areas for Cadastral Information-Based Rainfall Frequencies

지적정보 기반의 강우빈도별 침수지역 분석

  • 민관식 ((주)고원항공정보 GIS연구소) ;
  •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9.11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increased occurrence of flooding due to typhoons and local rainfall has necessitated damage prevention through the systematic construction of damage history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ood prediction data.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disaster information map for practical use by combining digital images and continuous cadastral maps of damaged areas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provide basic data and attribute information. In addition, we predicted the areas at risk of flash floods by calculating the flood capacity of the study area for different rainfall frequencies through flood inundation simulation, which was used to obtain comprehensive disaster information. Further, we calculated the extent of the flooded area and the damage rate for different rainfall frequencies using cadastral information. Flood inundation simulation in the case of heavy rainfall was found to help improve the ability to react to a flood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cue work by supporting decision-making for disaster management.

태풍 및 국지성 폭우로 인한 침수 및 범람지역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재해 이력에 대한 체계적 구축과 침수 예측에 대한 정략적 분석을 통한 재해 예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피해지역의 수치영상을 기반으로 피해조사 범위 산정의 기반 자료와 속성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체계 매핑 기술을 사용하여 수치영상과 피해지역 연속지적도의 속성정보 융합을 통해 현장 실사용 재해정보지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재해정보의 고도화를 위해 홍수범람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상 지역의 빈도별 홍수량을 산정하여 돌발홍수 예측지역을 표시하였으며 지적 정보를 활용하여 빈도별 침수면적 및 침수피해율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사전에 자연재해 예방 및 대책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자연재해관리 업무 효율성 및 대응능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혁, 2009. 기후변화에 따른 시가지 침수 및 대응방안 연구-도시 범람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강원발전연구원. 74쪽.
  2. 김종순, 이영대, 오국열. 2009. 하천수위에 의한 침수피해 평가 시스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1):151-158.
  3. 소방방재청, 2006. 재해지도 작성 기준 등에 관한 지침 고시 제2006-6호. 68쪽.
  4. 심재현. 1996. 재해피해조사 절차 및 피해액 산정의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6-20쪽.
  5. 심재현. 1998. 재해피해 산정의 합리화 방안.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128쪽.
  6. 엄대용, 김지혜. 2009. GIS 홍수 시뮬레이션에 의한 댐 상류 유역의 침수 취약지역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7(6):723-731.
  7. 원대희, 김계현, 박태옥, 최현우, 곽태식. 2004. GIS를 활용한 연안침수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2(1):69-77.
  8. 유환희, 김원석, 김성삼. 2006. 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피해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4(3):299-309.
  9. 이재원. 2007.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안 매립지역 침수예상도 제작. 한국지형공간학회지 15(4):97-102.
  10. 이형석. 2006. GIS를 이용한 지진해일시 연안의 침수 흔적 및 예상 지역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4(2):175-182.
  11. 정경진, Chen, Huaiqun, Kim, Albert S. 2005.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유역 내 침수피해 예측모형의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5(2):9-16.
  12. 정재욱, 이재응, 김진영, 윤세의. 2004. 상류유역 개발에 따른 하류부 침수피해 영향 분석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4(2):1-12.
  13. 최현, 안창환. 2007. GIS와 MD-FDA를 연계한 예상침수지역의 경제성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25(6-2):599-611.
  14. 한종규, 김성필, 장동호, 장태수. 2009.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한 슈퍼태풍 내습시 해운대 해수욕장 인근 도심지역 침수피해 규모 추정. 한국GIS학회지 17(3):341-350.
  15. Kaab A. 2000. Photogrammetry for early recognition of high mountain hazards: New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 B: Hydrology, Oceans and Atmosphere, 25(9):765-770. https://doi.org/10.1016/S1464-1909(00)00099-X

Cited by

  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피해자 관리시스템 vol.14, pp.1, 2010, https://doi.org/10.11108/kagis.2011.14.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