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vitreal Injectio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유리체강 내 주입술을 받는 망막질환자의 시각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tinal Diseases Receiving Intravitreal Injections)

  • 김현영;하영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54-65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tinal diseases receiving intravitreal injections by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anxiety, depression, coping, eye health behaviors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One hundred and five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macular degeneration and diabetic retinopathy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during August 16, 2019 to March 25, 2020.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Results: The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tinal disease patients with intravitreal inj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F=3.01, p=.034), subjective economic status (F=5.83, p=.004), types of retinal disease (t=2.62, p=.010), and disease in both eyes (t=-3.04, p=.003). The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r=.24, p=.012),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nxiety (r=-.66, p<.001), depression (r=-.48, p<.001), and emotion-focused coping (r=-.20, p=.036).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s affecting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etinal diseases were anxiety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accounting for 47.0% of the variances of the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Based on our result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pay attention to pati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due to frequent treatments. Also, a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decrease anxiety for outpatients receiving intravitreal injections to improve their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유리체내주사 치료의 장기 임상 결과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jections to Treat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Long-term Treatment Outcomes)

  • 박유정;손지성;김윤전;김중곤;윤영희;이주용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2호
    • /
    • pp.1142-1151
    • /
    • 2018
  • 목적: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 대한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의 장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 진단 후 treat-and-extend 또는 as needed 방법으로 7년 이상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에 대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사 횟수, 최대교정시력 및 중심망막두께 등을 평가하였으며, 장기간 주사 치료에 따른 부작용 여부를 같이 조사하였다. 결과: 총 196명의 196안을 분석하였다(평균 나이 $68.6{\pm}9.6$세, 여성 77명). 평균 $78.0{\pm}16.5$개월 경과관찰하였고, 해당 기간 동안 평균 $17.3{\pm}13.5$회의 유리체내주사가 시행되었다. 치료 전 측정한 최대교정시력은 평균 $0.75{\pm}0.58$ logMAR, 중심망막두께는 $349.7{\pm}152.6{\mu}m$였고, 6개월째 두 수치 모두 최대 호전을 보였으나(p<0.05), 이후 점차 악화 소견을 보이며 7년째 최대교정시력 $0.91{\pm}0.78$ logMAR, 중심망막두께 $284.5{\pm}105.8{\mu}m$로 확인되었다. 주사 후 7년째 시력은 치료 전 시력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장기간 주사 동안 총 11회의 안압상승 및 3회의 전방 내 염증 증가 소견이 있었으나 안내염 등의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삼출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유리체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 후 초기 6개월간의 최대 시력 호전이 있었으나 5년 이상 경과 시 지속적인 시력 저하를 막지 못하였다. 진단 당시 시력이 장기 시력예후와 관련된 중요 예측 인자로 판단되며 적극적인 유리체 내주사 치료를 통해 더 나은 장기 시력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Efficacy, Safety, and Anatomical Outcomes

  • Kang, Hyun Goo;Choi, Eun Young;Byeon, Suk Ho;Kim, Sung Soo;Koh, Hyoung Jun;Lee, Sung Chul;Kim, Min
    •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 /
    • 제32권6호
    • /
    • pp.451-458
    • /
    • 2018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safety, and anatomical outcomes associated with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intravitreal anti-VEGF (bevacizumab or ranibizumab) treatment of 153 eyes (83 infants) diagnosed with ROP at two tertiary hospitals from June 2011 to January 2017. The primary outcome was the rate of recurrence requiring additional treatment; secondary outcomes included incidence of major complications and final refractive error. Results: A total of 101 eyes were treated with bevacizumab, and 52 with ranibizumab. The bevacizumab and ranibizumab groups were characterized by mean birthweights of $941.8{\pm}296.1$ and $1,257.7{\pm}514.5g$, gestational ages at birth of $26.9{\pm}1.9$ and $28.1{\pm}3.2$ weeks, and postmenstrual ages at treatment of $40.4{\pm}2.4$ and $39.2{\pm}2.3$ weeks, respectively.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birthweights and gestational ages at birth, but not in postmenstrual ages at treatment.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30.9{\pm}18.4$ months for the bevacizumab group, and $13.9{\pm}12.5$ months for ranibizumab. More cases were classified as zone 1 ROP in the ranibizumab group (44.2% vs. 11.9%, p < 0.001). Major surgical interventions included scleral encircling and vitrectomy (one and two eyes, respectively, both in the bevacizumab group). Retinal detachment was noted in one eye treated with bevacizuma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st recent spherical equivalence for the two groups ($+0.10{\pm}3.66$ and $+0.22{\pm}3.00$ diopters for bevacizumab and ranibizumab, respectively). Un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ROP stage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major complications (odds ratio, 9.046; p = 0.012). Conclusions: Intravitreal anti-VEGF treatment of ROP with both bevacizumab and ranibizumab achieved stable retinal vascularization with a low rate of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Ranibizumab achieved similar anatomical outcomes as bevacizumab, without additional risk for major complications.

The Bcl-2/Bcl-xL Inhibitor ABT-263 Attenuates Retinal Degeneration by Selectively Inducing Apoptosis in Senescent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 Wonseon Ryu;Chul-Woo Park;Junghoon Kim;Hyungwoo Lee;Hyewon Ch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46권7호
    • /
    • pp.420-429
    • /
    • 2023
  •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in elderly individuals. However, the currently used intravitreal injections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re invasive, and repetitive injections are also accompanied by a risk of intraocular infection. The pathogenic mechanism of AMD is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but a multifactorial mechanism that combines genetic predis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cellular senescence, has been suggested. Cellular senescence refers to the accumulation of cells that stop dividing due to the presence of free radicals and DNA damage. Characteristics of senescent cells include nuclear hypertrophy, increased levels of cell cycle inhibitors such as p16 and p21, and resistance to apoptosis. Senolytic drugs remove senescent cells by target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se cells. One of the senolytic drugs, ABT-263, which inhibits the antiapoptotic functions of Bcl-2 and Bcl-xL, may be a new treatment for AMD patients because it targets senescent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cells. We proved that it selectively kills doxorubicin (Dox)-induced senescent ARPE-19 cells by activating apoptosis. By removing senescent cell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as reduced,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remaining cells was increased. When ABT-263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mouse model of senescent RPE cells induced by Dox, we confirmed that senescent RPE cells were selectively removed and retinal degeneration was alleviated. Therefore, we suggest that ABT-263, which removes senescent RPE cells through its senolytic effect, has the potential to be the first orally administered senolytic drug for the treatment of AMD.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미치는 갭 정션의 역할: 시각운동 반응 측정 (The Role of Gap Junction in the Goldfish's Motion Detection Measured with Optometer Response)

  • 이영섭;윤영현;정창섭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4호
    • /
    • pp.252-259
    • /
    • 2006
  • 갭 정션(gap junction)은 다양한 세포에 분포되어 있으며 분자 수준의 작은 물질들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전기적 시냅스다. 망막에서, 갭 정션의 차단이 동물의 동작 감지(motion detection)에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세포간의 전기적 시냅스를 조절하는 약물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각운동 반응(optometer response, OMR)이 사용되었다. 갭 정션 차단제인 carbenoxolone, 8-bromo cyclic AMP, sodium nitroprusside (SNP), 8-bromo-cyclic GMP 등의 초자체 내 주사는 광- 및 암-상태에서 모두 OMR을 감소시켰다. 광-상태에서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켰다. 암-상태에서는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 즉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망막 세포들 사이의 갭 정션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분석 (Analysis of 25-Hydroxy Vitamin D in the Aqueous Humor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Patients)

  • 송원석;윤원태;김용규;박성표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24-1029
    • /
    • 2018
  • 목적: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의 방수 내 비타민 D 농도를 측정하여, 체내 비타민 D 농도가 질병의 임상 양상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50세 이상의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 34명 52안과, 망막 질환이 없는 백내장수술 환자 17명 23안에서 안구 방수를 채취하여 비타민 D 농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환자군을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수치의 중간값을 기준으로 수치가 높은 군과 낮은군으로 나누어 황반변성과 관련된 여러 임상 양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황반변성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황반변성군 $10.03{\pm}10.1ng/mL$ vs. 대조군 $40.8{\pm}16.4ng/mL$, p<0.001). 환자군 내에서 비타민 D 수치가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섬유혈관성 망막색소상피박리 유형의 비율이 높았다(높은 군 65% vs. 낮은 군 27%, p=0.003). 다중 선형 회귀 분석 결과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수치와 6개월 이내 총 주사 횟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standardize coefficient ${\beta}=-0.336$). 결론: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안구 방수 내 비타민 D 수치가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환자군 내에서는 비타민 D 수치가 낮을 시 더 많은 유리체강 내 주사치료 횟수와 관련되는 한편, 수치가 높은 경우 섬유혈관성 망막색소상피박리 및 더 낮은 시력과 관련을 보이는 등 관련성은 일정하지 않았다. 눈에서의 국소적인 비타민 D 수치와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시행 후 시력 반응의 의의 (Significance of Early Visual Responses to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송희준;양지호;김도균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30-1038
    • /
    • 2018
  • 목적: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 및 3회 시행 후 1개월째 시력 반응의 정도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시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주입술로 치료하면서 12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30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유리체강 내 주입술 1회 시행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고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여 상승 정도(<1, 1-<3, ${\geq}3$줄; logMAR)에 따른 치료 시작 후 12개월째 최대교정시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첫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6안(2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7안(23.3%), 3줄 이상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7안(56.6%)이었다. 세 번째 주사 후 1개월째 1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1줄 이상 3줄 미만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9안(30%),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을 보인 군은 12안(40%)이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선형회귀분석에서 3회 주입술 후 1개월째의 3줄 이상의 시력 향상은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상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 결론: 신생혈관 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유리체강 내 주입술 3회 시행 후 1개월째 3줄 이상의 시력 향상 여부는 치료 시작 12개월 후의 3줄 이상의 시력예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시경섬유층 두께의 장기간 변화 2예 (Two Cases of Long-Term Changes in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Diabetic Papillopathy)

  • 김종진;임종찬;신재필;김인택;박동호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4권9호
    • /
    • pp.1445-1451
    • /
    • 2013
  • 목적: 당뇨병유두병증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를 장기간 측정한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36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안저검사상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다.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우안의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278{\mu}m$로 증가 소견, 시야검사상 우안 코쪽에 국소적인 협착을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35{\mu}m$로 감소했으며 시력도 20/25로 호전되었으나, 좌안 시력저하(20/32)와 망막신경섬유층 두께가 $207{\mu}m$로 증가하였다. 좌안 베바시주맙 주입술을 하였고, 3주 후 두께는 $147{\mu}m$로 감소했고 시력도 20/20으로 호전되었다. 이 후 점차적으로 양안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감소하였고, 1년 후 검사에서 우안 $87{\mu}m$, 좌안 $109{\mu}m$였다. 57세 당뇨환자가 우안 시력저하(20/200)로 내원하였고 우안의 시신경유두부종과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252{\mu}m$로 증가된 소견 및 시야검사상 맹점확대를 보였다. 우안 베바시주맙 주입술 3주 후 두께는 $136{\mu}m$로 감소했고 시력은 20/70으로 호전되었으며, 3개월 후 $104{\mu}m$, 6개월에는 $83{\mu}m$로 감소했다. 결론: 본 증례에서 유리체강내 베바시주맙 주입술 후 3주내 시력의 상승과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를 통한 1년간 평균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5,7-Dihydroxytryptamine의 세포독성에 의한 고양이 망막내 미세아교세포의 반응양상 (Microglial Reaction to the Cytotoxicity of 5,7-Dihydroxytryptamine in the Cat Retina)

  • 주우현;남성안;조승묵;조현후;신민철;원무호;최창도
    • Applied Microscopy
    • /
    • 제28권4호
    • /
    • pp.425-434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degenerative changes in the cat retina.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dult cats of both sex, weighing $2,500g\sim3,500g$. 5,7-DHT $(100{\mu}g)$ dissolved in 0.1% ascorbic acid was injected into the vitreous body. All injections were performed in one-side eye; the other side served as the control, which was injected only with 0.1% ascorbic acid. Cats were sacrificed at 1, 3, 7, 14 and 21 days after intravitreal injection of 5,7-DHT For light microscopy, retinae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processed using NDPase histochemistry. Same retinae were fixed with 1% para(formaldehyde-2.5% glutaraldehyde and processed for electron microscopy. NDPase-positive microglial cells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inner plexiform layer of the retina, and characterized by a small somata with a few slender processes, which were also extend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and inner nuclear layer (INL). The intensity of the microglia stained for NDPase was abruptly increased at 7 day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nd thereafter continuously sustained until 21 day, the last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Under the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microglial cells i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elongate nucleus with perinuclear chromatin condensation, and the perikaryon was scanty. However, a few hypertrophic glial cells were frequently found at 3 days after the drug injection. By 7 day, most microglial cells directed toward the degenerated neurons in the GCL, and the number of microglial cells was sligh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ormer group. At the 14 day, most microglial cells wrapped the degenerated cells in the GCL, and a few cells showed phagocytotic features. By 21 day, most microglial cells were engaged in phagocytotic activity, and their cytoplasm was filled with the phagorytosed material. Based on the results, 5,7-DHT may act as a specific neurotoxin to the cat retina, and microglial reactions to the neuronal death are already induced in early experimental s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icroglial cells in the cat retina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as a protective effect of neural tiss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