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stinal absorption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6초

납(Lead)이 취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Acetate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 신윤용;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5
    • /
    • 1981
  • No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lead compoun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biological function in animals. Lead is absorbed primarily through the epithelial mucosal cells in duodenum and the absorption can be enhanced by the substances which bind lead and increase its solubility. Iron, zinc and calcium ions, however, decrease the absorption of lead without affecting its solubility, probably by competing for shared absorptive receptors in the intestinal mucosa. Therefore, the absorption of lead is increased in iron deficient animals. Lead shows a strong affinity for ligands such as phosphate, cysteinyl and histidyl side chains of proteins, pterins and porphyrins. Hence lead can act on various active sites of enzymes, inhibiting the enzymes which has functional sulfhydryl groups. lead inhibits the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for the biosynthesis of hemoproteins and cytochrome, which catalyzed the synthesis of monopyrrole prophobilinogen from ${\delta}$-aminolevulinic acid. Accordingly lead decrease hepatic cytochrome p-450 content, resulting an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demethylase and hydroxylase in liver. Little informations are available on the effect of lead on digestive system although the catastrophic effects of lead intoxication are well documented.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in rats. Albino rats of both sexes weighing $170{\sim}230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three treated groups, i.e., control (physiologic saline 1.5ml/kg i.p.), lead acetate $(l0{\mu}mole/kg/day\;i.p.)$, $Pb(Ac)_2$ and EDTA$(each\;10{\mu}mole/kg/day\;i.p.)$, $Pb(Ac)_2$ and $FeSO_4(each\;l0{\mu}mole/kg/day\;hp)$. The pancreatico-biliary juice was collected under urethane anesthesia, and activities of amylase and lipase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Sumner's and Cherry and Crandall's meth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follows. 1) In the experiment for acute toxicity of lead acetate, 20% of mortality was observed in rat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amylase in the juice at the 3 rd day of the treatment. 2) No increas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hile in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However, the body weights of anima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lead acetate plus EDTA or $FeSO_4$. 3) Lead acetat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juice whereas additional treatment of EDTA and $FeSO_4$ prevented it. 4) Total activity of amylase was markedly reduced due to lead acetate treatment, but no change was showed following additional treatment with EDTA and $FeSO_4$. 5) No changes in the cholate and lipase outpu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ats. 6) Increase in bilirubin output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as shown on the 2nd and 3rd weeks treatment. 7) In the case of in vitro experiment, lead acetate also markedly inhibited release of amylase from pancreatic fragment. 8) Histologic finding indicated that acini vacuolation was induced in the pancreatic tissue of rat treated with lead acete.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lead acetate decreases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and inhibits the amylase activity, by acting directly on pancreatic cells.

  • PDF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의 발생 원인과 경감 방안에 대한 고찰 (Review: Distribution, Lactose Malabsorption, and Alleviation Strategies of Lactose Intolerance)

  • 윤성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55-62
    • /
    • 2009
  • 우유는 110여 종에 달하는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어 성장기 어린이들에게 영양학적으로 완전에 가까운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전세계 인구의 75% 정도가 유전적으로 유당을 소화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이른바 유당불내증 때문에 우유 소비를 가로막는 최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우유의 섭취 부족으로 인하여 영양소의 결핍이 초래되어 골다공증, 고혈압, 결장암의 발병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식품 중에 함유된 유당이 체내에 흡수되려면 소장내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나야 한다. 유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락타아제 또는 $\beta$-갈락토시다아제라 한다. 유당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포도당은 혈당이나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만, 갈락토오스는 유아의 뇌조직 성분인 당지질의 합성에 이용된다. 임상적으로 유당불내증은 breath hydrogen production test로 진단할 수 있다. 유당불내증은 유럽인 25%, 히스패닉계, 인도인, 흑인 및 유대인 50~80%, 아시아인과 아메리카 인디언의 경우 거의 100% 생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인의 경우 유당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능력 즉, 락타아제 지속성(lactase persistence)이 북유럽 인들에게는 흔한 표현형 인 반면 그 외 지역에서는 락타아제 비지속성(lactase non-persistence) 또는 성인형 저유당분해 효소증(adult-type hypolactasia)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유전자 분석 결과 인간의 락타아제 유전자의 5' 말단으로부터 13910째 염기의 다혈성(C/T-139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이 락타아제 지속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유당불내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1회분으로 한 컵 이하, 타 식품과 함께 마실 것, 탈지유보다는 전지유, 요구르트 유산균과 함께 마실 것 등이 권장되며 위배출지연도 유당불내증 개선에 효과적이다. 기존 유당불내증 진단법은 지나치게 많은 유당을 투여함으로써 유당불내증 비율이 과장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발효유 제품이나 저유당 제품을 개발하면 유당불내증으로 인한 유제품의 소비 부진을 크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장용성 연질 캡슐 오메가3 지방산의 흡수율 평가 (Absorption Evaluation of Enteric Coated Capsules Containing Omega 3 Fatty Acids)

  • 박으뜸;박유헌;박성선;서형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27-10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혈액 내에서의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연질 캡슐과 장용성 캡슐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Fish oil 중의 EPA와 DHA의 총합의 함량이 62.87 g/100 g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질 캡슐의 경우, 제 1시험액(위액)에서는 내부의 지방이 70% 용출된 반면, 장용성의 경우 10% 정도만이 용출되었다. 제 2액(소장액)에서도 6시간까지 50% 정도 용출되어 90분에 50%가 용출된 일반 연질 캡슐과 대조적이었다. 기존에 사용하였던 연질 캡슐의 EPA 및 DHA는 흡수 초기에 장용성 캡슐에 비하여 다소 높은 비율을 보인 반면, 8시간 이후 장용성 캡슐 섭취한 경우 EPA와 DHA의 혈액내 함량이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구 투여 48시간 후 지방산 조성은 장용성 캡슐에서는 mono-, poly-unsaturated fatty acid 혈액 내의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saturated fatty acid 함량 역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EPA와 DHA의 함량은 혈액 내에서 각 지방 분획에서의 함량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장용성 캡슐은 위장관을 통과하여 장에서 용출되는 특성 때문에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관 재건을 위한 장과 연골의 복합 이식판 개발 (Formation of an Intestine-Cartilage Composite Graft for Tracheal Reconstruction)

  • 전상훈;이섭;정진용;공준혁;임정옥;김유미;김광춘;박태인;이재익;성숙환;조중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474-481
    • /
    • 2004
  • 배경: 암이나 협착 등의 각종 기관질환으로 광범위한 기관절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관 이식이 필요하나, 다른 장기의 이식술과 비교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상적인 기관 대체물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조직 공학적 기법을 통하여 기관 재건에 적용할 수 있는 소장-연골 복합 이식판의 개발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후 2주 된 토끼의 기관과 이개로부터 각각 연골세포를 채취하여 8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초자 연골세포와 탄성 연골세포를 담체(PLGA)에 심거나 플루로닉 겔에 혼합한 후에, 4 종류의 혼합체를 토끼의 위장과 대장의 점막하 조직에 이식하고 10주 후에 연골 형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육안과 촉진으로 이식 부위를 판별할 수 있었으며, 현미경적 소견상 담체의 흡수와 연골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초자 연골세포-담체 혼합체에서 연골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었다. 결론: 장-연골 복합 이식판 개발의 전망은 밝으며, 이상적인 기관 대체물로서 기관 재건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실크 단백질의 식이 소재로서의 응용 (Application for Dietary Resources by Silk Protein)

  • 여주홍;이광길;권해용;한상미;박경호;김성수;신봉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10
    • /
    • 2006
  • 변비를 인위적으로 유도한 동물에 분자량을 다르게 한 실크 피브로인 및 세리신 단백질을 섭식시켜 식이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소화기 기능향상과 대장 관련 질환에 유효한 실크 피브로인 및 세리신 단백질의 평균분자량(Mw) 범위는 중성 염처리 피브로인의 경우 Mw 65,000 내외, 고압 정제 세리신은 Mw 108,000 내외였다. 2. 동물 소화력 탐색 실험에 있어서 저분자보다는 고분자량의 실크 단백질을 섭취한 동을 소화산물(변)에 수분 함량이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특히 고압 정제 세리신 섭취군의 경우는 원활한 소화산물의 배출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실크 단백질을 함유한 식이소재를 동물 섭식에 27일간 섭식 시킨 결과, 세리신 섭취 군의 경우가 변비 유도를 시킨 정상군에 비하여 확실한 유의차를 나타내어 대장 관련 식이소재 혹은 관련 식품 소재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Solute Carrier SLC41A1 'A MINI REVIEW'

  • Basnet Hom Bahadur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0-65
    • /
    • 2005
  • The human solute carrier, SLC41Al, is a $Mg^{2}+$ transporter that is regulated by extracellular magnesium. Although intracellular magnesium plays a fundamental role in cellular metabolism, little is known about how $Mg^{2}+$ is taken up and controlled by cells. Magnesium plays a fundamental role in cellular metabolism so that its control within the body is critical. Magnesium homeostasis is principally a balance between intestinal absorption of dietary magnesium and renal excretion of urinary magnesium. The kidney, mainly the distal convoluted tubule, controls magnesium reabsorption. Although renal reabsorption is under the influence of many hormones, selective regulation of magnesium transport is due to intrinsic control involving transcriptional processes and synthesis of transport proteins. Using microarray analysis, identification of the genetic elements involved with this transcriptional control has been begun. SLC41A1(GenBank Accession No. AJ514402), comprises 10 putative transmembrane domains, two of which are highly homologous to the integral membrane part of the prokaryote transports $Mg^{2}+$ and other divalent cations $Sr^2+,\;Zn^2+,\;Cu^2+,\;Fe^2+,\;Co^2+,\;Ba^2+,\;and\;Cd^2+,\;but\;not\;Ca^2+,\;Mn^2+,\;and\;Ni^2+.$ Transport of $Mg^{2}+$ by SLC41Al is rheogenic, voltage dependent, and not coupled to Na or Cl. Expressed SLC41Al transports a range of other divalent cations: $Mg^{2+},\;Sr^{2+},\;Zn^{2+},\;Cu^{2+},\;Fe^{2+},\;Co^{2+},\;Ba^{2+},\;and\;Cd^{2+}$. The divalent cations $Ca^{2+},\;Mn^{2+},\;and\;Ni^{2+}$and the trivalent ion $Gd^{3+}$ did not induce currents nor did they inhibit $Mg^{2+}$ transport. The nonselective cation $La^{3+}$ abolishes $Mg^{2+}$ uptake. Computer analysis of the SLC41Al protein structure reveals that it belongs to MgtE protein family & suggested that the human solute carrier, SLC41Al, might be a eukaryotic $Mg^{2+}$ transporter closely related $(60-70\%)$ protein encoded by SLC41A2 is a $Mg^{2}+$ transporter that might be involved in magnesium homeostasis in epithelial cells also transports a range of other divalent cations: $Ba^2,\;Ni^2,\;CO^2,\;Fe^2,\;or\;Mn^2,\;but\;not\;Ca^2,\;Zn^2,\;or\;Cu^{2+}$ that may have related functional properties.

  • PDF

Mineral Metabolism in Singleton and Twin-pregnant Dairy Goats

  • Harter, C.J.;Castagnino, D.S.;Rivera, A.R.;Lima, L.D.;Silva, H.G.O.;Mendonca, A.N.;Bonfim, G.F.;Liesegang, A.;St-Pierre, N.;Teixeira, I.A.M.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37-49
    • /
    • 2015
  • During pregnancy, the maternal body undergoes significant physiological changes.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changes on calcium (Ca), phosphorus (P), magnesium (Mg), sodium (Na) and potassium (K) metabolism in singleton and twin-pregnant dairy goats. The 42 goats used ($49.5kg{\pm}7.6$ body weight [BW]) were assigned at random to treatments that were factorially arranged to account for 2 breeds (Oberhasli and Saanen), 2 pregnancy types (singleton and twin) and 3 gestation periods (80, 110, and 140 days). Digestibility trials were performed at 80, 110, and 140 days of gestation. Mineral retention during pregnancy was determined in the maternal body, femur, uterus, mammary gland, fetus and fetal fluid. Blood samples were taken during pregnancy before and after a meal, and Ca, P, Mg, Na, K ions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determined in serum. Bone mineral density was determined in the right femur.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MIXED procedure. Dry matter intake decreased linearly up to 140 days of gestation. Maternal BW gain, and Ca, P, and Mg retention (g/kg) decreased linearly with the advance of gestation days. Macromineral retention in maternal body (g/kg) was greater in Oberhasli than Saanen goats, and their fetuses had higher Ca, P, and Mg deposition (mg/g). Mineral retention (mg/g) increased in fetuses according to pregnancy development, with no differences between singleton and twin pregnancy. In the mammary gland, the retention of all minerals (g) increased with the days of pregnancy. In conclusion, related to Ca, P, and Mg metabolism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Up to 80 days of gesta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preparation of the maternal body reserves for future mineral demands. From 80 days of gestation onward, was characterized by the transfer of maternal body reserves for fetal development and colostrum production. Na and K supply was provided by adjustments in endogenous excretion and an increase in intestinal absorption. Finally, mineral metabolism was specific to each genotype and, except for Na, was not affected by the number of fetuses.

생약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물질 탐색 (${\alpha}$-Glucosidase Inhibitory Substances Exploration Isolated from the Herb Extract)

  • 최길용;한갑조;하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20-625
    • /
    • 2011
  •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식품소재의 탐색과 그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빵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소장흡수 저해효소인 ${\alpha}$-glucosidase를 target로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생약재를 대상으로 탐색을 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자 생약재 200여종을 대상으로 물층과 메탄올 층으로 구분하여 탐색한 결과 물층에서는 황기(70.9%)가, MeOH층에서는 구인(72.9%)이 70%이상의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났으며 60%이상으로는 물층에서는 육두구(69%), 상백피(66.9%), 오미자(65%), 삼칠(63.9%), 전호(62.9%), 천문동(62.1%), 정공등(60.9%), 호장근(60.7%), 창출(60.2%), 소자(60.2%)등 이었으며, MeOH층으로는 만삼(67.8%), 도인(67.6%), 방기(63.5%), 동규자(61.6%) 순으로 활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인 것으로는 물층에서는 황정(59.8%), 신곡(59.7%), 택사(59.5%), 의인(59.2%), 세신(59.0%), 시호(53.0%)를 포함한 31여종, MeOH층에서는 사군자(58.8%), 구기자(58.3%), 과루인(58.0%), 백자인(55.9%), 백강잠(55.6%), 계내금(55.4%), 독활(55.3%), 구척(52.7%), 대극(52.7%), 백편두(52.5%) 10종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poptotic Activity of Curcumin and EF-24 in HTB-41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 Kim, Ji-Won;Lee, Seul Ah;Go, Dae-San;Park, Byung-Sun;Kim, Su-Gwan;Yu, Sun-Kyoung;Oh, Ji-Su;Kim, Chun Sung;Kim, Jeongsun;Park, Jong-Tae;Kim, Do 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0권2호
    • /
    • pp.63-69
    • /
    • 2015
  • Curcumin (diferuloylmethane), a constituent of turmeric powder derived from the rhizome of Curcuma longa, has been shown to inhibit the growth of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by regulating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However, a need exists to design more effective analogs because of curcumin's poor intestinal absorption. EF-24 (diphenyl difluoroketone), the monoketone analog of curcumin, has shown good efficacy in anticancer screens. However, the effects of curcumin and EF-24 o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rcumin and EF-24 on cell growth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Our studies showed that curcumin and EF-24 inhibited the growth of HTB-41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the potency of EF-24 was > 34-fold that of curcumin. Treatment with curcumin or EF-24 resulted in nuclear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in HTB-41 cells, whereas the control HTB-41 cell nuclei retained their normal regular and oval shape. Curcumin and EF-24 promoted proteolytic cleavages of procaspase-3/-7/-9,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leaved caspase-3/-7/-9 in the HTB-41 cells. Caspase-3 and -7 activities were detected in viable HTB-41 cells treated with curcumin or EF-2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cumin and EF-24 inhibit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 apoptosis in HTB-41 human salivary gland epidermoid carcinoma cells, and that they may have potential properties as an anti-cancer drug therapy.

식이섬유 첨가가 흰쥐의 간 Xanthine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Liver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Rats)

  • 윤종국;이영순;이혜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3-847
    • /
    • 1995
  • 식이섬유가 단백질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pectin 및 ${\alpha}-cellulose$를 첨가(0%, 15%, 30%)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한 후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장기 무게와 사육기간 중 사료효율의 변동은 관찰하여 이들을 상호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동물의 사육기간 중 체중의 변동은 대조군에서는 처음 체중의 약 3.6배, 10%, 30%,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두군 모두 약 3.5배, 15% pectin 첨가군은 약 2.9배, 30% pectin 첨가군은 약 1.9배로 증가되었다. 세 군간에 체중 증가량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alpha}-cellulose$ 첨가군 간에는 체중 증가율이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나 15%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 보다 약 24%(p<0.01) 저하되었으며 30% pectin 첨가군은 15% pectin 첨가군에 비하여 약 38%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사료효율은 ${\alpha}-cellulose$ 및 pectin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이섬유는 첨가 함량에 비례하여 사료효율이 역시 떨어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장기의 체중당 백분율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pectin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높은 치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간장에 있어서 그 차이가 심했다. 이때 간조직 중 단백질 함량은 15%, 30% pectin 첨가군의 두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약16% 감소되었으며 간 xanthine oxidase 활성치는 15% pectin 첨가군과 30% pectin 첨가군 공히 대조군 보다 약 40%의 유의한(p<0.01) 감소를 보였다. 또한 ${\alpha}-cellulose$ 첨가군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