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rquartile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환자 IQR 이상치와 상관계수 기반의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당뇨병 예측 메커니즘 (Diabetes prediction mechanism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on patient IQR outli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

  • 정주호;이나은;김수민;서가은;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296-1301
    • /
    • 202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발률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당뇨병을 예측하려고 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Frankfurt Hospital 데이터로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당뇨병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IQR(Interquartile Range)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처리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고 Decision Tree, Random Forest, Knn, SVM, 앙상블 기법인 XGBoost, Voting, Stacking로 모델별 당뇨병 예측 성능을 비교한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Stacking ensemble 기법의 정확도가 98.75%로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해당 모델을 이용하여 현대 사회에 만연한 당뇨병을 정확히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전산화단층촬영 소장조영술을 위한 희석된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저밀도(0.1% w/v) 바륨 현탁액의 유용성 비교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Diluted Polyethylene Glycol and Low-Density (0.1% w/v) Barium Sulfate Suspension for CT Enterography)

  • 김연정;김승호;백태욱;박형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911-922
    • /
    • 2023
  • 목적 전산화단층촬영 소장조영술 준비를 위해서 사용된 중성 경구 조영제인 희석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과 저밀도(0.1% w/v) 바륨 현탁액 사이의 소장 팽창과 부작용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산화단층촬영 소장조영술을 시행 받은 총 173명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50명의 환자는 바륨 현탁액을, 123명의 환자는 희석된 등삼투압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을 사용하였다. 동일한 양인 1L를 투여하였다. 두 명의 독립된 검토자가 공장과 회장에서 5점 척도로 소장 팽창을 평가하였다. 두 그룹 간의 부작용 비교를 위해서 경구 조영제 투입 후 환자들이 구역, 구토, 설사 및 복통을 호소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회장과 공장에서, 희석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은 두 검토자 모두에서 바륨 현탁액과 차이가 없었다(회장: 검토자 1, 중앙값, 4; 4, 사분위수 범위, 3-4; 3-4, p = 0.997; 검토자 2, 중앙값, 4; 4, 사분위수 범위, 3.3-4.0; 3-4, p = 0.064, 공장: 검토자 1, 중앙값, 2; 2, 사분위수 범위, 2-3; 2-3, p = 0.560; 검토자 2, 중앙값, 3; 2, 사분위수 범위, 2-3; 2-3, p = 0.192). 모든 환자에서 두 가지 경구 조영제 투여 후 즉각적인 부작용을 호소하지 않았다. 결론 희석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용액은 바륨 현탁액과 비교하여 소장 팽창에 차이가 없고, 검사 직후 부작용이 없으므로, 유용한 대체제가 될 수 있다.

원점수 순위와 표준점수 순위 비교를 통한 표준화 방법비교 (The study of comparisons of standardization methods)

  • 민대기;정지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1호
    • /
    • pp.113-120
    • /
    • 2012
  • 수시입학이나 면접에서 여러 조가 동시에 면접을 진행하고, 그 점수로 합격을 결정지을 때 면접관에 따른 편차를 조정하기 위한 점수의 표준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표준화를 취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자칫 표준편차가 큰 그룹에 속한 후보자는 표준편차가 작은 그룹에 속한 후보자에 비하여 불이익을 당할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편차를 이용한 표준화가 최상의 선택이며, 또한 위험도는 어느 정도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른 표준화 방법과 비교 연구하였다.

정상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로버스트 영상 융합 (Robust Image Fusion Using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 김희훈;강승효;박재현;하현호;임진수;임동훈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6호
    • /
    • pp.1181-1196
    • /
    • 2011
  • 영상 융합은 특징이 다른 두 개 이상의 영상에 대하여 각 영상의 특징을 모두 갖는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기술로 의료 분야, 군사 분야, 원격 탐사 분야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웨이블렛 기반 영상 융합은 주로 이산 웨이블렛 변환 하에서 고주파 영역에서는 표준편차와 같은 액티비티(activity) 측도를 사용하고 저주파 영역에서는 두 영상의 픽셀값의 평균을 취함으로써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산 웨이블렛 변환은 이동불변(translation-invariance)하지 않으므로 융합 영상에 블록 인공물이 생기곤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웨이블렛 변환의 단점을 보완한 정상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여 고주파 영역에서는 영상 특징에 민감하지 않은 사분위수 범위를 사용하고 저주파 영역에서는 고주파 영역의 사분위수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을 융합하고자 한다. 영상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평가에서 입력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로버스트한 결과를 낳음을 알 수 있었다.

치의학 연구에서 이상치의 처리 (Outlier detection in dental research)

  • 김기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9호
    • /
    • pp.604-616
    • /
    • 2017
  • In clinical dental research, errors occur in spite of careful study design and conduct. Data cleaning procedures intend to identify and correct these errors or at least to minimize their influence on study. Outlier is the one of these errors. Outlier detection is the first step in data analysis process which has a serious effect in the field of dental research. Hence,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methods to detect the outliers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s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 PDF

실제증발산 측정 시 연직 풍속 이상치 탐색 및 대체 (Outlier Detection and Replacement for Vertical Wind Speed in the Measure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 박천건;임창수;임광섭;채효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55-14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5월, 6월, 7월에 덕유산 덕곡제에서 관측된 플럭스자료를 이용하여 에디공분산방법으로부터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 판별 및 대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은 사분위수를 바탕으로 상자그림(boxplot)의 분석결과 중에 이상치를 판별하기 위한 interquartile range (IQR)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삭제하거나 평균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통하여 보완된 연직방향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보완전의 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이상치를 대체하기 전의 증발산량과 이상치를 대체한 후의 증발산량 사이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강우 시에 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증발산량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치를 보완하기 위해 이상치를 삭제하거나 대체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Composition in Proliferating and Involuted Infantile Hemangiomas

  • Park, Hyochun;Park, Hannara;Chung, Ho Yun;Teresa, MO;Waner, Milto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544-551
    • /
    • 2015
  • Backgrou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occur between the proliferating and involuted phases of infantile hemangiomas (IH), and are associated with angiogenic growth. We examined the composition of the ECM in proliferating and involuted IHs and assessed correlations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ECM and whether the IH was in the proliferating or the involuted phase. Methods We evaluated IH samples from a cohort of patients who had five proliferating IHs and five involuted IHs. The following ECM molecules were analyz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and immunohistochemistry: laminin, fibronectin, collagen type I, collagen type II, and collagen type III. Results The involuted IHs had higher levels of deposition of collagen type III than the proliferating IHs. The median values (interquartile ranges) were 1.135 (0.946-1.486) and 1.008 (0.780- 1.166) (P=0.019), respectively. The level of laminin was higher in involuted IHs than in proliferating IHs, with median values (interquartile ranges) of 3.191 (2.945-3.191) and 2.479 (1.699- 3.284) (P=0.047), respectively. Abundant collagen type III staining was found in involuted IHs. Laminin ${\alpha}4$ chain staining was clearly present within the basement membrane adjacent to the blood vessels, and was significantly more intense in involuted IHs than in proliferative IHs. Conclusions Involuted hemangiomas showed extensive deposition of collagen III and laminin, suggesting that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ECM reflect stages of the development of IHs. This pattern may be due to the rapid senescence of IHs.

표본크기 결정을 위한 IQR의 활용방법 (Using the Sample IQR for Calculating Sample Size)

  • 홍종선;김현태;윤상호;정민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1호
    • /
    • pp.181-193
    • /
    • 2003
  • 표본크기를 결정할 때 모표준편차 $\sigma$의 추정량으로 표본표준편차를 구할 수 없는 경우 범위(R)또는 사분위간 범위(IQR)를 이용하여 $\sigma$의 추정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R과 IQR의 함수로 나타난 추정값은 최소한 95% 이상의 확률로 $\sigma$보다 크거나 같아야 과소 추정됨을 피할 수 있다. 다양한 확률분포로부터 추출된 여러 표본의 범위와 사분위간 범위에 대하여 Browne(2001)이 연구한 추정량 R/4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정량 IQR이 $\sigma$이상일 확률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표본의 범위와 사분위간 범위를 상수로 나누었을 때 $\sigma$이상일 확률을 가질 수 있는 대안적 인 분모를 각각 구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Ultrasound-guided needle decompression and steroid injection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risk factors for repeat procedures and outcome analysis

  • Kim, Su Cheol;Lee, Sang Min;Park, Gun Tae;Jang, Min Chang;Yoo, Jae Chu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2호
    • /
    • pp.55-65
    • /
    • 2021
  • Background: Although ultrasound-guided needle decompression (US-GND) can treat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effectively, repeat procedures might be required for unresolved symptoms. We evaluated the overall clinical outcomes of US-GND with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nd the final results and factors predisposing toward repeat procedures. Methods: Ninety-eight patients who underwent US-GND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upraspinatus/infraspinatus were analyzed between March 2017 and December 2018. The clinical outcomes (pain visual analog scale, functional visual analog scale [FVAS],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final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 (single US-GND) and B (repeat US-GND). The factors predisposing toward repeated US-GNDs were analyzed. Results: We found that 59.3% (58/98) of patient ASES scores were ≥80, and 73.5% of patients (72/98)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Group B (n=14)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dominant-arm involvement compared to group A (78.6% vs. 48.8%, p=0.046). However, initial calcification size, shape, number, density, subscapularis involvement, lavage, and procedure tim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Group B showed poorer final FVAS (7 [interquartile range, 6-8] vs. 8 [interquartile range, 7-9], p=0.036) and subjective satisfaction compared to group A (satisfied: 5 [35.7%] vs. 67 [79.8%], p<0.001]. Conclusions: US-GND with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is a viable treatment option for calcific tendinitis of the shoulder. Dominant-arm involvement was the only independent factor for repeated US-GND. Final outcome of repeated US-GND for unimproved patients was promising; however, these outcomes were poor compared to those of the patients who improved after the first procedure.

A Survey on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 for Pediatric Facial Laceration Repair in Korea

  • Dongkyu Lee;Hyeonjung Yeo;Yunjae Lee;Hyochun Park;Hannara Par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1호
    • /
    • pp.30-36
    • /
    • 2023
  • Background Most children with facial lacerations require sedation for primary sutures. However, sedation guidelines for invasive treatment are lacking. This study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edation methods used for pediatric facial laceration repair in Korea. Methods We surveyed one resident in each included plastic surgery training hospital using face-to-face interviews or e-mail correspondence. The health care center types (secondary or tertiary hospitals), sedation drug types, usage, and dosage, procedure sequence, monitoring methods, drug effects, adverse events, and operator and guardian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Results We included 45/67 hospitals (67%) that used a single drug, ketamine in 31 hospitals and chloral hydrate in 14 hospitals. All health care center used similar sedatives. The most used drug administered was 5 mg/kg intramuscular ketamine (10 hospitals; 32%). The most common chloral hydrate administration approach was oral 50 mg/kg (seven hospitals; 50%). Twenty-two hospitals (71%) using ketamine followed this sequence: administration of sedatives, local anesthesia, primary repair, and imaging work-up. The most common sequence used for chloral hydrate (eight hospitals; 57%) was local anesthesia, administration of sedatives, imaging work-up, and primary repair. All hospitals that used ketamine and seven (50%) of those using chloral hydrate monitored oxygen saturation. Median operator satisfaction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ketamine and chloral hydrate (4.0 [interquartile range, 4.0-4.0] vs. 3.0 [interquartile range, 3.0-4.0]; p <0.001). Conclusion The hospitals used various procedural seda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facial lacerations. Guidelines that consider the patient's condition and drug characteristics are needed for safe and effective se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