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Satisfaction

검색결과 522건 처리시간 0.033초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People)

  • 유지후;조성제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37-45
    • /
    • 2023
  • 본 연구는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영향 관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50세~64세의 중장년으로 자료수집은 수도권(서울, 경기)을 중심으로 2021년 8월 15일부터 10일간에 걸쳐 온·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WIN 25.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PROCESS MACRO Model Number 4,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장년의 외모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장년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있어 외모 만족도와 대인관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수경비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Special guards that interpersonal skills to communicate your organization's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rough the effect parameter impact)

  • 양문승;오세연;윤경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45호
    • /
    • pp.87-106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의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교육시설 공항 교통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경비원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0일부터 2015년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대인관계 능력 매개 효과 분석모형도는 포화모형도이며,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의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직무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SMC에서는 직무만족이 23.9%, 직무몰입이 11.6%, 대인관계는 19.3% 설명한다. 또한, 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의 결과는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관계가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유의도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특수경비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농촌주민의 여가소비유형과 만족도 (Rural Residents' Leisure Satisfactions and Types by Social demographics in Korea)

  • 조영숙;이문주;황대용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6권4호
    • /
    • pp.1021-1048
    • /
    • 2009
  • Based on Rural living indicator -2005 survey data, in RD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Rural Residents' real life satisfaction or identity model by the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depending on each generation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umption and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at between leisure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re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systematic random sampling with constructed questionnaires, 1,870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 in leisure consumption. In detai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ypes of Rural Residents' leisure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tyles including Semi-leisure type, Passive leisure type and Total leisure type consumption. The preferred types of leisure consumption of Rural Residents' were Semi-leisure type, Passive leisure type and Total leisure type in order. Except for times-pending leisure culture consumption, Semi-leisure type and Passive leisure type influenced on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n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fluenced on leisure consumption-satisfaction, and finally leisure consumption satisfaction influenced on real life satisfaction.

  • PDF

학제에 따른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관련 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dental hygiene students)

  • 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25-533
    • /
    • 2019
  • Objectives: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clinical training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clinical practice quality.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0 dental clinical hygienists from June 10 to August 30,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employed,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Regard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dental hygienist practice instructor dummy, self-efficacy,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terpersonal relation was the increasing order. In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dental hygienist practice instructors,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as the increasing order. Conclusion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dental hygiene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was the ability to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between college and university, external sources and efforts to emphasize internal sources are required.

임상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대인갈등 해결 전략 및 직무 만족도 (A Survey on the Work Stress,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

  • 양혜주;박정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33-549
    • /
    • 1998
  • This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degrees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use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n attempt to provide clinical nurses basic data to develop strategies releasing work stres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367 clinical nurses working in 9 hospitals nation-wide from May 1, to June 30, 1998. A structured questio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included Kim and Koo's work stress scale, Lee's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and a Mi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done by the use of the SAS computer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 - ${\alph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work stress for the subjects was 4.34(SD=0.64). The highest scored reasons for work stress were 'inadequate com pensation' 4.93(SD=0.86),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4.70(SD=0.92) and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superior authorities' 4.63(SD=0.97). The lowest scored reasons were 'un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inferior staff' 3.72(SD=1.02), 'inadequate mechanical environment' 3.72(SD=1.11) and 'interpersonal problems' 3.85 (SD=1.06), The work stress in clinical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hospital type (F=4.00, p=0.0082). 2. The clinical nurses used compromise(45.1%) as the best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he second was collaboration(32.8%), the third accomodation(14.2%), the forth avoidance(4.2%) and the fifth competition(3.6%). 3. The item score of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3.00(SD=0.43), The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F=5.67, p=0.0000), marital status(t= -1.89, p=0.0511), academic career(F=5.84, 0.0001), official position (F=7.38, p=0.0001), and work career(F=6.33, p=0.0001).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r= -0.34, p=0.0000).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work stress was very high in clinical nurses. They used interpersonal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o releas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nd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Therefore, adequate stress management for clinical nurses will provide them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and hence lead to more qualitified nursing care.

  • PDF

지역사회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인신뢰 매개효과 분석 (A Study on the Fear of Crime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Trust)

  • 최동주;이묘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27-637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간 대인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남 녀 557명이며, 조사기간은 2015년 7~8월 2달간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한 인구사회학적 변수인 성별, 학력이 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이 높은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대인신뢰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지면 대인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인신뢰는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사회 및 이웃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사회를 믿고 편안한 마음으로 생활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생활만족도 간에 대인신뢰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대인신뢰를 통해서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서의 대인신뢰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 이윤신;박성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29-240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들의 전공에 대한 전문적 지식 습득 외에도 임상실습이라는 상황으로 인해 사회적 노출을 일찍 경험하게 되어 대학생활 적응에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 대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을 향상시키는 일환으로 이에 영향을 주는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4개 간호대학의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7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2일에서 3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만족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변수는 대학생활 만족에 대한 경로를 26.8%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활 만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을 고려하고 셀프리더십,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과과정의 실시가 요구된다.

The Role of Maternal Interpersonal Relation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ed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 Quality in Young Children

  • Chung, Kai-Sook;Kim, M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12-22
    • /
    • 2014
  • The effects of conflicted teacher-child relation on conflicted or passive peer interaction and a moderation effect of mothers' interpersonal relation satisfaction on the associations were assessed. Children from 2- to 6-year-olds (184 girls, 185 boys) mostly from middle socioeconomic-status urban community in Korea and their teachers and mothers participated. Conflicted teacher-child relation predicted conflicted peer interaction but not passive peer interaction. Children, whose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conflicted, engaged in conflicted play with peers more often than children who were in less conflicte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Teachers who were in conflicted relationship with the children, perceived the children having conflicted interaction with peers more often, if mothers of the children were less satisfying in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especially boys. Children, whose mothers are in less satisfying interpersonal relation with others, were more passive in peer interaction than children whose mothers are in more satisfy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Effects of women's grooming behaviors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Yujung Jin;Kyurin Koo;Jiyoon Park;Sojin Lee;Young-jin Cho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77-185
    • /
    • 2024
  • 외모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이라는 사회문화적 인식이 확산되면서 외모 관리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외모에 대한 인식은 자신뿐만 아니라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 심리적 안정감이 생겨 보다 적극적인 사회 참여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으로 채택된 화장 및 의복과 외모만족도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모만족도를 통해 외모관리 행동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분석에는 85부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데이터 분석에는 SPSS 28.0과 SmartPLS 4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외모 관리 행동 중 화장은 외모 만족도에, 외모 만족도는 대인관계에 정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 만족도는 외모 관리 행동 중 메이크업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대 중심의 표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외모관리 행동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