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Information Credibility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8초

트윈세대의 정보 신뢰성 판단에 관한 연구 (Credibility Judgement of Information by Tween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03-324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 등 디지털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 초기에 낀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트윈들이 다양한 정보를 선별·수용하는 판단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들의 인터넷정보 조사와 이용에 대한 인식, 정보 신뢰성 판단에 대해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2개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36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코딩된 데이터는 SPSS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트윈들은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네이버 지식인의 순서로 많이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인터넷 정보조사가 쉽고 재미있다고 인식하였다. 정보 신뢰성 문항들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신뢰성,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신뢰성 상담으로 개념적 틀이 구분되어 제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판단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정보 저자 신뢰성에 대한 확인방법 인지, 최신정보의 확인 필요성에서는 응답의 편차가 컸다. 현재 국가교육과정에 정보활용교육이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경험법을 통해 터득한 신뢰성 판단 전략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더 심도있는 트윈들의 정보 신뢰성 판단을 위한 후속 연구와 학교와 도서관 현장의 교육적 실천을 기대한다.

다이어트/운동 앱의 수용에 대한 결정요인: 채널확장이론을 중심으로 (Factors of Leading the Adoption of Diet/Exercise Apps on Smartphones: Application of Channel Expansion Theory)

  • 조재희;김선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1-108
    • /
    • 2015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폰 다이어트/운동 앱에 주목하면서, 채널확장이론 (channel expansion theory)과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에 기반하여, 세 가지 선행요인-인터넷 정보이용 효능감, 스마트폰 이용 효능감, 그리고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 -이 다이어트/운동 앱에 대한 태도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경로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터넷 정보이용 효능감과 스마트폰 이용 효능감은 다이어트/운동 앱에 대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 (PEOU)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는 해당 앱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PU)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인터넷 정보이용 효능감과 인터넷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다이어트/운동 앱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Lotfia Mahmoud Refaat Shenishe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2호
    • /
    • pp.147-151
    • /
    • 2023
  • The article reviews the quality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general and health information in particular, where the accumulation and steady increase of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without concern for its quality or importance, and regardless of the target audience, in addition to the lack of evidence of its credibility such as the availability of the name of the editor and references, and the availability of the name of an academic or research body responsible for that information. Add to this the lack of bibliographic data that can help infer the novelty of the information, and verify the element of trust in it . The problem is exacerbated with regard to the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due to its danger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false health information that may cause danger to human health if relied upon. Through this article, the researcher proposes criteria that can help users search for information to measure the degree of quality, trust, and credibility of information in general and health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Internet in particular.

대학생들의 인터넷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Media Cred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 김연종;안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38-4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 미디어의 이용이 일상화되어 있는 20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터넷 신문, 인터넷 포털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한 신뢰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이용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주목하였다. 미디어 신뢰도라는 것이 이용자들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이용자들의 미디어 전반에 대해 갖고 있는 리터러시 역량, 즉 정보 분별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정보 공유 능력 등이 신뢰도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미디어 신뢰도 선행연구에서 주요 변인으로 밝혀진 미디어 이용동기 및 이용량의 관련성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중 비판적 이해 능력이 인터넷 기반 미디어 신뢰도에 일관되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의 소유구조, 재현된 현실, 상업적 목적, 정보의 왜곡 등 미디어의 속성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보유한 이용자일수록 미디어 신뢰도가 낮았다. 반면, 정보 자체를 평가하고 분별하는 능력은 예상 외로 인터넷 신문 외에는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고 정보공유능력은 모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신뢰도에 대한 새로운 연구주제 및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인터넷 정보윤리 준수 실태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Internet Ethics Observanc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 장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27-347
    • /
    • 2013
  • 우리나라의 정보화는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사회 전 영역에서 인터넷 이용이 일상화되었으나 매체적 특성으로 인한 역기능의 폐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문화를 주도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N=830) 정보윤리준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보예절 인식, 정보규범 실태, 온라인신뢰 수준을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개인적 배경과 관련 교육경험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응답자들의 정보예절 인식 수준은 낮은 편이며, 6가지 범주의 정보규범에서 모두 일탈 정도가 크고, 온라인신뢰 수준은 일반대중보다 낮다. 정보예절 인식 수준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정보규범 수준은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육경험은 정보윤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윤리 수준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AHP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선택에 대한 연구 (Internet Shopping Mall Selection Using the AHP)

  • 이정;이상설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3
    • /
    • 2005
  • Purpose of this research wishes to present way to more safe and reliable operation way to shopping mall operation companies as well as consumerism through general utilization present condition of customers and satisfaction investigation that use internet shopping mall and establish wholesome commercial transaction order. This research draws criteria and items about success factor through each precedent research literature investigation about internet shopping mall success factor, and made up a questionnaire criteria and items that affect important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y's selection to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ith learning connected with electronic commerce course. Execute pair comparison that require in AHP and analyzed priority weight about criteria and items to shopping mall company selection. As the result, Appeared that 'Credibility about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y's transaction' is considered most heftily by importance criteria at internet shopping mall selection. Appeared that think 'Credibility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most important to each criteria.

온라인 제품정보 특성이 정보의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Empirical Validation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Online Product Message on Persuasion)

  • 임상현;김정욱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0-55
    • /
    • 2009
  •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users' acceptance & diffusion of online product message. Today many people use the product message/information on the internet, before they make decision to buy something in online/offline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site design look, enjoyment, and usefulness as message perception factors. And we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factors, message credibility, acceptance & diffus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s perception factors and the credibility assessment of the message by customers. Second, we will show the effect of message credibility on the message acceptance & diffusion. Third, we try to present some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 through the result of our studies.

온라인 구매후기의 방향성과 평가내용이 패션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rection and evaluative contents of online review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clothing products)

  • 서현진;이규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3호
    • /
    • pp.440-451
    • /
    • 2013
  • Because of the e-shopping market consumers now have diverse options to choose when placing their orders, and find it easy to obtain the requi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Especially, for consumers, product reviews posted on an e-tailer's website have become more important criteria than such information available elsewhere.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direction and evaluative contents of online reviews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clothing products. Four types of online reviews based on direction (positive/negative) and evaluative content in review information (objective/subjective)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Further, stimulus reviews were developed. Credibility, usefulness of reviews,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the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in each of the four situations of online review present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positive and objective online reviews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consumer attitude. The content in these reviews had a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than the direction on attitudes toward online reviews. Overall, objective reviews generated a higher level of credibility and usefulness of information than subjective reviews. Regarding subjective reviews, negative information was more related to credibility, whereas positive information was more related to usefulness. Further, positive information had a higher influence than negative information on consumer attitudes.

Determining Quality Criteria for Online Health Information: A Qualitative Study

  • Cha, Myeong-Hwa;Park, Jyung-Rew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05-310
    • /
    • 2006
  • The Web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health care consumers, and the resources they find on the Web have a direct affect on their health outcomes. Despite the enormous benefits of online health care, th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s an area of increasing concern. Therefore, there's a need to develop quality assessment tools that can filter out poor quality online health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ritical attributes for assessing website quality and for developing quality assessment measurements. We completed three focus group discussions with 24 participants that were administered by a moderator and based on specifically focused group ques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quality criteria, as identified by the respondents, were related to issues of credibility and accuracy. To determine the credibil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he respondents stated on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the information source, disclosure of the author's or organization's credentials/qualifications, disclosure of ownership and the updating of the content. For the accuracy of content, elements such as a statement of purpose, evidence-based information, relevance and completeness should be considered. Interactivity, accessibility, and design were additional quality criteria.

지표 적합도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 신뢰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fit Analysis)

  • 김영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2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웹정보의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추출한 다음, 이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지표적합도 조사를 통해 웹 사이트의 신뢰성 평가지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국외 54개, 국내 49개의 웹 신뢰성 평가요인을 부분적으로 축소하거나 통합하였으며, 아울러 웹 사이트의 신뢰성을 높이거나 떨어뜨리는 요인을 일부 분석에 추가한 다음, 웹정보신뢰성 평가지표 적합성 조사를 통해 웹정보 신뢰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계층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웹 신뢰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1차 지표로서 웹사이트 신뢰성의 평가영역을 진실성 요인과 전문성 요인, 그리고 안전성 요인으로 나누었으며, 2차 지표로 진실성 요인을 믿음성과 명성으로, 전문성 요인을 유용성과 시의성, 그리고 경쟁력으로, 안전성 요인을 보안성과 안정성으로 나누었으며, 최종적으로 각 하위 요인별 네 개씩 모두 28개의 세부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평가지표를 소수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기분야의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한 지표 적합도 조사를 통한 검증과정을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