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알레르기질환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유형 분석: 5~7차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2차자료분석 (Identifying Trajectories of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5th to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 손미선;지은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22-83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behavioral problem trajectorie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and investigate their predictor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5th to 7th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participants included 840 children aged 4~6 years with allergic disease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trajectories of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that is deteriorative, recovering, changing 1 (decreasing-increasing), changing 2 (increasing-decreasing), and low state persistent group. For the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predictors were temperament, father's education, family interaction, and disconnection in peer interaction. For the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predictors child's gender, temperament,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family interaction, and parenting environment. Conclusion: Deteriorative group has high-risk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llergic diseases. We suggest to provide interventions considering latent problem trajectories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s for allergic children.

방과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 이봉주;조미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7-27
    • /
    • 2011
  • 본 연구는 방과후 방치 정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로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차년도와 4차년도 아동 부가조사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기간의 방과후 방치 정도가 중학교 기간의 학업성취도,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방과후 방치 정도는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내재화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과후 방치 정도가 클수록 학업성취도는 감소하고 내재화 문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과후 방치의 영향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아동특성, 부모 및 가구 특성뿐 아니라 과거의 아동발달 정도를 통제하고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방과후 방치가 학업성취도와 아동의 정서 중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방과후 방치 아동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때 양적인 확대도 중요하지만 단순한 보호와 돌봄의 차원을 넘어선 아동발달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래집단괴롭힘 스트레스에 대한 피해 아동의 대처전략 유형들과 그에 따른 외로움의 완화효과 (Children's Coping Strategies and Loneliness in Peer Victimization)

  • 김정민
    • 아동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207
    • /
    • 2005
  • The present research studie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by age, sex, and frequency of victimizatio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coping strategies to loneliness in peer victimization. Participants were 434 children from the 3rd to 6th grades of an urban elementary school. Self-report data indicated seven types of coping strategies : cognitive distancing, adult support seeking, peer support seeking, negative problem solving, positive problem solv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With increasing age, children used less adult support seeking and more positive problem solving. While girls used more adult and peer support seeking, boys employed more externalizing and negative problem solving. Children with higher victimization frequencies were more likely to use negative problem solving and internalization. Lack of strategies for seeking social support was associated with loneliness.

  • PDF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s' Self-Control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 고정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7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how general trends in the degree of parental monitoring, self-control and problem behavior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o examine possible changes in such trends in accordance with gender of adolescents and mother's employment, and th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The subjects were 1288 adolescents of middle school in Busan (male 661, female 627).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 (1) General trends in the degree of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showed that girls had more problem behaviors than boys. (2) Boys and girls with unemployed mother perceived more parental monitoring than ones with employed mothers. Boys with unemployed mother had more self-control than ones with employed mothers. Boys with employed mother showed more problem hehaviors than ones with unemployed mother. (3) Mother's employment, the degree of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behavior problems. (4) The degree of self-control was the most powerful predicator of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행동 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Effects of Mother's Affectionate Parenting,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 성혜원;한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92
    • /
    • 2015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 및 유아의 자기통제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과 심리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368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및 상관,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행동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아의 자기통제가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의 자기통제는 어머니의 행동통제와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문제행동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을 애정 및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로 구분하여 유아의 자기통제라는 내면화과정을 통해 문제행동을 설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Style, Mother-Child Interaction, Young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nd Problem Behaviors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 최혜란;유지아;김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5-30
    • /
    • 2017
  •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161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모-자녀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모의 경우 모-자녀상호작용이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취업모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자녀와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다양한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아동 가족 상담현장에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 문상희;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69-89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의 직 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부정적 정서성과 주의집중성 기질은 직접적인 영향과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활동성 기질은 직접적인 영향과 교사-유아의 친밀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부정적 정서성 기질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과 친밀 관계를 매개로하여 주의집중성 기질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 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경우 교사-유아의 갈등 및 의존 관계가, 내재화 문제행동의 경우 교사-유아의 친밀, 갈등, 의존 관계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외현화와 내재화 문제행동에 교사-유아의 갈등관계는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과 인과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에서 음양 기질과 문제 행동의 관련성 (Yin-Yang Temperament and Psychopathological Behavior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수진;한상윤;김희영;최미화;채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2
    • /
    • 2017
  • Objectives: The Yin-Yang temperament and the Sasang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 were reported to have relations with psychopathological problems in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omains of Yin-Yang temperament influence on problem behavior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Subjects of 681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SPQ for measuring Yin-Yang temperament and the Youth Self-Report (YSR) for measuring problem behaviors. The differences of problem behaviors between Yin and Yang temperament groups were tested with T-test and profile analysis. The associations of the SPQ subscales on problem behaviors was also examin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Yang temperament was related to the externalizing problem while Yin temperament to the internalizing problem. The Emotionality and Behavior dimension of Yin-Yang temperament were found to be a factor of susceptibility and resilience for problem behaviors, respectively. Three dimensions of Yin-Yang temperament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depending on the sex and Yin-Yang temperament groups of subjects. Conclusions: The Yin-Yang temperament w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the problem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screening the psychopathological problems and helping Korean adolescents to develop healthy character.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 최미나;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3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 3-5세 유아 248명(남아: 112명, 여아: 136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보육경험(보육 시작 시기, 1일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경험 중 보육기관 변경횟수가 잦을수록 유아는 공격성을 더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경험이 모든 유아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보육경험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의 관계 분석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 이진숙;한지현;박혜원
    • 아동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7-128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temperament,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s. Intelligence was individually measured by the newly standardized K-WPPSI-IV (2015).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children (4-6 years ol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following instruments were administered: EAS, K-WPPSI-IV, K-CBCL.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bility of tempera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withdrawal,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Second, activity and sociability of tempera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ost of the K-WPPSI-IV major indices (VCI, VSI, FRI, PSI, FSIQ, NVI, GAI, CPI). Third, depression, withdrawal,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NVI and CPI indices of the K-WPPSI-IV. Attention problem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FRI, WMI, FSIQ, NVI, GAI, and CPI indices of K-WPPSI-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