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 Fracture Fixation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4초

Periprosthetic Fracture around a Cemented Stem in Total Hip Arthroplasty

  • Jun-Young Heu;Ju-Yeong Kim;Se-Won Lee
    • Hip & pelvis
    • /
    • 제34권3호
    • /
    • pp.140-149
    • /
    • 2022
  •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ies that will be performed over the next several decades will lead to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periprosthetic fractures around the femoral stem. A search of targeted articles was conducted using on-line databases of PubMed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nd articles were obtained from January 2008 to November 2021. Reliable prediction of treatment can be achieved using the Vancouver classification; internal fixation is indicated in fractures involving a stable implant and revision arthroplasty is indicated in those with unstable prosthes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relatively fewer studies regarding periprosthetic proximal femur fractures of cemented stems have been reported. The focus of this review is on the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treatment of these fractures for periprosthetic femoral fractures around a cemented hip arthroplasty.

관골상악골 복합체 골절 환자에서의 안면 비대칭에 대한 임상경험 (Clinical Experiences of Facial Asymmetries in Zygomaticomaxillary Complex Bone Fracture Patients)

  • 강낙헌;최상문;김주학;송승한;오상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61-165
    • /
    • 2011
  • Purpose: Zygomaticomaxillary complex (ZMC)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facial injuries after facial trauma. As ZMC composes major facial buttress, it is a key element of the facial contour. So, when we treat these fractures, the operator should have a concern with the symmetry to restore normal appearance and function. But sometimes, unfavorable results may occu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satisfied midfacial contour after ZMC fractures reduction retrospectively and to point out the notandum. Methods: 369 patients, treated for fractures of the ZMC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the operation, such a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with titanium or absorbable materials), open reduction, and closed reduction, midfacial contour was evaluated with plain films and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unfavorable asymmetric midfacial contours were correcterd by secondary correction and re-evaluated. Gross photographs were obtained at outpatient clinic. Results: Total of 38 patients had got a facial asymmetry and among of them 24 patients were treated secondary revisional ORIF operations for correction of unfavorable result of after primary reduction. Two of them had received tertiary operations, three patients had got osteotomy more than after one year and six patients had got minor procedures. The etiology of asymmetry were lateral displaced simple fracture of arch (n=2), lateral displaced comminuted fracture of arch (n=6), comminuted arch fracture combined posterior root fracture (n=9), and communited arch and body fracture (n=12), severely contused soft tissue (n=9). After the manipulations outcomes were acceptable. Conclusion: To prevent the asymmetry in ZMC fracture reduction, complete analysis of fracture, choice of appropriate operation technique, consider soft tissue, and secure of zygoma position are important. Especially, we should be more careful about communited fracture of zygomatic body and lateral displacement, root fracture of zygomatic arch. Because they are commom causes that make facial asymmetry. To get optimal result, ensure the definite bony reduction.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고평부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Arthroscopically assisted Operative Treatment of Tibial Plateau Fracture)

  • 변재용;김보현;강신택;황찬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2
    • /
    • 2006
  •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고평부 골절 치료를 시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 교실에서 경골 고평부 골절로 관절경과 영상증폭기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7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41개월 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Schatzker 분류방법을 이용 하였으며, 당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절면 함몰 및 전위가 2 mm이상인 경우를 골절 정복의 적응증으로 삼았다. 먼저 동반된 손상에 대한 수술을 먼저 하고, 관절경하에서 2.4 mm Steinmann 핀을 이용하여 관절면을 정복하고 영상증폭기하에서 6.5 mm cancellous screw로 고정하였다. 이후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내고정 혹은 외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판정은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적 결과로 나누어 Rasmussen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결과 전례 27례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Rasmussen 기준에 따라 23례(85%)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평균 관절운동 범위는 2.5도에서 130도 이었다. 합병증으로 1례에서 술후 감염이 있었고 1례에서 정복의 소실이 있었다. 결론: 경골 고평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관절경과 영상 증폭기를 이용한 수술은 정확한 관절면의 정복과 동반 손상을 치료하고 합병증이 적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종골 골절 일차 치료 후 발생한 합병증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omplications after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

  • 서동현;박용욱;김도영;이상수;윤태경;박현철;강승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1
    • /
    • 2004
  • Purpose: Problematic late sequelae are common following a calcaneal fracture regardless of the initial treatment.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painful conditions and reviewed the results of the oper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6 and September 2001, fo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subsequent surgical treatment for late sequelae of calcaneal fracture were reviewed. The initial treatment consisted of only immobilization in a cast in 7 patients, closed reduction with pin fixation (Essex-Lopresti technique) in 22 a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14. Painful conditions in the hind foot included subtalar arthritis in 31 patients, calcaneofibular impingement in 13, peroneal tendinitis in 6,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uritis in 2, subtalar and midtarsal arthritis in 1 and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The surgical procedures for the late complications were performed at a mean of 19 months (range, 6 to 35 months) after the injury and consisted of lateral wall ostectomy and in situ subtalar fusion in 28 patients, only lateral wall ostectomy in 5 patients, lateral wall ostectomy and subtalar distraction arthrodesis in 3, removal of displaced posterior bony fragment in 3, sural nerve transposition in the peroneus brevis in 2, triple arthrodesis in 1 and removal of displaced plantar bony fragment in 1.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57 months (range, 33 to 82 months).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pai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return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Results: Pain was partially relieved in 38 patients (88%), but not relieved in 5. Function improved in 34 patients (79%), and 32 (74%) returned to work or to a pre-injury level of activity. There was a trend that the longer the interval between the injury and the operation, the longer the subsequent interval until the patient returned to full activities or work. Conclusion: Meticulous physical examination and intensive prompt treatment for remaining pain after initial treatment of calcaneal fractures are recommended for patient's satisfaction and returning to work.

  • PDF

급성호흡부전 호전 후 기관지폐포세척에서 지방과립구가 확인된 지방색전증후군 1예 (A Case of Fat Embolism Syndrome of Fat Globules Found in BAL Fluid after Recovery from Acute Respiratory Failure)

  • 박송리;김현수;이재형;김상헌;김태형;윤호주;박성수;신동호;박찬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62-566
    • /
    • 2006
  • 지방색전증후군은 외상 등의 원인으로 발생한 지방색전에 의해 유발되는 전신 질환으로 급성호흡부전 및 의식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평소 질병이 없던 22세 남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대퇴골 간부 및 다발성 골절을 입고 개인병원에서 외부고정장치 수술 받은 후 다음 날부터 호흡곤란과 의식저하 보여 본원에 전원된 환자에서, 증상 발현 당시는 급성호흡부전증을 동반한 지방색전증후군으로 추정 진단하고, 증상 호전 후 시행한 기관지 폐포세척액에서 대식세포내 지방과립구를 확인하여 보고한다. 급성호흡부전증의 급성기에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은 호흡부전의 원인 감별에 도움이 되지만 때로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지방색전증후군이 추정되는 환자에서 회복기에 기관지폐포세척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확진에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추정된다.

단순 골낭종에서 발생한 병적 골절 (Pathologic Fracture of Unicameral Bone Cyst)

  • 주석규;이희두;오형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8-64
    • /
    • 2011
  • 목적: 단순 골낭종의 병적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단순 골낭종의 관해에 미치는 예후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 내원한 단순 골낭종을 동반한 병적 골절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3-90개월)이었다. 성별은 남자 11명, 여자 2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10.2세(6-16세)였다. 발생 부위는 근위 상완골 9명, 상완골 간부 2명, 근위 대퇴골 1명, 근위 경골 1명이었다. 단순 골낭종의 병적 골절에 대하여 보존적 치료로 단순 석고 고정 후 골절 유합을 시도하였으며, 1명은 일차적으로 골이식 및 관헐적 정복술과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5명의 환자에서 치료 경과 중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하였으며, 2명에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병적 골절 치료 중의 단순 골낭종의 변화 및 연령, 낭종의 크기, 성장판 침범 정도에 따른 단순 골낭종의 예후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병적 골절 후 전례에서 평균 8.2개월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13명의 환자 중 4명(31%)에서 골낭종의 완전 관해를 보였다. 발병 나이에 따른 단순 골낭종 관해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p=0.42), 낭종의 크기가 클수록, 성장판에 근접한 경우 관해를 얻기가 어려웠다(p=0.05, p=0.03). 결론: 단순 골낭종의 병적 골절에서 관해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낭종의 크기가 크거나 성장판에 근접한 경우에는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요수근 관절의 골절-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에 따른 치료 결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 Outcomes according to the Injury Type of the Short Radiolunate Ligament in Fracture-Dislocation of the Radiocarpal Joint)

  • 허윤무;김태균;송재황;장민구;이석원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1-60
    • /
    • 2021
  • 목적: 요수근 관절 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요골 경상돌기 골절 및 단요월상인대 손상을 동반한다. 단요월상인대는 요골 부착부에서 파열되기도 하지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견열 골편을 동반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골 경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요수근 관절 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 및 치료 방법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수근 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수근 관절 탈구는 Dumonti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Group 1 (순순한 탈구 또는 요골의 작은 견열 골절)과 Group 2 (주상골와의 1/3 이상을 침범한 요골 경상돌기 골절)로 분류하였다. Group 2는 단요월상인대의 부착부가 파열되거나 작은 견열 골절을 동반한 경우를 2A, 비교적 큰 견열 골절을 동반하여 내고정이 가능한 경우를 2B로 분류하였다. 전자는 단요월상인대의 직접 봉합으로, 후자는 작은 나사를 이용한 견열 골편의 내고정으로 치료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 영상 검사를 확인하였다. 치료 결과는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PRWE),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는 Group 2 (2A 6명, 2B 12명)로 분류되었다. 굴신 운동 범위는 건측의 79%, 파악력은 72.9%를 보였다. Group 2A가 2B보다 신전/굴곡/회전에서 더 큰 운동 범위를 보였다. 요사위/척사위/회외전과 통증, 파악력 회복은 차이는 없었다. PRWE, MMWS에서는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외상성 관절염 7예, 관절 불안정 5예가 있었다. 결론: 단요월상인대가 손상될 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발생한 견열 골절은 치료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견열 골편이 전위되거나 회전되어 탈구의 정복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골편에 부착하는 단요월상인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이 필요하다.

관절면을 침범한 경골 외측 고평부 골절에 대한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 및 내고정술 (Arthroscopically-Assisted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the Lateral Tibial Plateau)

  • 김주한;김동휘;임재환;장현웅;김영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27-236
    • /
    • 2019
  • 목적: 경골 외측 고평부 골절에서 추가적인 피질골 창을 내지 않고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술 및 골이식술 없이 내고정한 후 이에 따른 결과를 평가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에서 관절면의 함몰 및 전위가 5 mm 이상이면서 Schatzker 분류상 II형에 해당하는 경골 외측 고평부 골절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하고 최소 18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한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골 피질골에 추가적인 창을 내지 않고 전외측 연골판하방 삽입구(inframeniscal portal)를 통해 골막거상기(freer elevator)를 이용하여 감입되어 있는 골편을 정복하여 관절면의 정복을 얻은 후 골이식 없이 5.0 mm 혹은 6.5 mm 유관나사를 이용하여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판정은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적 결과로 나누어 Rasmussen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관나사 제거술을 받은 13예의 환자에 한해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2차 추시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골유합 기간은 8.7주(8-12주)였다. Rasmussen 기준에 따라 방사선적 결과는 25예(92.6%)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고 임상적 결과는 24예(88.9%)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결과를 얻었다. 2차 추시를 시행한 환자 13예에서 섬유연골로 잘 치유됨을 확인하였고 술 후 외래 추시 중 CT 촬영한 8예에서 골결손 부위 골이식 없이 유합된 소견을 확인하였다. 결론: 경골 외측 고평부 골절에서 추가적인 피질골 창을 내지 않고 관절경을 이용한 정복 및 골이식 없이 시행한 내고정술은 관절면을 정확히 정복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며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구내 접근법에 의한 하악골 골절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n the Transoral Approach to the Fractures of The Mandible)

  • 박형식;권준호;정성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79-86
    • /
    • 1989
  • The is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transoral approach to open reduction of the Mandibular fractures. Our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64 patients with mandibular fractures among 99 patients of facial bone fractures who had been treated by transoral approach with or without extraoral approach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Yonsei Medical Center, Yonsei University from January 1981 to October 1988. We studied favorite sites of open reduction, fixation methods, results and prognosis related to transoral approaches of Mandibular fractures, and which compared with extraoral approache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transoral open reduction was used more frequently in Mandibular fractures(64.6%) than Midfacial bone fractures(35.4%). Among 64 patients of mandibular fractures, 47 patients(73.4%) were treated only by transoral approach and others(26.6%) were treated by both trans- and extra-oral approach. Among 92 sites of mandibular fractures, 75 sites(81.5%) were treated by transoral approach and 17(18.5%) were treated by extraoral approach. 2. The most favorite site for transoral approach compared with extraoral approach was Symphysis(100%), and Angle(62.5%) was next in order of frequency on Mandibular fractures. 3. Direct Interosseous Wiring(DIW) was most commonly used for fixation(64.6%) and Miniplate osteosynthesis was used next in 28.1%. 4. Simple(39.1%) and Compound(52.2%) fractures were frequently indicated for transoral approach, however comminuted fractures were rarely indicated. 5. The direction of fracture lines on Angle of the mandible did not influence to determine whether transoral approach should be selected or not. However this area seemed to be more difficult to reduce exactly by transoral procedure than other areas because simultaneous superior and inferior fixation was applied predominantly on this area. 6. The success rate of reduction and fixation analyzed from us was more excellent in Direct Interosseous Wiring(29/53=54.7%) than in Rigid Internal Fixation(9/29=31.0%). But it might be depended upon various factors as like as sugeon's skill. 7.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due to transoral open reduction of mandible was not high(12.0%) and this rate was similar with other published reports.

  • PDF

거골 경부 골절 이후 발생한 부분적인 골괴사의 3차원 부피 분석 (Three-Dimensional Volume Analysis of Partial Avascular Necrosis after Talar Neck Fracture)

  • 나웅채;이준영;박상하;박형석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61-16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geographic patterns of partial avascular necrosis (AVN) of the talar body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any predictors of both the location and occurrence of partial AVN.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with fracture of the talar neck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were analyzed. The radiographs were examined 6 to 8 weeks after the operation for Hawkins sign and if it was not observed, magnetic resonance scans were performed. The three-dimens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imics 17.0 (Materialise). The incidence of collapse and time to operative intervention was recorded. Results: Partial AVN of the talar body was observed in six out of 19 patients. The avascular segment of the talar body was located predominantly in the anterolateral portion. The average volume of the avascular segment was $289mm^3$, and it occupied 1% of total volume of the talus, and 10% of the talar dome. Collapse occurred in one patient in the area of the avascular process. There were no observable trends with regard to Hawkins classification, incidence of collapse, or time to operative intervention to the location of the avascular segment. Conclusion: Partial AVN can occur after fracture of the talar neck. The predominant location of the avascular segment was the anterolateral portion of the talar body. This information may be helpful to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talar bo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