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rleukin (IL)-10

검색결과 1,800건 처리시간 0.031초

Anti-inflammatory Effects of Quercetin and Vitexin on Activated Human Peripheral Blood Neutrophils - The effects of quercetin and vitexin on human neutrophils -

  • Nikfarjam, Bahareh Abd;Hajiali, Farid;Adineh, Mohtaram;Nassiri-Asl, Marj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7-131
    • /
    • 2017
  • Objectives: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PMNs) constitute the first line of defense against invading microbial pathogens. Early events in inflammation involve the recruitment of neutrophils to the site of injury or damage where changes in intracellular calcium can cause the activa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from neutrophils including superoxide generation, degranulation and release of myeloperoxidase (MPO), productions of interleukin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and adhesion to the vascular endothelium. To address the anti-inflammatory role of flavonoid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flavonoids quercetin and vitexin on the stimulus-induced nitric oxide (NO), $TNF-{\alpha}$, and MPO productions in human neutrophils. Methods: Human peripheral blood neutrophils were isolated, and their viabilitie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Trypan Blue exclusion test. The polymorphonuclear leukocyte (PMNL) preparations contained more than 98% neutrophils as determined by morphological examination with Giemsa staining. The viabilities of cultured neutrophil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quercetin and vitexin ($1-100{\mu}M$) were studi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s. Neutrophils were cultured in complete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RPMI) medium, pre-incubated with or without quercetin and vitexin ($25{\mu}M$) for 45 min, and stimulated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10^{-7}M$). NO produ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nitrite determination by using the Griess method. Also, the $TNF-{\alpha}$ and the MPO production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s and MPO assay kits. Results: Neutrophil viabilit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M$ of quercetin or vitexin. Both quercetin and vitexin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 NO, and MPO productions in human neutrophils (P < 0.001). Conclusion: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both quercetin and vitexin ha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effects. Thus, treatment with either quercetin or vitexin may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treating patients with neutrophil-mediated inflammatory diseases.

큰눈자미 배아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 및 성숙기 흰쥐에서 항산화 효과 (Phytosterols content of Keunnunjami germ and its antioxidative effects in adult rats)

  • 량지에;마징원;정수임;강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3권2호
    • /
    • pp.99-11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성 쌀인 큰눈자미 배아의 phytosterols 함량 및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성숙기 흰쥐에게 보충 급여한 당질 대사, 항산화 활성 및 일부 cytokines 개선 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Phytosterols 분석에서 NG보다 KG의 campesterol과 stigmasterol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NG에 비해 KG가 DPPH radical 소거 활성, 환원력 및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은 각 10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일반 식이를 급여하는 NC군, 일반현미배아 3%를 첨가하는 NG3군, 큰눈자미배아 3%를 첨가하는 KG3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그 결과 KG3군에서 체중증가량, 신장주위 및 총 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당질 대사에서 실험군들 간에 glucose, 인슐린, C-peptide 및 HOMA-IR의 수준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KG3군에서 혈중 TNF-α 수준이 NG3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eptin, AOPP 및 IL-6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큰눈자미 배아는 높은 함량의 phytosterols과, 우수한 in vitro 항산화활성, 그리고 in vivo 실험에서 일부의 cytokine 개선 및 항산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고 향후 더 많은 생리활성물질 분석, 대사 지표 개선, 작용 기전 규명 등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a tetraploid 'etteum' variety in Platycodon grandiflorum on degranulation and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in RBL-2H3 cells)

  • 정재인;김형서;지한결;이현숙;이재용;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08-214
    • /
    • 2018
  • 본 연구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으뜸도라지추출물 (50, 100 및 $200{\mu}g/mL$) 처리에 따른 RBL-2H3 비만세포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beta}$-hexosaminidase assay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재래종도라지추출물과 비교하여 ${\beta}$-hexosaminidase 억제능이 10배 뛰어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으뜸도라지추출물은 RBL-2H3 비만세포에서 탈과립 후 유리되는 대표물질인 IL-4, $TNF-{\alpha}$, $PGE_2$$LTB_4$의 생성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효과는 재래종도라지와 비교하여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하며 향후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의 혈당조절 및 TLR4-NF-κB 경로 조절 작용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Piceatannol and Resveratrol on Glucose Control and TLR4-NF-κB Pathway)

  • 이희재;이해정;양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7-27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팔미틴산을 처리한 지방간질환 간세포 모델과 비만/당뇨 동물 모델인 KK/HlJ 마우스를 이용하여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 투여가 염증조절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주간의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 섭취는 공복혈당과 경구당부하 검사 2시간 후 AUC를 감소시켜 혈당 조절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팔미틴산을 처리한 지방간질환 간세포 모델에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한 결과 염증조절 경로인자인 TLR4와 $NF-{\kappa}B$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를 in vivo 비만/당뇨 동물 모델인 KK/HlJ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확인한 결과 피세아테놀 섭취는 NLRP3와 $NF-{\kappa}B$의 간 조직에서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IL-1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동량의 레스베라트롤 섭취는 이와 같은 항염증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혈당 조절 개선 효과와 항염증 효과에 있어 피세아테놀이 레스베라트롤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피세아테놀의 항염증 효과는 혈당 조절 개선 효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제안한다.

Deoxypodophyllotoxin Induces a Th1 Response and Enhances the Antitumor Efficacy of a Dendritic Cell-based Vaccine

  • Lee, Jun-Sik;Kim, Dae-Hyun;Lee, Chang-Min;Ha, Tae-Kwun;Noh, Kyung-Tae;Park, Jin-Wook;Heo, Deok-Rim;Son, Kwang-Hee;Jung, In-Duk;Lee, Eun-Kyung;Shin, Yong-Kyoo;Ahn, Soon-Cheol;Park, Yeong-Min
    • IMMUNE NETWORK
    • /
    • 제11권1호
    • /
    • pp.79-94
    • /
    • 2011
  • Background: Dendritic cell (DC)-based vaccines are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novel strategy for tumor vaccination and immunotherapy. However, inducing long-term regression in established tumor-implanted mice is difficult. Here, we show that deoxypohophyllotoxin (DPT) induces maturation and activation of bone marrow-derived DCs via Toll-like receptor (TLR) 4 activation of MAPK and NF-${\kappa}B$. Methods: The phenotypic and functional maturation of DPT-treated DCs was assess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cytokine production, respectively. DPT-treated DCs was also used for mixed leukocyte reaction to evaluate T cell-priming capacity and for tumor regression against melanoma. Results: DPT promoted the activation of $CD8^+$ T cells and the Th1 immune response by inducing IL-12 production in DCs. In a B16F10 melanoma-implanted mouse model, we demonstrated that DPT-treated DCs (DPT-DCs) enhance immune priming and regression of an established tumor in vivo. Furthermore, migration of DPT-DCs to the draining lymph nodes was induced via CCR7 upregulation. Mice that received DPT-DCs displayed enhanced antitumor therapeutic efficacy, whic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IFN-${\gamma}$ production and induc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 activity. Conclusion: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the adjuvant effect of DPT in DC vaccination is associated with the polarization of T effector cells toward a Th1 phenotype and provides a potential therapeutic antitumor immunity.

The protective effects of BMSA1 and BMSA5-1-1 proteins against Babesia microti infection

  • Yu Chun Cai;Chun Li Yang;Peng Song;Muxin Chen;Jia Xu Che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2권1호
    • /
    • pp.53-63
    • /
    • 2024
  • The intracellular parasite Babesia microti is among the most significant species causing human babesiosis and is an emerging threat to human health worldwide. Unravelling the pathogenic molecular mechanisms of babesiosis is crucial in developing new diagnostic and preventive methods. This study assessed how priming with B. microti surface antigen 1 (BHSA 1) and seroreactive antigen 5-1-1 (BHSA 5-1-1) mediate protection against B. microti inf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500 ㎍/ml rBMSA1 and rBMSA5-1-1 partially inhibited the invasion of B. microti in vitro by 42.0±3.0%, and 48.0±2.1%, respectively. Blood smears revealed that peak infection at 7 days post-infection (dpi) was 19.6%, 24.7%, and 46.7% in the rBMSA1, rBmSA5-1-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healthy mice infected with B. microti only), respectively. Routine blood tests showed higher white blood cell, red blood cell counts, and haemoglobin levels in the 2 groups (BMSA1 and BMSA5 5-1-1) than in the infection control group at 0-28 dpi. Moreover, the 2 groups had higher serum interferon-γ,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7A levels, and lower IL-10 levels than the infection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study. These 2 potential vaccine candidate proteins partially inhibit in vitro and in vivo B. microti infection and enhance host immunological response against B. microti infection.

기관지천식에서 Interferon-Gamma 치료의 효과 (Efficacy of Interferon-Gamma Treatment in Bronchial Asthma)

  • 김관형;김석찬;김영균;권순석;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이충은;변광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22-835
    • /
    • 1997
  • 연구배경 : 기관지천식의 병태생리중 IgE의 합성 및 조절에 IL-4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IFN-$\gamma$는 이러한 IL-4의 작용을 길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근거로 최근에 IFN-$\gamma$를 아토피 피부염등 IgE가 높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에 이용하고자 하는 임상적 시도가 있는데, 아직 기관지천식에 대한 임상적 시도는 별로 보고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IFN-$\gamma$는 in vitro에서 말초혈액 다형핵구나 단핵세포에 의한 독성산화물 생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어, 실제 임상에서 IFN-$\gamma$ 치료의 임상적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 IL-4 매개성 IgE 생성에 대한 IFN-$\gamma$의 길항작용에 기초하여, IgE가 정상범위보다 높은 기관지천식 환지들에서 in vitro 에서와 같이 in vivo 에서도 IFN-$\gamma$가 IgE 생성을 억제하는지 여부와, 그 결과로 임상적 치료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관찰하는 한편, 다형핵구의 독성산화물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in vitro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 IgE가 200IU/ml 이상이고 정규적인 부신피질호르몬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기관지천식 환자 50명과 정상인 17명을 대상으로, 혈중 CD23+ B-상층액 발현도, sCD23 농도, T-상층액의 IL-4 activity, 다형핵구에 의한 과산화 음이온 생성능등을 측정한 후, 환자군과 정상군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환자군에 대해서는 상기 검사외에 혈중 IgE 농도 및 histamine $PC_{20}$등을 함께 측정하여 IFN-$\gamma$ 치료전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IFN-$\gamma$ 치료는 체중당 30,000IU를 매일 4주간 피하주사하였다. 결 과 : 다형핵구의 ${O_2}^-$ 생성능 환자군의 다형핵구는 정상군의 다형핵구에 비해 ${O_2}^-$생성능이 높았다(P<0.05). IFN-$\gamma$ 치료후 추적이 가능했던 환자들에서는 IFN-$\gamma$ 치료후에 다형핵구의 ${O_2}^-$ 생성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다형핵구 배양시간에 따라 자연적인 ${O_2}^-$ 생성능 및 PMA 혹은 fMLP 자극에 의한 ${O_2}^-$ 생성능을 관찰하였을 때에도, 배양시간 및 자극제의 종류와 무관하게 IFN-$\gamma$ 치료후가 치료전에 비해 ${O_2}^-$ 생성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FN-$\gamma$ 치료전의 환자군의 말초혈액내 CD23+ B-상층액의 발현도는 정상군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나(P<0.05), 치료후 추적검사가 가능하였던 15명의 환자들에서 치료전후에 의미있는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IFN-$\gamma$ 치료전의 환자군의 혈청내 sCD23 농도는 정상군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중 치료 후 추적검사가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들중 11명(64.7%)에서 치료후에 혈청 sCD23 농도가 감소되었다. T-상층액의 IL-4 activity는 정상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IFN-$\gamma$ 치료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IFN-$\gamma$ 치료후 혈청 IgE 농도의 추적검사가 시행되었던 환자 15명 중 9명(60%)에서 치료후 혈청 IgE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IFN-$\gamma$ 치료에 따른 기관지과민반웅의 변화는 모두 12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는데, 이중 10명(83.3%)에서 IFN-$\gamma$ 치료후 histamine $PC_{20}$가 유의하게 호전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연구결과 IFN-$\gamma$는 IgE가 높은 기관지천식 환자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추측되며, in vivo에서의 IgE 합성 및 조절기전과 이에 대한 IFN-$\gamma$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규산염 복합광물질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능력, 계육품질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ilicate Based Complex Mineral on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ological Competence in Broiler)

  • 임천익;박진언;김상은;최호성;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5-282
    • /
    • 2017
  • 본 연구는 규산염 복합광물질의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5주간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처리구는 1일령 코브 450수에 시판용 육계용 사료를 기초사료로 하여 규산염 광물질을 0%, 0.05%, 0.10%, 0.15%, 0.20% 수준으로 첨가하였으며, 5개 처리구,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15수씩 배치하였으며, 체중과 사료섭취량은 주간단위로 측정하였고, 실험 종료 시에 계육품질, 혈액 성상 및 계육의 지방산 함량,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체 사양시험 기간의 체중과 증체량은 0.10%의 첨가수준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사육초기 7일간 사료요구율은 복합광물질 처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알부민, 혈당 등, 건강과 관련되는 다른 인자들은 대조구에 비하여 규산염 첨가구에서 수준별로 반응하며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계육에서 육즙손실은 모든 광물질 급여구에서 대조구보다 매우 낮았다(p<0.05). 혈청 내 알부민 함량은 0.05% 첨가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p<0.05), 글루코오스 함량은 0.05% 첨가 수준에서 가장 낮았다(p<0.05). 중성지방은 0.20% 첨가수준에서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0.05% 첨가수준에서 가장 낮았다(p<0.05). 가슴살에서 지방산 함량은 처리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0.05%와 0.10% 첨가 급여구에서 불포화지방산이 증가하였고, 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혈액 IL-2 유전자 발현은 0.05% 및 0.10% 첨가 급여구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 결과, 규산염 복합광물질의 0.10% 첨가 급여로 육계의 생산성은 개선되었으며, 계육에서 불포화지방산이 증가되었고, 혈액에서 건강과 관련된 인자들의 수준을 높게 하였으며, 면역 능력을 개선하였다.

폐결핵환자의 말초혈액에서 Activated T Cell의 변화 (Immunocytochemical Study on the Change of the Activated T Cells in Peripheral Blood of th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 류경렬;박은숙;박종화;정판준;황영실;이왕재;장가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6호
    • /
    • pp.823-830
    • /
    • 1995
  • 연구배경: 결핵감염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하여 말초혈액내 조력 T 세포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저왔다. 그러나 말초혈액내 표지물질을 가진 세포의 수적 감소가 세포매개성 면연반응의 저하라고 할 수있지 여부가 앞으로 해결해야 될 문제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결핵 환자들의 말초혈액에서 활성화된, 또는 활성화 되고 있은 세포의 수적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객담 결핵균 양성인 폐결핵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에서 IL-2R, VLA-1, TLiSAI의 활성화 표지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를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1) 폐결핵 환자의 말포혈액에서 $T_1$(+) 세포 및 그 아형들의 단위 부피당 절대수는 $T_4$(+) 세포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_8$(+) 세포는 증가하였다(p<0.05). 2) 폐결핵 환자에서 전체 T임파구의 비율은 감소되어 있으며 $T_4$(+) 세포, $T_8$(+) 세포비율은 각각 유의하게 감소, 증가하였다. 또한 $T_4(+)/T_8(+)$ 비율도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05). 3) 폐결핵 환자에서 activated T cell의 단위 부피당 절대수는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4) 폐결핵 환자에서 activated T cell 비율은, IL-2R, VLA-1, TLiSAI, 각각 6.45+1.56%, 7.64+1.34%, 10.45+1.16%로 모두 대조군에 비해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이며 특히 TLiSAI 항체가 가장 많이 관찰 되었다. 결론: 폐결핵 감염시 말초혈액 임파구의 일부만이 활성화되어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라이코펜 첨가 급여가 닭의 지방대사, 포도당 수송 및 친염증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ycopene on the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 Glucose Transport and Pro-Inflammatory Related Genes in Chickens)

  • 장인석;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1-238
    • /
    • 2015
  • 라이코펜은 항산화제로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포유동물에서 염증 관련 면역과 지방대사 조절자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라이코펜의 가공 및 급이형태가 지방대사, 지방산 및 포도당 운반, 면역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실시하였다. 백색레그혼(25주령) 48수를 lycopene의 첨가원에 따라 대조군(CON, basal diet(BD)), 토마토 건조분말 급여군(T1, BD+tomato powder-containing 10 mg lycopene/kg 사료), 토마토 건조분말 유화처리군(T2, BD+micellar of tomato powder-containing 10 mg lycopene/kg 사료) 및 정제 lycopene 급여군 (T3, BD+purified 10 mg lycopene/kg 사료) 등 모두 4처리구로 설정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종료 후 각 개체의 간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라이코펜을 급여받은 닭은 급여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PPAR${\gamma}$의 발현을 억제하였다(P<0.05). 지방합성효소 유전자 FASN의 발현은 T2에서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T1, T3에서는 영향이 없었다. SREBP2와 C/EBP${\alpha}$ 또한 T2에서 효과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보였다. 세포 내 포도당 흡수기능을 하는 GLUT8은 T2와 T3에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다(P<0.05). 지방산 산화를 위한 지방산 운반체인 CPT-1 유전자는 라이코펜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면역 관련 염증인자인 TNF${\alpha}$와 IL6는 라이코펜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그 발현이 억제되었다(P<0.05). 본 연구결과는 라이코펜의 급여 형태가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유화처리된 라이코펜이 지방대사, 포도당 및 면역반응에 더 효과적 급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