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Environment

검색결과 1,724건 처리시간 0.033초

공공영역의 서비스 품질 유지 및 수준 향상을 위한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on Pla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Service Quality Levels in Public Fields)

  • 편제범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01-113
    • /
    • 2022
  •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기업 간 경쟁의 심화와 가속화는 서비스 소비자들이 원하는 서비스의 품질 수준을 높였고, 이러한 소비자의 동향은 급변하는 기술의 수용과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을 감안해야 하는 공공영역의 서비스 제공 환경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ISO18091:2019』을 기반으로 행정안전부에서 개발한 공공서비스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교재를 활용하여 공공기관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한 후 설문을 통해 교재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실제 개선활동에 참여한 공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필드스터디 결과를 바탕으로, i)데이터 활용 및 검증, ii)공공서비스의 광범위성, iii)서비스 제공기관의 규모/역량의 세 가지 관점에서 공공서비스 품질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환경 노출 조건 하에서 심재구성에 따른 플러쉬문의 변형 (Deformation of Flush Door Depending on Core Construction Under th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

  • 장상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2호
    • /
    • pp.38-44
    • /
    • 2003
  • 플로쉬문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으로서 가정용으로부터 영업용 문까지 그 용도가 다양하다. 플러쉬문의 제작방법은 거의 변화가 없이 남양재 골조 위에 합판덮개를 덮어서 본체를 구성하는 형태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 시장과 판재 시장의 수요와 공급 상황이 변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서 플러쉬문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의 선택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러쉬문의 제작에 HDF를 덮개 및 골조재료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일반적인 제작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스킨문과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험용 문들을 여름과 겨울의 계절에 따라서 변하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환경에 3-4개월 동안 노출시키고 문의 변형과 온도 및 상대습도를 1주일 단위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HDF가 플러쉬문의 덮개 및 골조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골조의 구성방법에 의하여 생산된 플러쉬문이 일반적인 스킨문보다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문의 변형은 온도 및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플러쉬문이 전반적으로 스킨문보다 적은 변형을 나타냄으로써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스킨문보다 안정적이고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Measures to Increase Student Enrollment in Community Colleges : Based on the Case of G College

  • Ki yeu, Jo;Ho geun, K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137-147
    • /
    • 2022
  • In this study, for students who gave up their studies midway through college, we investigate the reasons for dropping out of college,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d students to drop out,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recruitment rate of enrolled students. This study explores measures to increase student enrollment in community colleges.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who dropped out of G College between 2018 and 2020 from June 28 to July 9, 2021. Its analys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5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irst, our results suggest that programs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aculty, and staff are necessary. Such programs will cultivate a culture of solidarity and collective identity among students, which in turn will reinforce positive experiences in college. Moreover, by developing systems to form relationship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colleges can have a feedback mechanism, such as an open-study program, through which they learn what the students want and need. Through this effort, colleges can help their students adjust to campuses and enhance student satisfaction in college.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not only for freshmen but existing students and to run hobby and leisure activity programs. To have continuous, standing extracurricular programs instead of one-time events, colleges should set up specific goals, delivery methods and strategies. Third, colleges should renovate old and outdated buildings and facilities on campus to enhance the quality of campus life. Moreover, more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a campus environment by having various convenient and leisure facilities that meet the needs and demands of students. Fourth, it is suggested to develop programs or systems that help students to more fully engage in campus lives and activities, which in turn increases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mong students. Through such programs, students can better adjust to their majors and, therefore, will be less likely to drop out of college.

Mobile Text Readability Improvement Study of Korean Font - Focusing on Google Noto Sans Typeface -

  • Jae-Hong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77-86
    • /
    • 2023
  • 본 연구의 배경은 한글 폰트의 경제적 가치가 증대되고 있으며,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작은 글자디자인 중심의 폰트 개발의 필요성에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모바일 화면에서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분석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는 인쇄·출판용 구글 본고딕체와 작은 크기에 맞게 보정한 구글 본고딕체를 대상으로 팀 아렌스의 가독성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덟 가지 속성을 모바일 텍스트 한글 폰트디자인에 적용하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 낱글자의 너비는 넓게, 2. 열린 속공간(모인 공간)은 좁게, 3. 닫힌 속공간은 좁게, 4. 무게(굵기)는 두껍게, 5.획의 대비는 줄여서, 6. 글자 사이의 간격은 늘려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쇄·출판용과 모바일용, 굵기와 크기에 따라, 가독성과 판독성 향상 기술이 적용된 한글 폰트가족으로 구별되어 공급되어야 한다.

EPAR V2.0: AUTOMATED MONITORING AND VISUALIZATION OF POTENTIAL AREAS FOR BUILDING RETROFIT USING THERMAL CAMERAS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S

  • Youngjib Ham;Mani Golparvar-Fard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79-286
    • /
    • 2013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problems. The presented method is based on automated analysis and visualization of deviations between actual and expected energy performance of the building using EPAR (Energy Performance Augmented Reality) models. For generating EPAR models, during building inspections, energy auditors collect a large number of digital and thermal imagery using a consumer-level single thermal camera that has a built-in digital lens. Based on a pipeline of image-based 3D reconstruction algorithms built on GPU and multi-core CPU architecture, 3D geometrical and thermal point cloud models of the building under inspection ar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integrated. Then, the resulting actual 3D spatio-thermal model and the expected energy performance model simulat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alysis are superimposed within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ing EPAR models which jointly visualize the actual and expected energy performance of the building under inspection, two new algorithms are introduced for quick and reliable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erformance problems: 1) 3D thermal mesh modeling using k-d trees and nearest neighbor searching to automate calculation of temperature deviations; and 2) automated visualization of performance deviations using a metaphor based on traffic light colors. The proposed EPAR v2.0 modeling method is validated on several interior locations of a residential building and an instructional facility. Our empirical observations show that the automated energy performance analysis using EPAR models enables performance deviations to be rapidly and accurately identified. The visualization of performance deviations in 3D enables auditors to easily identify potential building performance problems. Rather than manually analyzing thermal imagery, auditors can focus on other important tasks such as evaluating possible remedial alternatives.

  • PDF

G7 고속전철기술개발사업에서의 시제차량 통합 디자인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totype Test Train Design in G7 Project for High Speed Railway Technology)

  • 정경렬;이병종;윤세균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85-196
    • /
    • 2003
  • WTO출범 이후 저에너지 소모, 저공해, 무공해 등의 환경친화적 운송수단의 발달이 요구됨과 동시에 세계적으로 고속전철기술의 지속적 발전과 시장 확대가 전망됨에 따라 프랑스, 독일, 일본 등과 같은 철도선진국들은 철도기술 개발에 막대한 기술 투자비를 투입하여 기술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함과 동시에 좁은 국토에서 도로정체에 의한 물류비 증가와 환경오염, 국민생활의 불편 등으로 인한 사회ㆍ경제적 손실을 최대한 억제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와 환경친화적인 철도 발전을 이끌기 위해 고속전철기술에 대한 독자적 개발 능력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1996년부터 2002년까지 6년간 수행된 G7 고속전철기술개발사업은 350km/h급 고속전철의 독자적인 설계, 엔지니어링 및 제작 능력을 배양하고, 2000년대 차세대 한국형 고속전철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 프로그램이다. 본 고에서는 G7 고속전철기술개발사업에서 수행된 연구내용 중 차량시스템 엔지니어링기술개발과제의 디자인부문 개발 성과를 요약 소개하였다. 철도선진국에서는 차량설계 초창기부터 디자인 측면의 검토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국내 철도차량개발에 있어 디자인 측면의 검토는 미비하고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본 사업에서는 차량개념설계 단계부터 디자인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국내 철도차량디자인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차량디자인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한국형 고속전철시스템의 디자인 컨셉은 한국의 자연조건과 기술환경에 적합한 보다 빠르고, 보다 쾌적하고, 보다 조용한 한국 고유형 고속전철과 그 여행문화를 이루어내는 것이다. 고속전철의 한국 고유성이란 주로 승객의 고속전철여행을 통해서 인식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한국의 행동양식과 생활문화를 고려한 일반 객실의 단면개념을 기준으로 공기역학적으로 유리한 단면 외형 형상을 구현하는 한편, 터널 개활지 주행 최적화를 위한 전두부 공력형상 구현, 차체 단면적 축소와 곡선화를 통한 공력저항 최소화, 인간공학적 실내 설계 및 부속실의 편의성 도모, 외관통합 색채디자인 등을 통해 한국 고유형 고속전철 차량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 PDF

마라도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지 특성 (Breeding Site Characteristics of Styan's Grasshopper Warblers(Locustella pleskei) on Mara Islet, Jeju Province, Korea)

  • 김은미;김화정;최창용;강창완;강희만;박찬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8-534
    • /
    • 2009
  •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며, 동아시아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섬개개비(Locustella pleskei)는 한국의 추자도, 마라도, 칠발도, 홍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구체적인 번식 정보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마라도(N $33^{\circ}$ 06', E $126^{\circ}$ 16')에 번식하는 섬개개비의 번식 현황과 번식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섬개개비 총 11쌍이 번식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번식하는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다. 둥지는 곰솔숲의 관목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등 관목성 나무를 둥지목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목의 수고는 $2.77{\pm}1.10m$, 지면으로부터 둥지의 높이는 $1.75{\pm}0.56m$였으며, 둥지목의 수고는 다른 주변의 나무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마라도의 강한 해풍을 피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로 억새잎이나 사초과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밥그릇 형태의 둥지를 만들었으며, 둥지의 지름은 $11.9{\pm}0.5cm$, 높이는 $11.1{\pm}1.1cm$, 깊이는 $5.8{\pm}0.4cm$로 나타났으며, 산좌지름은 6.0cm였다. 마라도에서 섬개개비는 다른 섬지역보다 번식시기가 다소 늦었으며, 한배산란수는 3개로서 보통 다른 번식지의 4-5개보다 작았다. 이는 번식시기가 늦어질수록 한배산란수가 적어지는 일반적인 경향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마라도 곰솔숲의 솎아베기와 관목층 제거는 밀집된 관목층을 둥지로 선호하는 섬개개비의 번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섬개개비 번식 생태 및 서식지에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되며, 숲가꾸기 수행에 있어서도 섬개개비의 보전을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간척지 온실 기초의 침하량 검토 (Settlement Instrumentation of Greenhouse Foundation in Reclaimed Land)

  • 최만권;윤성욱;유인호;이종원;이시영;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5-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 내에 온실을 시공할 경우, 온실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 나무말뚝 기초를 사용하여 완공한 계화도 간척지의 1-2W형 온실을 대상으로 온실기초의 침하량을 계측하고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반조사 결과, 기반암인 연암층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부지 조성 당시 매립한 것으로 추정되는 매립층과 그 하부에 퇴적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매립층과 퇴적층 하부에 풍화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지반층의 토성은 시추공에 관계없이 주로 점토 섞인 모래, 실트질 모래, 실트질 점토 및 화강편마암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지하수위도 시추공에 관계없이 지반에서 0.3m 아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기초 및 나무말뚝의 침하량은 전체적으로 볼 때, 온실 내 외부나 계측지점(채널)에 관계없이 침하량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침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 내부 기둥의 경우, CH-2는 좀 예외적이긴 하지만, 온실 측벽(방풍벽 측)에 있는 지점의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큰 진폭으로 흔들리는 것은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시기에 침하량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한 후, 어느 정도 침하량이 회복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들을 포함하여 CH-1을 제외하고 현 시점에서 온실 내 외부 전체의 지점별(CH-2~CH-10) 침하량은 1.0~7.5mm 정도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는 지점별로 0.6362~0.9340까지의 범위로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온실외부의 경우는 0.6046~0.8822로서 온실내부 보다는 다소 낮지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Danish and Korean Farmhouses -In Reference to Farmhouse Plans, Use of Rooms including Furniture Arrangement, and Building Materials-

  • Choi, Jung-S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8권1호
    • /
    • pp.67-78
    • /
    • 2007
  •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comp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farmhouses between Denmark and Korea as a cross-cultural study. Farmhouses built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Denmark, and ones from Chosun Dynasty (AD. 1392-1910) in Korea were targets of this study. Literature study and field trips to districts and open-air museums in both countries were used.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during summer of 2005 in Denmark, and fall of 2005 in Korea. Detailed comparisons focused on farmhouse plans, the use of rooms and furnishing, and building materials. As a conclusion,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farmhouse plans, square types with four wings, and parallel types were the most frequent forms in Denmark, while a few types, such as the "I", "L", "U" shapes and square typ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Korea. In Denmark, the most important room was the dwelling-room, in which daily family life took place. Every member of the family slept, ate, and worked here, and kept geese and young animals during the winter season. Therefore, this room was laid out in the center of the house. However, Anbang, the most important room in Korea, was not situated in the best part of the house. Instead, the Daechung-maru occupied the center and the best place because the daechung-maru, in which the ancestral ceremony was held, was thought of as more important than a place for live people. Also the use of rooms and furnishing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reflecting each life style. Danish furnishings represented practical daily life, while Korean furnishings reflected more conceptual aspects. It might have resulted from Confucianis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ruled daily life and even influenced use of rooms and furnishings. In other word, philosophy influenced common peoples' daily life and living environment. With reference to building materials, there was rarely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Major materials for farmhouse were quite common, such as half-timbering wood and clay, but the difference was in bricks and roof coverings. Bricks were rarely used in Korean farmhouses, while rice-straw was rare for the roof of a Danish farmhouse. Of course, the choice of materials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local surroundings and overall environment. This result can give some clues for design ideas when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plan housing that is adapted for local peoples. This kind of cross-cultural study can also contribute to one's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 especially in housing and culture. And, it can broaden one's insight of design ideas for designers who have to compete frequently with designers in foreign countries.

남북한 접경지역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편화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Landscape Analysis of Habitat Fragmentation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Border)

  • 성찬용;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52-959
    • /
    • 2012
  • 본 연구는 경기도 내 남북한 접경지역인 파주시와 연천군에서 1990년부터 2007년까지 17년 동안 진행된 서식지 파편화를 경관지수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1990년과 2007년에 수집된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와 산림 서식지를 분류한 후 각 시기별 서식지 면적비, 패치밀도, 평균 패치면적,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에 대한 패치밀도는 47% 증가, 평균 패치면적은 42% 감소하였고 산림 서식지의 패치밀도와 평균 패치면적도 각각 36% 증가, 28.7%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어 두 유형의 서식지 모두 지난 17년간 급격히 파편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패치면적 대비 둘레길이는 초지 및 경작지 서식지는 7%, 산림 서식지는 5% 감소하여 남아있는 서식지라 하더라도 서식지 주변지역의 경계효과에 영향을 받아 서식지 내부종이 서식할 수 없는 지역이 많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늘어날 접경지역에 대한 개발에 대비해 서식지 파편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보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