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ace Sharing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라이프 로그 공유 및 관리를 위한 확률모델 기반 사용자 인터폐이스 및 블로그 개발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and Blog based on Probabilistic Model for Life Log Sharing and Management)

  • 이진형;노현용;오세원;황금성;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5호
    • /
    • pp.380-384
    • /
    • 2009
  • 모바일 장치에서 수집되는 로그 데이터는 개인의 일상에 대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정보를 담고 있다.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용자의 위치, 사진, 사용중인 모바일장치 기능 및 서비스의 종류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추론하고 개인의 일상을 이해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로그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지도기반으로 시각화하여 개인 일상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사용자와 이 정보를 공유하여 상호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베이지안 네트워크 확률 모델을 채택하여 개인의 상황을 추론한다. 실험에서는 실제로 수집된 로그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적 시각화 및 다른 사용자와의 정보 공유 기능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미군 사례 고찰을 통한 한국군 데이터 전략 및 공유 데이터 모델 개발방안 제안 (Proposal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ROK military data strategy and shared data model through the US military case study)

  • 이학래;김완주;임재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757-765
    • /
    • 2021
  • 2018년 미 국방부 국가안보전략에 포함된 다영역작전 수행을 위해서는 C4I 체계 간의 적시적인 데이터 공유가 선행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군도 수 차례 연구를 통해 C4I 체계간 데이터 연동과 표준화에 대한 문제가 제기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의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방성이 2003년 데이터 전략 수립 후 이를 구현하기 위해 약 20여 년간 추진해온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 한국군 C4I체계 운용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전략 수립, 데이터 모델 개발, 데이터 공유를 위한 표준 선정, 그리고 공유 데이터 개발 절차를 제안함으로써, 한국군 C4I체계간 데이터 공유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UHF 대역 무선 프린터 공유 인터페이스의 설계 (The Design of Wireless Printer Interfaces for UHF band)

  • 강영석;김기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80-283
    • /
    • 2000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프린터의 공유 방법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다. LAN에 의한 프린터공유는 보편적이나, LAN이 설치되지 않은 환경에서는 프린터 공유기를 이용하거나 프린터를 이동시켜 인쇄를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와 프린터 사이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한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 프린터 공유기를 개발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프린터의 이동 없이 최대 50미터 반경내의 다수의 컴퓨터와 시분할 방식의 공유가 가능하다. 본 장치는 프린터와 컴퓨터에 UHF 송수신 인터페이스 모듈을 각각 설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최대 전송속도는 9600bps이다.

  • PDF

다중처리를 지원하는 CAT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Realization of CAT Interface supporting Multitask)

  • 전동근;노승환;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423-1436
    • /
    • 1992
  • 이 논문에서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CAT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컴퓨터와 계측기를 연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카드를 제작하고 구현하였다. OOP와 CUI를 사용한 컨트롤과 디스플레이는 C++로 프로그램되었다. 스펙트럼 분석기와 전력계가 제어할 계측기로 선택되었다. 9개의 모듈이 여러가지 자원을 공유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여러대의 계측기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해 멀티태스킹이 구현되었다. 멀티태스킹은 시간분할 DOS환경에서 수행되었다. 멀티태스킹은 프로세싱 기법으로 트레드 방식을 사용하였고 스케줄링으로 라운드 로빈방식을 사용하였다. 다른 목적계측기를 위해서는 목적 계측을 구동할 소프트웨어만 합하면, 시스템은 더 많은 계측기를 컴퓨터에 의해 동시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문가적인 지식없이 시간과 오차를 줄일 수 있다.

  • PDF

사용자 경험을 위한 인터랙션 공간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Interaction Space Design for User Experience - Focusing on the Digital Media -)

  • 김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8-56
    • /
    • 2012
  • Digital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is entering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and ubiquitous computing, and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Based on new media method's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 a wide range of forms as digital design is made possible. A large part of our living such as information sharing, collaboration, production, recreation, working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has been realized from the space that digital media offer. As we see a much broader range, the digital media's diverse expressions affect, in interactive ways,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ings, between each individual human, and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but also even emotional purification and realm of educational, cultural, and social aspect. In this study, the aim is to discuss the user-centered design considered for integration into the interaction space design method and is to concentrate on research on. Focusing on digital media, user-friendly interface features of the space environment,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have been applied to try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of space that is created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and will seek ways. Thus, various case-studies have been explored where interface space is developed, creating virtual reality through cognitive basis and 3-D interface space. For example, emotional expressions are embedded for the space of commerce, education and exhibition, enabling intercommunication through haptic interface, with changing sound and visual effects which are caused by the movement of people in a certain space. Wit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objects, interactive design should be achieved by providing a human oriented interface based on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 PDF

과학적 가시화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VR Juggler 기반 가상현실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 VR Juggler-based Virtual Reality Interface for Scientific Visualization Application)

  • 구기범;황규현;허영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88-496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대용량 해석 데이터 가시화 시스템을 위한 가상현실(VR) 인터페이스의 세부적인 개발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소개하는 VR 인터페이스는 오픈소스 VR 프레임워크인 VR Juggler에 기반을 두고 있다. VR Juggler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벤트 드리븐 방식을 지원하지 않으며 클러스터 환경에서 실행될 때 노드 사이의 동기화가 제한적으로 지원되는 등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벤트 처리, 애니메이션 재생이나 외부 서버와의 통신 시 클러스터 노드 간 동기화 및 데이터 공유와 같이 VR Juggler를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방안을 실제 개발사례와 함께 제시한다. 그리고 가상현실 입력장치의 단점을 보완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도 소개하며, 외부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사용성 평가결과를 통해 VR 인터페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상황인식 미들웨어를 위한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설계 (A Design of Transducer Interface Protocol for Context-aware Middleware)

  • 장동욱;손석원;한광록;선복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5-55
    • /
    • 2011
  •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 곳곳에 편재된 센서가 수집한 각종 환경 정보를 효율적으로 상호 공유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한 센서의 종류는 다양하고 각각의 센서는 고유의 특성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통신을 하기 때문에 센서의 활용에 제한이 있다. 이에 센서와 네트워크 계층과의 통신 프로토콜 표준화를 위한 IEEE 1451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IEEE 1451은 트랜스듀서(Transducer)의 표준화를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미들웨어에 접속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XML을 이용하여 주변상황 정보를 얻기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함으로써 상황인식 미들웨어에 연결되는 트랜스듀서 인터페이스 및 응용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센서와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량 건전성 감시 시스템과 철로 감시 시스템을 구현하고 제안한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망 관리 프로토콜 연동을 위한 확장된 GDMO (An Extended GDMO for Interworking Different Network Management Protocols)

  • 임미경;김태수;이광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56-16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망 관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SNMP망과 CMIP망) 사이의 상호연동을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MOVI(Managed Object View Interface) 개념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접속(interface)을 가지는 새로운 관리 대상 객체를 정의 하였으며, GDMO 컴파일러를 수정하여 확장된 GDMO(EGDMO) 컴파일러를 구현하였다. 또한 새롭게 정의된 관리 대상 객체는 두개 이상의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일관성 제어(consistency control)와 원자적 수행(atomic ac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접근 방법을 정의하였다. 관리 대상 객체가 다양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새롭게 정의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앞으로 다른 종류의 망 관리 프로토콜이 구현되어도 새로운 상위 계층의 게이트웨이를 구현할 필요 없이, 간단한 인터페이스의 변환만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기존의 관리 대상 객체를 변형하여야 하지만, 기존의 관리 대상 객체를 모두 수용하며, 차후에 정의되는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해서만 새롭게 정의하면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복잡한 망 관리 프로토콜의 상호 연동도 가능하며, SNMP 및 CMP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고, 기존의 망 관리 프로토콜 자체의 연동뿐 아니라 앞으로 새로운 망 관리 프로토콜의 연동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의료정보 공유를 위한 HL7 인터페이스 엔진 구현 (Implementation of HL7 Interface Engine for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 황득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89-98
    • /
    • 2010
  •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의 급속한 발전으로 의료 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서로 다른 병원시스템을 가진 병원들이 의료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시스템 간 의료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의료 데이터를 의료정보 교환 프로토콜인 HL7에 맞춰 변환시켜주는 인터페이스 엔진이 필요하다. HL7은 의료 정보 시스템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HL7에서 정의한 메시지 구조를 바탕으로 요양기관의 치매환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엔진을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 엔진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듈로 구성하였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의료 데이터 입력과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하였고, 서버 시스템에서는 메시지를 세그먼트, 필드 단위로 파싱하여 메시지의 이상 유무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현하였다. 구현 언어로는 Java와 JavaC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로 인하여 평생전자의무기록과 원격진료시스템, 다양한 의료기관 간 의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과업형 챗봇에서 개인화와 담화 종류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수용의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sonalization and Types of Interface in Task-oriented Chatbot)

  • 박소현;정윤현;강현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595-607
    • /
    • 2021
  • 4차 산업 혁명과 비대면 서비스의 증가로 과업형 챗봇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효과적인 정보 처리를 돕는 과업형 챗봇으로 사용자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주기 위해서는 챗봇에서 제시할 정보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업형 챗봇의 맥락에서 개인화 및 담화 종류에 따른 인터페이스의 차이가 성과기대, 예상노력, 수용의도 그리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개발될 과업형 챗봇에 실무적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화 수준에 따른 주효과가 수용의도 및 만족도에서 보고되었으며, 닫힌 담화에 한해서 개인화 수준이 낮을 때에 수용의도와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과업형 챗봇 내에서 개인화 적용의 이점 및 닫힌 담화 내에서 개인화 수준에 따른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으며 이를 인지된 개인화, 기대불일치 이론, 프라이버시 염려, 프라이버시 역설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