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ion for underground facilitie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지하공간통합지도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Focusing on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

  • 배상근;김상민;유은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221-235
    • /
    • 2020
  • 인구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표 중심의 토지이용에 한계가 나타남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정된 국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이로 인해 싱크홀, 지하시설물 파손과 같은 재난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2014년도에 전국 각지에서 발생했던 싱크홀을 계기로 2015년부터 15종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되고 있으나, 그 이후에도 고양시 온수관 파열, 서울 아현동 통신구 화재 등이 지속됨에 따라 지하정보의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공간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표준, 규정 및 지침 등을 분석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작업규정 내 명시된 품질검사 기준 및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통해 관리되는 15종의 지하정보 중 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반드시 필요해 라이프 라인(life line)이라고도 불리는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장 GPR 탐사자료와 지하공간통합지도 상호위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between the GPR Survey Data and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송석진;조해용;한담혜;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8-216
    • /
    • 2020
  • 최근의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 및 침하, 노후 지하시설물 파손 등의 지하 안전에 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취득하는 GPR 탐사 성과로부터 취득한 지하시설물 공간정보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공간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기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하공간통합지도 연계 현장활용 서비스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강남역 주변 일부 구간에 대하여 현장 활용성 검증을 위한 GPR 탐사성과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최대 0.879m, 최소 0.101m, 평균 오차는 0.625m로 나타났다. GPR탐사 성과의 정확도가 보장될 경우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정확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search on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for an Intelligent City

  • Kim, Jung-Hoon;Lee, Jae-Y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21-439
    • /
    • 2008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7대 시설물의 주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하 환경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를 개발하여 지하시설물의 모니터링 및 긴급처리와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지능형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국토연구원을 포함한 5개의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총 6차년 도에 걸쳐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의 지능형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우선 $1{\sim}2$차년 도에는 상하수도에 초점을 두고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축기반기술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국토연구원에서는 지하시설물 통합관리 기술개발을 위해 기존 상하수도 단위 업무시스템 연계방안을 연구하였고 모니터링 기술개발을 위해서 상하수도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신규/기설 지하시설물별 센서 설치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연구원에서 수행한 $1{\sim}2$차년 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 PDF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the use of the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 김성길;송석진;조해용;허현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83-490
    • /
    • 2021
  • 최근 도시화된 지역의 지하개발로 인한 각종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지하시설물 정보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활용하기 위해 현장 취득 GPR (Ground Penetration Radar) 탐사 데이터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상호 위치를 비교하는 기능, 지하시설물 분석 기능, GPR 탐사 단면을 지하공간통합지도 상에 중첩하여 가시화 하는 기능, 측량 데이터를 3차원 공간상에 정위치 및 속성 편집을 통해 셰이프 파일로 변환하는 기능, 셰이프파일을 지하공간통합지도 모바일 센터에 제출하는 기능을 정의하여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테스트를 위해 상수관로 매설 공사 현장에서 지하시설물 실시간 측량 현장에서 활용하는 시나리오와 GPR 탐사 현장에서 활용하는 시나리오를 도출하였으며, 서울시 관내 4개소에서 현장 실증을 수행하여 활용 시나리오의 현장 적용 문제점 및 기능의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현장 활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장에서 측량 성과의 품질 확인 및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갱신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는 지하시설물도 정확도 향상 확산사업에 시범 적용하여 개발 프로그램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시설물 측량에 있어서 GPR 탐사방법의 정확도 검증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Verification Criteria in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ing Using GPR)

  • 오이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35-49
    • /
    • 2021
  • 지하공간정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하공간정보통합지도 제작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매설된 지하공간정보의 등록이 필수적이다.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지하시설물전산화등록사업에 착수한 이래 지속적으로 지하시설물에 대한 조사 측량을 지자체별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또한 싱크홀 등의 위험요소에 대비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지하안전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지하시설물관리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GPR탐사방법에 의한 지하시설물 조사측량이 증가 추세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R탐사 방법의 원리 등의 이론들을 고찰하고, 국내 관련 법규와 국내 GPR탐사 실험성과 및 해외 기준들을 분석하여 GPR탐사방법의 정확도 검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해외에서는 주로 학회나 협회에서 정확도 기준을 설정하여 활용하고 있었고, 법규 및 기존의 실험성과와 해외기준과의 비교 결과 부분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검증기준에 있어서 GPR탐사방법의 특성을 감안 해외사례와 같이 오차의 기준을 퍼센트로 병행으로 하는 사례도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지하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항목 분류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Monitoring Items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Underground Facilities)

  • 김정훈;민경주;이미숙;임시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9-26
    • /
    • 2010
  • 지하시설물은 도시민의 편의 및 안전과 직결되어 있으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관리주체가 상이함으로 인해 정보의 공동 활용도가 낮으며 업무 생산성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도로기반 지하시설물에 대한 전산화 사업 등의 노력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특히 센서 및 무선통신 등의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하시설물의 통합관리는 지하시설물 관리의 지향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센서 및 무선통신 등을 활용한 지하시설물 통합관리는 유비쿼터스 도시의 핵심인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주요 역할이 될 것이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도시를 표방하며 건설이 진행 중인 도시에서 조차도 아직까지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역할에 대한 정의와 그 범위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하시설물에 대한 관리는 기존 지자체 및 유관기관에 해당 역할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통합센터에서의 관재에 대한 근거가 미약하다. 더불어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의 실현을 위해서는 관련된 기술에 대한 효율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는 그 종류가 많고 융 복합적이기 때문에 관련 기술의 개발시 우선순위를 고려하거나 공동으로 개발해야 효율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시설물별로 이루어졌던 지능형 모니터링 항목에 대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지하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항목의 분류안을 제시함으로써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역할에 대한 조명과 효율적 기술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GIS를 활용한 택지개발사업지구 지하시설물 관리방안 (Land Development Project Area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 Plan Using GIS)

  • 김감래;이재기;임건혁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9-334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is propriety review for underground facility surveying on development area of land for housing and efficient management. Because of integration 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construction of the n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struction of Urban information system(UIS) to manage systematically city space is increasingly necessary We manage systematically attribute information for each lot in the development area of land lot housing that it Is connected with NGIS in order to drive gradual computer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arrange the base of facility management. Review arrangement methods on development area of land for housing makes it to check safety accident of urban and to leading base of urban information. Thus, this study draw the most suitable way through analysis of driving methods and expectation effect from above facts.

  • PDF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 홍상기;조성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9-27
    • /
    • 2009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시스템 기반 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 시설물 관리 대상 시설물인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을 위해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 (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표준화된 참조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지하구조물 3차원 모델 자동검수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Automated Inspection Program for 3D Models of Underground Structures)

  • 김성수;한규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3-419
    • /
    • 2022
  • 지하공간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지하와 관련된 안전사고가 자주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서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2018.01.01. 시행, 이하 지하안전법)을 시행하고 있다. 지하안전법의 핵심이 되는 내용 중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하공간에 존재하는 지하시설물, 지하구조물, 지반의 지하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 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통합지도 중 3차원의 지하구조물 데이터를 대상으로 3차원 모델 생성 후 이를 빠르게 검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3차원 지하구조물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동 검수하는 기술에 대하여 국내·외 현황을 조사하였다. 핵심이 되는 연구내용으로는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할 때 3차원 지하구조물의 검수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3차원 모델 품질을 검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수작업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3차원 모델 검수과정을 98% 이상 자동화함으로써 지하공간통합지도 지하구조물의 3차원 모델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지역난방 시설을 중심으로 (Improvement in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Process ; Focused on the District Heating Facility)

  • 김정훈;임시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19-328
    • /
    • 2009
  • 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물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시설물 관리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시설물 관리의 지능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기술, 통신 기술, 공간정보 등 핵심 요소기술을 바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현장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기 이전의 업무프로세스를 통해 시설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을 병행하여 기술과 현장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술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업무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