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curriculum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1초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 전혜인;정효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68-275
    • /
    • 2021
  •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한의학 교육과정 변화의 조건 탐색 - 통합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Conditions that will Allow for Chang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urricula - Focusing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89
    • /
    • 2020
  • Objectives : To suggest conditions that will allow for change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curricula through analysis of the failure of widespread acceptanc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nto all Traditional Medicine Colleges. Methods : First, the process of change between TKM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was compared. Next, the conditions that would stimulate change in TKM curricula were analyzed in three levels: structure, policy, and actor. Results : TKM colleges have not experienced a structural change from the six-year to four-year structure. The accreditation standards of TKM education (KAS2021) should be more supportive instead of forcing change, and the goals should be reset to education improvement instead of meeting the standards of WFME. The deans' leadership and professors' ownership over their subjects need to be modified. A group of professionals that could lead change is required, while other factors such as full-time professorships, clinical practice hours, obligatory teaching hours and overall teaching environment need to be improved. Conclusions : It would be ideal if individual TKM colleges created success models of curricula change-despite the time and effort that is required-that could spread to other colleges. After the new curriculum has been accepted in more that half of the total eleven TKM colleges, an institutional isomorphism can be demanded.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Focusing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84
    • /
    • 2017
  •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 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 중심 통합(ITI: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형 가정과 의생활영역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Plan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by Integrated Thematic Instruction(ITI) type)

  • 김남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41-160
    • /
    • 2017
  • 현재 전 세계는 정보화 세계화의 사회로 개방, 협력, 통합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창의적인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국가의 경쟁력은 곧 창의적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개인적인 욕망과 성취를 위한 창의적 인재 양성이 아니라 나누고 배려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인류학적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저에 있는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특징을 가정교과에 적용시켜 통합형 창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와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기술 가정 교과서의 의생활 영역의 내용 요소를 추출한 후 전문가 집단이 내용선정 기준에 의해 5가지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의생활 영역의 5가지 주제 중 '의복의 선택과 관리' 주제를 중심으로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하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과정안은 총 5차시 수업으로 [기초 탐구 - 내용 1 - 내용 2 - 심화탐구 - 적용]으로 구성하였다. 과정안은 교과 내 통합과 교과간 통합을 고려하였으며 통합형 수업의 진행 과정에서 배려와 나눔의 인성요소와 창의성, 문제 해결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실제 5차시 수업을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에 가정교과의 교과목표와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목표를 분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업 진행단계에서 창의적 요소와 인성적인 교육 요소를 표면적으로 드러내어 수업에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교육은 새로운 교육과정이 수시로 개정 및 고시되고 있어 교사가 변화패러다임에 맞추어 수업을 실행하기가 어려웠다. 가정교과는 실제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통합형 주제로 수업을 하기에 적절한 교과이며 다른 교과에서 다루기에 한계가 있는 창의, 인성적 요소까지 학생들에게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과의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 중심 통합형 가정과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이 새롭게 도입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f Realitie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신영준;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64-7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 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 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 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대한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에 대한 인식 제고,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통합과학 현장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 과학교사 자격증 체제에 대한 점검 등을 제언하였다.

일본의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문제점 및 과제 : 설비·운영 기준, 보육·교육내용 및 교사자격을 중심으로 (Problems and Tasks of Integrated Center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Standards for Equipment and Management,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nd Teacher Qualification)

  • 장경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91-412
    • /
    • 2014
  •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일체화 시설로서 2013년 현재 595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더욱 확산시키고자 일본정부는 2012년에 인정어린이원법을 개정하고, 2014년 4월에는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운영의 기준 및 보육, 교육내용을 발표하였다.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설비 및 운영의 기준은 유치원과 보육소의 기준보다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유치원과 보육소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보육, 교육내용의 경우, 초등학교 교육의 준비단계로서의 교육적인 면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0-5세의 영유아가 하루생활의 대부분을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에서 생활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양호적인 측면의 내용이 한층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in Prepar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2호
    • /
    • pp.143-1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부터 적용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지난 3년간의 현장적용 실태를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두 과목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통합과학의 경우 현장적용 3년차를 맞이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6~8단위로 편성·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급당 통합과학 담당 교사는 3개년도 평균 2~3명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학기당 1단위씩 총2개 학기로 편성·운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시수를 채우기 위해 여러 명의 과학교사가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에서 과학교사들은 향후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한 규모로 통합과학을 축소하고,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공통과목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을 학기단위 집중이수가 가능하도록 통합과학을 빅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방안, 선택과목 수강을 안내할 수 있는 기본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과 공통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공통과목을 통한 선택과목 안내 및 진로지도의 필요성, 과학영역간 간학문적, 다학문적 통합·융합 과목을 지도를 위한 교사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인문고등학교 물리와 지구과학 통합 과정의 한 모형 (A method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 최병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6-30
    • /
    • 1980
  • In is a recent trend of the world to study the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This study aims at pursuing how to integrate physics and earthscience in high school course and forming a tentative plan as to an integrated process between both the subjects. The one was compared with the other accor ding to the basic concepts and theteaching objecties. The contents of these two subjects were analysed, the overlapping parts being chosen, and so in the hierachy of the curriculum, some mistakes were found in eaching these two two subjects. It proved vali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 A concrete scheme was offered to in tegrate these two subjects-physics and earthscience, when a tentative plan concerning, the integra ted process was made. This new plan can make the time required for teaching decrease by 5% The better study on the basic structure of the integrated concepts between these two subjects will go on further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train again the teachres concerned with this new subject and to put an emphasis on the elective course between physics and earthscience in the teacher's college curriculum.

  • PDF

실업계 고등학교의 통합교과 활용을 위한 컴퓨터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s for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Instruction in Industrial High School)

  • 김창수;김봉제;권오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19-36
    • /
    • 2001
  • The Government revised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plan because of rapid growth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ance of computer applicable fields and curriculum plan related intelligence information. In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seventh curriculum plan remodeled not only knowledge cultivation as cultured person but also new curriculum correspond to special character of industrial high schools. The revised main contents are organized practicable subjects considering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s, deleted duplicated subjects and also added practicable another contents of multimedia and telecommunication fields. In this paper, we study curriculum for integrated computer education of industri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seventh education plan. For this research, it is searched opening classes and completion models of special subjects related computer fields of industrial high schools in Busan, we propose completion model for each school year and new curriculum of industrial high schools. We also recommend another approach methods for training and election of teachers. Therefore, this research can apply to the basis research data for the future curriculum model related computer science of industrial high schools.

  • PDF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육 과정의 통합성 분석: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A Study on Integrity of the 2007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강운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46-6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to propose how to integrate content for improv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this, I analyzed the 2007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hich is the useful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contents.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useful tool to excavate the forms of structure or relationship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that arise through relationships or to explain the units composing the system. Whe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as examined from 3 points of view, it include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economical sustainability, and social sustainability. I used the 2007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and manual of curriculum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1)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energy efficiency have taken most important positions. 2) In case of economical sustainability pillar, sustainable production had been emphasized. 3) In the case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pillar, health improvement are considered significant. 4) The efforts of trying to approach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s an integrated curriculum is week. Integrated themes based on the results were developed. Five main themes were the energy and climate change, water resour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ustainable village and sustainable food production, sustainable city and sustainable production, sustainable tourism and biodiversity. I hope these could function as theme of integrated-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I propose joint researches on scope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