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Curriculum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5초

외국(外國)의 과학과(科學科) 교육과정(敎育課程)을 최근(最近) 동향(動向) 조사(調査) (A review on the recent trends of the science curricula in foreign countries)

  • 권치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4-73
    • /
    • 1984
  •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 in several countries in terms of its format, aims and objectives, contents and guidelines and discussed about therm. The curricula were collected from 9 countrie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5 states), Canada(4 Provinces), England, West Germany, France, Australia, Newzealand, Japan and the republic of China. Each country had her own characteristics of science curriculum, but there also common characteristics among several countries. First, the format of science curricula in eastern countrie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countries. The western countries had the curriculum format which included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cience education, philosophy and background, aims and objectives, contents,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eaching materials, guide of experiments, evaluation methods, and other concrete informations while eastern countries had the curriculum format which included only objectives, contents and guidelines. I think that the format of science curriculum in western countries is more recommendable than that of eastern countries. Second, the aims and objectives of science curricula in eastern countries focused on scientific knowledges and concepts, while those of countries emphasized scientific methods and attitudes. Third, the contents of science curricula were very similar regardless of eastern countries or western countries. In other words, all the countries in this study emphasized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at lower grade level and physical science at upper grade level. Especially the observation and concrete learning activities were suggested at lower grade level and logical reasoning was emphasized at upper grade level. I think that the integrated (topic-centered) science curriculum is more recommendable than our current non-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in lower grade levels. Finally, the guidelines of science curriculum in eastern countries did not suggest specific information about teaching contents, experimental method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methods, teaching and learning meterals, while those of western countries provided more specific information which teachers could utilize very effectively.

  • PDF

통합과학교육의 실태조사 (Survey on the statu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

  • 이학동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3-52
    • /
    • 1986
  • It is the purpose at thus survey to get hold at problems in teaching integrated science in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which were made out b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were not suitable for training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Fo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urvey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and program mentioned above need improvement as follows. (1)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set up with two part. One is the part tha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re trained and the other is the part that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re trained. (2) In-service training program should be set off into two kinds. One is the program tha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re trained and the other program that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re trained.

  • PDF

Service-Learning Projects with Local Non-Profit Organizations Integrated into a Visual Design Class

  • Kim, Eundeok;Lee, Yoon-Jung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5권2호
    • /
    • pp.53-63
    • /
    • 2017
  • The growing signific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 ha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preparing fashion students to become socially responsible professionals. In spite of numerous benefits of service-learn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has been rarely employed in the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contex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and models of service-learning and compare different type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second, to discuss service-learning projects that were adopted in a visual design class as examples that service-learning can be effectively integrated into the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share successful service-learning implementation with other educators to help with effective incorporation of the pedagogical program into the curriculum.

모듈형 시스템.반도체 설계 특성화 교육과정 (A Module Based Curriculum for System and Integrated Circuit Design)

  • 최규훈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1호
    • /
    • pp.84-91
    • /
    • 2000
  • 현대는 시스템화되고 융합화되어가는 시대이다.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과 모여 융합되고, 이들이 다시 커다란 형태의 시스템으로 융합되어 다시금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이 되곤 한다. 전자소자는 개별소자시대를 지나 소자들이 융합되어 시스템으로 통합되는가 하면 반도체집적화로 시스템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자공학 2년제 교육과정을 시대에 따라 시스템 및 반도체 설계 특성화의 방향으로 모듈화하고 학제간의 유기적인 융합을 고려하여 재구성하였다. 이 교육과정은 다학기제의 모듈화 모델로 개발하여 산학연계 현장교육 및 심화교육 등을 가능토록 개발하였다.

  • PDF

유아 영어의 통합적 교수요목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nglish language syllabus model for kindergarteners)

  • 정동빈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2호
    • /
    • pp.219-243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new English language model of an integrated syllabus for kindergarteners, in order to teach and learn English. An English syllabus is a tool for realizing the goals of a curriculum, in the planning of language teaching that is primarily concerned with content and method components. Thus appropriate syllabus design can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whole effectiveness of early English education, because it presents selection and grading of content and method for English textbooks.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syllabus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of kindergartens. Developing an English syllabus model for kindergarteners could suggest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teaching and writing adequate English textbooks for kindergarteners. The syllabus model integrate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using a proportional approach and focus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ers. This study presented an integrated English syllabus for kindergarteners at the ages of five, six, and seven.

  • PDF

21세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전략 탐색 (Exploration of Information Subject-centered Curriculum Integration Strategies for 21st Century Key Competencies Extension)

  • 허민;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53-261
    • /
    • 2014
  • 최근 교과 간 통합의 구심점으로 학습자의 핵심역량이 대두되고 있으며, 핵심역량 줌심의 교과 간 통합은 실용적 측면에서 과도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실제적 대처 방안이며, 교육과정 재구성과 공동 구성을 통해 풍부하고 실제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설문조사로 21세기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이루어진 조사 결과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정보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통합이 왜 필요하며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였다. 정보교과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와 방법, 내용, 평가 등에 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 초 중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정보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통합 전략을 제안한다.

개정 2022교육과정의 문제점 분석과 특성화고등학교 산학 일체형 도제학교의 적용 및 발전 방향 연구 (Analysis of Problems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nd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dustry-Academic 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 장은영;유형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333-342
    • /
    • 2024
  •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 과정이 전면 시행되는 2025학년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에 적용되는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도제교육 과정을 원활히 적용되게 하기 위한 교육 과정 제안을 통해 아직 교육 과정 편성 중인 학교와 기업에 도움을 주고자 교육 과정의 적용과 이해를 돕고 특히 특성화고등학교 학교 안의 학교인 도제교육 과정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단위 학교 학생 학부모 기업 교사의 도제교육에 대한 설문을 통해서 각 주체가 요구하는 사항을 중간 점검하고 더 발전적으로 일 학습 병행이 도제 학생들과 일반학생의 선취업 후 진학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일 학습 병행 제도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도제교육이 지속 발전하며 변화된 교육 과정 속에서 도제교육이 안착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는 향후 국가 수준 일 학습 병행에서 기초적인 연구로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통합과학 교사의 교육과정-수업-평가 실행 및 변화 조사 (Integrated Science Teachers' Implementation and Changes to Apply the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 박현주;김나형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429-437
    • /
    • 202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통합과학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 실행과 변화를 조사하였다. 17개 시도의 통합과학 담당교사 529명을 대상으로 과학과 핵심역량, 기능,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에 대한 실행, 그리고 교사의 수업 준비, 주제/교재, 교수학습, 평가에 대한 변화를 온라인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은 통합과학 수업에서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과 기능 중 자료수집 분석 및 해석, 의사소통에 대한 실행이 높았다. 교사들이 통합과학 수업에서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이며, 평가 방법은 선택형, 서술형 및 논술형, 보고서로 조사되었다.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이 10년 이상의 교사 집단보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반한 수업 실행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 교사들은 수업 준비는 교과서 외에 여러 가지 자료를 탐색하고 재구성하고, 주제와 교재 준비를 위해 여러 분야의 통합적인 개념을 적용하려는 노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과학 교사들이 과정중심평가를 수업에 적용하는 것은 소극적이지만, 수업 구현을 위한 수업 재구성, 학생 참여도 증가를 위한 방안 모색 등 수업 전반에 대해 노력과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교사 공동체를 기반으로 책임을 분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관심 또는 운영 단계별로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겠다. 이를 통해 교사의 업무 과중 해소, 그리고 평가의 질 관리, 과정과 결과의 공정성, 객관성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김동현;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64-17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of matter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analyzed feature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compared science curricula of Korea, USA, UK, Japan and Finlan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uthors find some features and important suggestions about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in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sequence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similar to that in the 6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feature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articul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s increased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total articulation would be increased. Second, the presenting sequence of atomic structure-first and laws about atom-later should be changed to laws about atomic-first and atomic structure-later. This presenting sequence is grounded by science curricula of other countries, history of 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science curriculum of Korea was required specific extended concept statement like science curricula of USA or UK. Also, Korean science curriculum could benchmark Finnish science curriculum if we want to develop some integrat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those in STS or STEAM program.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NOS) 분석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n Integrated Science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전영빈;이영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3호
    • /
    • pp.273-2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통합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NOS)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출판된 통합과학 교과서 5종 모두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개념적 틀로는 과학적 소양 기반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Lee, 2013)을 활용하였다. 4가지 영역의 과학의 본성(NOS)은 1. 과학지식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2. 과학적 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3. 과학적 사고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그리고 4.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작용의 본성(nature of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이다. 분석은 2명의 분석자가 수행하였으며, 두 분석자간의 신뢰도는 Cohen's kappa 계수 0.83 ~ 0.96으로 비교적 높은 신뢰도 값을 나타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는 과학의 본성(NOS) 4가지 측면 중에서 '과학탐구의 본성(nature of scientific inquiry)' 영역을 전반적으로 가장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통합과학 교과서 5개 출판사 전체 영역에서 '과학 탐구의 본성(범주 II)'의 분포가 평균 약 44 %로 나타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는 출판사에 상관없이 '과학탐구의 본성(범주 II)'을 가장 강조하고 있었지만, 그외 다른 측면의 과학의 본성(NOS) 부분은 출판사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통합과학 교과서들은 과학적 내용과 활동을 탐구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제시하면서 출판사별로 다소 다르게 과학의 본성(NOS)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에서 강조하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은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을 제외하고 모든 단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과학의 본성(NOS) 단원별 분석 결과가 대부분의 단원에서 전체 교과서 분석 결과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4. 환경과 에너지 단원에서만 범주 II의 '과학 탐구의 본성' 영역 다음으로 '과학-기술-사회와 상호작용하는 과학의 본성(STS)(범주 IV)'이 강조되고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 과학 교과서가 지난 교육과정에 비하여 비교적 다양하고 균형 있는 과학의 본성(NOS) 측면을 제시하고 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증진을 위하여 과학적 탐구를 강조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