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allation criteria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2초

폐기물 매립지 건설시 옥외 노출된 Geotextiles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The Durability of Geotextiles for Outdoor Exposu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Solid Waste Landfill)

  • 고재학;이재영;전한용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3
    • /
    • 2000
  • 현재 대부분 매립지의 건설에 있어서 천연 재료에 기초하여 토목합성섬유가 함께 이용되고 있으며 점차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토목합성 섬유 중에서도 Geotextile은 Geomembrane보호를 위한 보호재와 침출수 집수 및 배수 시설에서 배수재 및 집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Geotextile의 원료로 이용되는 폴리머는 매립지 건설 시 경우에 따라서 장기간 태양광에 노출될 수 있어 자외선에 의한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 설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고중량 Geotextile을 이용하여 옥외 노출에 의한 내구성 변화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부직포의 옥외 노출 실험 결과, 옥외 노출된 부직포의 인장강도는 18개월의 노출기간에 500g/$\textrm{m}^2$과 700g/$\textrm{m}^2$의 부직포는 초기 인장강도의 40%정도까지 인장강도가 감소하였으며, 1000g/$m^2$의 부직포는 동기간의 옥외노출에의 초기강도의 60%까지 인장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인장강도의 손실은 노출 초기에 수평면 누적 일사량이 약 1500MJ/$m^2$정도가 될 때까지 빠르게 감소하였다.

  • PDF

일본 PFI교도소에 있어서의 Private Security의 역할과 시사점 (A Study on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PFI Prisons in Japan)

  • 안성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34호
    • /
    • pp.185-207
    • /
    • 2013
  • 오늘날 국가는 사회안전유지 활동의 효율과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서 "전문화", "고도화", "선택과 집중"에 형사정책의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이로써 국가의 활동영역의 축소가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이에 따라 축소된 국가의 활동영역을 보완해야할 대체 역할자가 필요하게 되고, 대체 역할자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대체 역할자의 하나로 Private Security(이하 PS)가 있다. PS는 비공적인 조직 또는 개인이 종래에 공적기관에 독점되어 온 사회의 안전확보와 범죄예방 역할을 대체 담당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경비업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선진국에서 PS가 범죄예방에 큰 역할을 담당해 왔고 그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공(公)"에서 "사(私)"로, "관(官)"에서 "민(民)"으로 시큐리티 밸런스가 점점 전환되어 가고 있다. 위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사례로서 일본 PFI(Private Finance Initiative)교도소에 있어서의 PS의 역할을 들 수 있다. PFI교도소는 시설운영의 효율성 진작을 위해 민간의 노하우를 적극 활용함과 동시에 형벌권에 뒤따르는 행정책임을 국가가 보장하는 등의 철저한 "관민협동"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키츠렌가와 센터와 하리마 센터는 관민협동방식 PFI교도소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사업자 선정평가기준으로 위험부담과 관계된 제안, 지역과의 공생, 보안사고의 방지 및 사고발생시의 대응, 기존교도소의 운영업무 등의 항목이 중요시 된다. 이러한 사례는, 우리나라의 향후 PS의 역할 모색에 있어 그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 PDF

중.소규모 사업장의 국소배기장치 설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Additional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Exhaust Ventilation Systems a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 임성근;박두용;김원기;김수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exhaust ventilation systems(EVSs) an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Methods : For 50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 carried out evaluation of EVSs. We evaluated hoods with smoke tester and measurement of capture velocity. In addition, we used several indicators for performance evaluation designed in this study. Results : 1. Based on the smoke flow pattern and the criter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67.8% of hoods were rated 'good' level at smoke test whereas 26.3% were rated 'good' level at measurement of capture velocity. 2. 29.3% of hoods, of which ratio of measured actual air flow at hood(Qah) to required ideal exhaust air flow at hood(Qih) was 1 or more, were rated 'good' level. 3. The % of EVS, of which ratio of measured actual air flow at stack(Qast) to total required ideal exhaust air flow at hood(Qith) was 1 or more, was 29.0%. 4. For the ratio of measured Qast to existing air flow at fan(Qfan), only 5% of EVSs were 1 or more and 26.0% were 0.8 or more but less than 1.0. 5. For the ratio of measured Qast to total measured actual exhaust air flow at hood(Qath), 74.0% were 0.8 or more but less than 1.0. 6. The percentage of EVS, of which ratio of total measured Qath to existing Qfan was 0.8 or more, was 19.0%. 7. The percentage of EVS, of which ratio of total measured Qath to total required ideal exhaust Qith was 1 or more, was 26.0%. 8. For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indicators designed in this study, 29.0% were 0.8 or more. Conclusions : We found that few exhaust local ventilation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rated 'good' level and that most exhaust local ventilations had 'poor' design and installation. Therefore, relevant professional manpower and enterprises have to construct exhaust local ventilation where it is needed, and technical guidance and economic support are needed to improve 'poor' exhaust local ventilation after self-evaluation.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조성 과정과 실태 분석 -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Urban Park Nightscape based on the Design-Construction Process and Current Status - Focused on Yeouido Park -)

  • 김현근;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26
    • /
    • 2018
  • 빛은 인간 생활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인류가 인공적으로 빛을 다룰 수 있게 된 이래 조명은 도시의 야간문화와 경관을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야간 경관은 도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민들의 야간 활동이 늘어나면서 조명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지만, 정작 경관을 다루는 조경 분야의 계획 설계과정에서 조명계획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야간경관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공원의 계획 및 조성 과정과 제도적 측면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여의도공원을 대상으로 도면 분석과 현장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현재 도시공원의 야간경관과 관련한 실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원의 계획 설계 과정에서 조명계획은 설비 분야에 포함되어 개략적인 수준으로만 다루어져왔고, 이는 실제 공원의 단조로운 야간경관을 초래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원의 분석-계획-설계-시공-관리 과정에서 야간경관의 연출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둘째, 현재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기준은 한국산업규격(KS A 3011)의 수평조도 규정에 그치고 있어 야간경관 평가와 계획의 세부 기준 항목을 다양하게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성장하는 수목과 복합적인 자연생태계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야간경관 설계 및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공원의 공간별 특성에 맞는 세부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관련 기준이 필요하다.

미끄럼저항성능을 고려한 바닥재 시공법의 성능평가방안 (Value Analysis of Floor Covering Methods Considering the Skid Resistance Performance)

  • 윤차웅;설재남;서종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8-69
    • /
    • 2012
  • 현대사회는 대도시의 구조물 설계 시 협소한 공간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옥상 및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바닥재의 시공도 증가하고 있다. 바닥재의 미끄럼저항성능은 보행자 및 운전자의 안전성 및 쾌적성 관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성능임에도 불구하고, 바닥재의 미끄럼저항성능에 대한 뚜렷한 기준이 없어 개선이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해양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과 서울시의 서울형 보도포장 미끄럼 저항 기준에 기초하여 미끄럼저항성능의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세 가지의 우레탄 바닥재 시공법을 선정하여 실험적인 연구를 통해 각 바닥재의 미끄럼저항성능을 분석하고, 제시된 평가 방안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VE분석을 통해 세 가지 바닥재 시공법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미끄럼저항성능이 우수한 바닥재가 시공될 수 있도록 독려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평가방법에 따른 VE분석 결과, 미끄럼저항성능이 최대 4배 이상 향상되었던 파티클재료를 첨가한 공법이 83.86의 성능지수를 보임으로써 기타 비교안에 비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8{\times}1$ 다중코일 와전류탐촉자를 이용한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 단면형상검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Profile Technique for Steam Generator Tubes in Nuclear Power Plants Using $8{\times}1$ Multi-Array Eddy Current Probe)

  • 남민우;이희종;김철기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4-190
    • /
    • 2008
  •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와전류검사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와전류검사 기법중에서 보빈탐촉자 기법은 전열관에 발생할 수 있는 축방향균열, 마모 검사에 적용하고 있으며, MRPC 기법은 튜브시트 상단 및 곡관부위 균열의 정밀검사에 적용된다.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설치공정 혹은 운전중에 전열관에 덴트(dent, 혹은 ding) 및 벌지(bulg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와전류검사에서 이러한 지시는 결함으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지시만 검사보고서에 기록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지시는 보빈탐촉자 기법으로 용이하게 검출이 가능하고 보빈단면형상검사에 의해 대략적인 크기의 측정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크기 및 형상은 알 수는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면형상검사의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8{\times}1$ 다중코일 탐촉자를 설계 개발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한편, OPR-1000형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튜브시트 확관 천이영역에 형성된 덴트부위에 균열성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부 발전소에서는 예방차원의 슬리빙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리빙 대상 전열관 선정시 본 검사기법을 활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급수시설에 관한 환경위생확적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Envlronmcntal Sanitary Status of Water Supply System in Rural Area)

  • 박국환;김성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6-85
    • /
    • 1978
  • This survey was undertaken for the period seven month beginning January 15, 1977 and ending July 31, 1977 to detect the general sanitary status of the villages and the villagers and, at the same time, analyse quality of water sources with emphasis on a total of 1,256 households dividing into three different groups: such as, 280 households were selected as random sample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122 households from the area of the simplified water supply system and finally 854 household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cluded after quality of water sources had been analysed and conditions of the environmental sanitation had been reviewed: 1. 11.2%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that quantity of drinking water lacked to meet their demand while 30.6% of the villager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quantity of drinking water didn't meet their demand. 2. 30.8% of the.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responded that contaminating source located within 15 meters from the water source while 54.4% of the respondents from the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claimed the same. 3. It was found that water from all sampling areas were positive in coliform group with exception of Moonsan which is one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groups and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exceeded the government standard criteria of water quality in the area of the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4. In relation with time requirement to draw water in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76 respondents claimed it requires less than 15 minutes to draw water, 15.0% claimed 15 to 30 minutes and 9.0% claimed more than 30 minutes. 5. In relation with knowledge on sanitation of drinking water, 30.8% of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41.8% of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denied possible existence of germ in drinking water they drink, while 17.4%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the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and 50.2% of non-peped water supply system thought it safe to drink water without any treatment. 6. 60.0% of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many of them believed that their health status will be improved by installation of a sophisticated water supply system in their area. 7. The respondents from the areas of piped water supply sytem expressed greater concern over drinking water sanitation than those from the areas of non-piped water supply system and sanitary conditions were found the same. It was, therefore, proved that knowledge of environmnntal sanitation contributed a great deal to improve sanitary conditions of the villages and villagers and at the same time health education, especially environmental sanitation, will be played a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ir sanitary conditions.

  • PDF

카스토퍼 설치위치를 고려한 주차단위구획 산정 및 개선방안 제시 (Suggestion of Improving and Estimating Parking Space Section Considering Proper Position of Car-Stopper)

  • 권성대;박제진;이준영;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095-1104
    • /
    • 2013
  • 2011년 6월 기준으로 국내 자동차등록대수는 1,826만 대에 육박할 정도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대형 승용차 및 RV차량이 현재 설치된 주차장에 주차할 경우 차량훼손, 민원 발생 등 주차장 이용자의 통행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자장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카스토퍼는 주차사고 유발 및 주차문제를 더욱 더 증가시킴과 동시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에 적합한 주차단위구획 및 카스토퍼 설치위치 규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국내 외 차종별 구성비, 차종별 차폭 및 길이에 대한 현장조사와 카스토퍼가 설치된 주차단위구획 및 차종별 구성비 변화 사례 등을 선행 검토하였다. 또한, 차종별 제원 및 카스토퍼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주차단위구획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형 승용차의 여유폭이 기존보다 18 ~ 21mm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량의 앞내민길이가 주차단위구획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주차장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운전자 측면에서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주차계획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주차계획을 적용할 경우 주차장의 구조 및 설치기준 정립은 물론 더 나아가 주차장 관련사업의 비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로 노후도 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평가 기법의 개발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evaluating residual life of water pipes based on pipe deterioration evaluation results)

  • 박수완;김기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0호
    • /
    • pp.673-67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 상수도 기술진단에서 점수평가법으로 도출된 관망성능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잔존수명은 '모델에 의해 추정된 매설 후 최적교체시기까지 경과년수'를 의미하는 '내구연수'와 매설 후 경과년수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내구연수는 관망성능평가기준으로 제시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관망성능평가에 사용된 평가항목들과 노후도 점수를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추정을 위한 다중회귀모델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잔존수명의 산정에 필요한 내구연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축된 회귀모델에 독립변수로 사용된 노후도 점수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으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해당하는 값을 대입하였다. 개발된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방공기업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연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주차장 램프의 종단곡선 제원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Dimension of Vertical Curve Elements at Parking Lot Ramps)

  • 권성대;김윤미;홍정표;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07-616
    • /
    • 2015
  • 최근 설치되는 주차장은 한정된 지상공간 및 건축물의 대형화, 지하화로 인하여 옥상이나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주차장 램프의 경사를 17%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주차장 램프 진입시 램프의 종단경사가 다소 급한 경우에 자동차의 차체와 경사로 바닥이 부딪치는 현상을 경험하거나 또는 경사로 바닥이 손상된 흔적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차장 램프의 시 종점부에 대한 종단해석을 통하여 자동차 및 경사로 바닥과 접촉되지 않는 적정한 종단곡선의 제원을 제시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 및 동승자의 승차감과 안전성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불특정 다수가 많이 이용하는 대형 건축물 주차장 램프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주차장의 시점부 및 종점부에 대한 이론적 분석으로 상호 접촉여부를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주차장 램프의 종단곡선 제원 산정을 위한 종단곡선 해석과 제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종단곡선의 길이에 대한 분석 값과 일반식을 이용한 산정 값이 최소 0.4mm에서 최대 5mm이내의 차이로 적은 오차를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종단곡선을 적용할 경우 자동차 및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승차감 및 안전성 확보는 물론 주차장 램프의 종단 설치기준이 재정립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