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 Catalas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Polyphasic Assignment of a Highly Proteolytic Bacterium Isolated from a Spider to Serratia proteamaculans

  • Kwak, Jang-Yul;Lee, Dong-Hun;Park, Youn-Dong;Kim, Seung-Bum;Maeng, Jin-Soo;Oh, Hyun-Woo;Park, Ho-Yong;Bae, Kyung-So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537-1543
    • /
    • 2006
  • A bacterial strain named HY-3 that produces a highly active extracellular protease was isola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a spider, Nephila clavata. The bacterium was a Gram-negative, oxidase-negative, catalase-positive, nonhalophilic, nitrate-reducing, facultative anaerobe.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es demonstrated that the isolate was non-spare-forming, straight, rod-shaped, and motile by peritrichous flagella. The G+C content of the DNA was 57.0 mol%. The isoprenoid quinone type was ubiquinone with 8 isoprene units (Q-8).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redominant fatty acid and phospholipids profiles placed the isolate HY-3 in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Further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phylogenetic studies including determination of an almost complete 16S ribosomal DNA sequence suggested that the bacterium was closely related to the genus Serratia. DNA-DNA hybridiz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is extracellular protease-producing strain belongs to Serratia proteamaculans, which is also known far its association with insects.

한국 전통약주에서 제조 및 음용 과정 중 발생하는 곤충의 혼입 경로에 대한 판정 (Determination for Inflow Routes of Insects Caused by Manufacturing and Drinking Process in Korean Rice-wine)

  • 김승진;이정훈;최영환;김계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3-127
    • /
    • 2005
  • 열을 이용해 살균 처리를 하는 한국전통약주에서 고객불만으로 제기되고 있는 곤충의 혼입경로판정 실험법을 제시하기 위하석 Catalase (CAT) 활성을 이용한 실험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살균 온도와 시간에 따른 CAT 활성 변화와 실체현미경을 이용한 기포형성 변화를 indea로 나타내어, 50 $\mumoles/min/ml$ 이하의 CAT활성에서는 기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CAT활성 측정법이 민감도는 높지만 기포형성 변화 측정법이 간편하게 곤충의 혼입 경로를 판정할 수 있으며 그 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살균 후 30일간의 기포형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상온 처리 시료에서는 모든 곤충에서 기포생성 정도의 감소가 천천히 일어나는 반면에 파리와 벌은 열처리 조건 하에서는 기포생성 정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특히, 초파리의 경우에는 열처리 조건 하에서는 전혀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런한 견과는 기포형성 변화 측정법이 한국전 통약주의 제조 및 음용.과정 중 혼입되는 곤충의 혼입 경로 판정방법으로 사용되어 제조일 또는 소비자의 불한 발생일로부터 경과 시간에 따라 곤충의 혼입 판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발현한 곤충 항균펩티드, defensin의 정제 및 특성 조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Insect Antibacterial Peptide, Defensin, Express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강대욱;이준원;김보연;안종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83-489
    • /
    • 2002
  • S. cerevisiae에서 glucoamylase 유전자의 promoter와 signal sequence 그리고 MF$\alpha$1의 prosequence를 이용하여 합성 곤충 defensin를 발현하고 항균활성을 보유한 형태로 분비하는데 성공하였다. Defensin의 여러 생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열 안정성이 높아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하여도 항균활성을 온전히 유지하였으며 조사한 pH 영역, 2.0-12.0에서 항균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여러 단백질 분해효소를 처리하면 항균활성이 완전히 사라졌으나 전분질 분해효소, 섬유소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의 처리는 항균 활성에 전혀 영향이 없었다. 황산암모늄침전, SP-Sepharose column cormatography, RP-HPLC 등의 조작을 통해 defensin을 순수한 형태로 정제하였으며 Tricine-SDS-PAGE를 통해 분자량이 약 4.0 kDa임을 확인하였고 정제한 defensin은 항균활성을 보유하였다.

고온에서 배추좀나방 유충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Larval Fat Body of Plutella Xylostella Under High Temperature)

  • 김광호;이대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4-332
    • /
    • 2018
  • 곤충은 변온동물로 육지생태계에서 주로 서식하면서, 식물의 생체량 조절, 종다양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변온도는 변온동물인 곤충의 생리적 반응속도, 뿐만 아니라 생존과 분포를 결정하며, 기후변화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높은 온도에서 곤충의 적응성에 관련있는 유전자를 전사체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고온에서 사육된 배추좀나방 유충의 지방체로부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사체를 확보하였다. 대사중심인 지방체에서 구조단백질, 열충격단백질, 항산화단백질, 해독효소 들이 동정되었다. 이들 중에서 표피단백질(표피단백질, 키틴합성효소, 엑틴, 카이틴 합성), 스트레스관련단백질(시토크롬 P450), 열충격단백질, 한산화단백질은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glutathione S transferase 발현은 오히려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기후변화의 주요인인 온난화에 대한 해충의 생리적 대응과 온도적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Comparative proteomics of the mixotrophic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growing in different trophic modes

  • Shim, Jun-Bo;Klochkova, Tatyana A.;Han, Jong-Won;Kim, Gwang-Hoon;Yoo, Yeong-Du;Jeong, Hae-Jin
    • ALGAE
    • /
    • 제26권1호
    • /
    • pp.87-96
    • /
    • 2011
  • Protein profiles of a common mixotrophic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cans, growing autotrophically and mixotrophically (fed on the cryptophyte Rhodomonas salina) were compared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2-DE) to determine if they vary in different trophic modes. Approximately 2.3% of the detected protein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the different trophic modes. Twelve proteins observed only in the mixotrophic condition had lower pI value (<5) than the fifteen proteins observed only in the autotrophic condition (>5). When the internal amino acid sequences of five selected proteins differentially expressed between autotrophic and mixotrophic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time-of-flight (MALDI-TOF) mass spectrometry, two proteins that we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autotrophic condition showed homology to glyceraldehyde-3-phosphatase dehydrogenase (GAPDH) and a bacterial catalase. Three mixotrophy-specific proteins showed homology to certain hypothetical proteins from an insect and bacteria.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resence of certain gene groups that are switch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trophic mode of P. micans.

온도변화에 따른 담배나방 유충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 비교 분석 (Comparison of Gene Expression in Larval Fat Body of Helicoverpa assulta in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차욱현;김광호;이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65-175
    • /
    • 2018
  • 곤충은 넓은 범위의 온도영역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40^{\circ}C$가 넘는 고온이나 빙결온도 이하의 저온에서는 생존이 어렵다. 본 연구는 사육온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대사중심 조직인 지방체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기 위해,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담배나방을 저온 사육충 ($3{\sim}10^{\circ}C$), 고온 사육충 ($35^{\circ}C$)로 나누고 상온 사육충 ($25^{\circ}C$)을 대조구로 사용하여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발현을 보인 유전자는 표피단백질, ${\Delta}9$ 불포화효소,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이며, 저온에서 발현이 낮아진 유전자는 키틴 합성효소, catalase, UDP-당전이 효소이다. 고온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발현을 보인 유전자는 과산화물제거효소, metallothionein 2, phosphenolpyruvate carboxykinase, 트레할로스 운반단백질이었다. 고온에서 높고 저온에서 낮은 대조적 발현을 보인 유전자는 열충격단백질, glutathione peroxidase이었다. 이들 온도 특이적이거나 대조적 발현을 보이는 유전자는 기후변화에 관련한 특이마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