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ry tendenc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아동의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 측정을 위한 한국형 검사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cale for Measuring Children's Online Game Addiction Tendency)

  • 이철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9-38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온라인 게임 중독 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한국형 검사 척도를 과학적인 절차에 따라 개발하는 것이다. 3차례에 걸쳐 실시된 예비검사에서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 분석이 수행된 결과 30문항으로 구성된 본 검사척도가 결정되었다. 본 검사에서는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 실태 및 태도와 더불어 심리적 변인 4가지인 공격성 척도, 충동성 척도, 외로움 척도, 자기 통제력 척도를 포함하였고, 전국 초등학교 5, 6학년 2,584명의 학생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검사 결과에 대하여 문항 분석, 신뢰도 분석이 수행되었고, 탐색적 요인 분석과 준거 변인과의 상관 분석에 의해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표준화 절차를 통해 7개 하위요인, 30문항으로 구성된 최종 검사 척도와 중독 집단 분류 규준을 개발하였다.

  • PDF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Inquisitive Tendenc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 이재호;전상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15-62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교과서별로 탐구적 성향이 높은 분석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였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는 활동이었다. 교과서간 평가지수의 편차가 가장 큰 분석요소는 자료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과학캠프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 (The Present Oper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of Science Camp in Korea)

  • 김성원;이현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5-189
    • /
    • 1996
  •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hat it gives the first primacy to inquiry learning as lesson style from lecture or simple experiment in present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But in fact. inquiry learning is difficult due to space limit, lack of laboratory, instruments and program for inquiry learn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science camp which stimulates much interest in science to be activated by doing of scientific activities in out-of-door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operational status and educational effects of science camp in which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nd teachers found. The science camps held by Seoul YMCA Chong-Ro BR. and Dongdaemun BR., Bun-Dong middle school, and Cho-Sun IL BO and Inkel corp., were analyzed. The 284 students and 12 teachers who take part in science camps in Seoul YMCA Chong-Ro BR. and Bun-Dong middle school, and 197 students who attending in 6 schools in seoul were questionaired. The 37 American students and 16 teachers in Pennsylvania, were also questionaired, Most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it useful regarding science-program which proceeded at science camps. And it was thought that science program had much relation to science class in school, especially science-camp made it help to arouse interests on science.

  • PDF

광주 지방 여학생의 초경 연령

  • 유숙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9-63
    • /
    • 1970
  • As a result of inquiry about menarche ag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enstruation, comparative menarche age by regina groups, and monthly occurrence rate of menarche among 1642 school girls in Kwangju district,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1. The menarche age of school girls in Kwangju district was 10-17, and the average age was 14.03$\pm$1.85. 2.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menarche occurrence by the present age. we got a fact that 58.67% had menarche at 13 to 15-year-old school girls. So the tendency is that menarche occurs sooner by degrees. 3. As a result of inquiry about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menarche by the present age, 54.54% have not had menarche among 15-year-old school girls. There is one person who have not had it at 18, and none that have not had it at over 19. 4. The menarche age by regional groups shows that menarche occurs at 13.85 in the city and at 14.27 in the country: those inhabited in the city have menarche sooner than those in the country. 5. Monthly rate of menarche occurrence shows that August in the largest number, December the second, January the third, and so on.

  • PDF

표면차수벽 석괴댐의 물리탐사 경향 분석 (Aanalysis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ndency of C.F.R.D)

  • 김재홍;신동훈;임은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871-876
    • /
    • 2010
  • When surface Concrete Face Rock fill Dam constructs than existent center core type rock fill dam, it is much prevalent form in domestic these day by quality control of that is profitable and weather condition etc. of coreZone. C.F.R.D is less research about seismic survey(Refractional Seismic Prospectin, Resistivity Prospecting) of levee body than fill dam. Thus as C.F.R.D seismic survey is less, safety of that consist is short most development flue is high reason. That is not checking target of minuteness safety diagnosis and so on by short operation period. Wish to analyze inquiry incidental and difference with center core type dam and acquire C.F.R.D preservation administration upper necessary inquiry condition forward hereafter.

  • PDF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지질 답사 교육 문헌 분석 (Drawing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and Analyzing Field Geology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 정찬미;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5-481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내외에서 수행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이 지질학 참 탐구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 문헌 분석 연구다. 이를 위해 먼저 야외 지질학자의 실제 연구 방법 및 과학 교육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다섯 가지(관찰, 표상,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탐구 하위 요소를 추가하여 지질 답사 교육 분석 기준을 개발했다. 분석 대상 사례는 총 53건이었고, 분석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별 하위 요소 및 탐구 요소 전반이 나타나는 경향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관찰과 표상은 대부분의 사례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귀추적 추론, 공간적 사고, 통시적 사고 순으로 포함된 빈도수가 적었다. 관찰은 목적적 관찰 및 자유 관찰의 비율이 높았고, 표상에서는 시각화 언어화 유형과 자유 양식의 표상이 많이 나타났으며, 귀추적 추론에서는 가설 생성 단계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고 가설 내용은 지질형성 과정과 관련된 경우가 많았다. 공간적 사고에서는 자기 위치화 및 공간 배치 형태 인식 유형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통시적 사고에서는 층서 유형의 사고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3가지 이상의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는 전체 사례의 87%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참 과학 탐구로서 야외 지질 답사 교육의 활용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초등 과학 교과서의 교육과정 시기별 탐구 성향 비교 분석: Romey 분석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Inquiry Tendenc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sing Romey's Method)

  • 장명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6-18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에 대한 Romey의 참여지수를 보고한 선행 연구들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 과학 교과서의 탐구 성향의 변화 및 그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 지수(T)의 경우, 제3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는 극히 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지만(T>18),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2007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각각 권위적(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25)과 적절한 탐구 수준의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99)에 근접한다. 수시 개정 체제 이후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의 T값을 비교해보면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둘째, 그림 · 도표 지수(FD) 또한 교육과정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FD>2.75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FD=0.14). 특히 2015 개정 과학 교과서의 FD값은 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수준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타 교과 교과서의 FD값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이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활동 지수(A)의 경우, 제3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정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지만 모두 탐구하기에 알맞은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A=1.12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A=0.64).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과학 교과서의 A값은 타 교과 교과서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넷째, 과학 교과서의 질문 지수(Q)는 전술한 세 지수(T, FD 및 A)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교육과정 시기별 과학 교과서 구성 체계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학습(學習) 부진아(不振兒)의 과학(料學)에 대(對)한 태도(態度) 및 과학적(科學的) 태도(態度) 조사(調査) 연구(硏究) (An Investigation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e Underachievers)

  • 이범홍;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6-33
    • /
    • 1984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gener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of underachiever at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In this study, underachiever was defined as the one who is below the minimum acceptable performance level because of his/her deficiencies in prerequisites but who has the capability to reach the required mastery level in normal classroom.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underachiever, IQ test and achievement test in science which we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were used. The attitude test which was to measure the general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s of the underachiever was also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The tests were given to 250 1st 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one experimental school. Out of 250, 55 underachievers were identified. For the study, 55 underachievers with 57 normal students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ies between underachievers and normal students in both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wareness on science by underachievers was minimal compared to normal students. 2. Compared to normal students, there was a tendency by underachievers to think the influence of science on their real life is remote. 3. Underaschievers were less positive, less voluntary and were less persistent in science activities than normal students. 4. Underachievers were less interested in science than normal students. These findings showed u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attitude and achievement level. This suggests that fostering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behavior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level of underachievers.

  • PDF

구성주의적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능력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진규;임청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1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lesson using constructivist instruction. In this study, 108 students of sixth graders from four classes were intentionally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ungsan city, Kyungsangbukdo. Two classes of 54 students were used by the constructivist teaching program and the other two classes were handled by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wo teachers who have twenty years' careers guided the program prepared by researcher to the students and this examination was conducted for 8 weeks (total 20 class hours). In pretest and posttest, both groups were tested in the science inquiry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A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nalyzed the responses about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cience inquiry skills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p>.05). The ability of formulating problem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mparative group at 0.05 level. In pretest and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lassifying, formulating problem, interpreting data,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not significant on those. Second, we can fi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more positive effect on forming the desirable science-related attitudes than the comparative group(p<.05). Especially,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e attitudes about the science curriculum than the comparative group at 0.05 level Third, constructivist instruction has more affirmative tendency of the students' learning activity. Constructivist instruction generated much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science for the students, and this method prompted students' expression and discussion.

  • PDF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로봇 활용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Inquisitive Tendenc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with Robots' Unit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 이재호;전상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21-2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로봇 활용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로봇 활용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었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는 활동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