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atient servic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8초

보험진료체계 개편이 의료기관 종별 환자분포에 미친 영향 분석 -3차 의료기관, 종합병원, 병원, 의원을 중심으로- (Introducing the Insuranc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Its Impact on Patients Distribution of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 공방환;한동운;장원기;강선희;문옥륜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58
    • /
    • 1995
  • The Korean government achieved the universal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in July 1989, and concomitantly introduced a new measure of regulat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using medical care.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 government took the new health care delivery system. Firstly, there was ample room for improving the allocative efficiency in the use of medical facilities. And the second one was to constrain the dramatic increase of medical demand under health insurance. Thirdly,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o alleviate the patient crowdedness in big general hospitals, particularly tertiary hospitals. There are essentially two different ways to control the use of health care : one is to cut the demand for health care, and the other to regulate behaviors of providers through the use of incentives/disincentives, demand-side approach or supply-side approa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or not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s under health insurance scheme have been changed among medical facilities such as clinic,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tertiary hospital in comparison with those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particularly whether the patient crowdedness in tertiary hospitals has been alleviated or not.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insurance claim data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89 and July 1992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diagnosis of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and especially the fifteen most frequent diseases in ambulatory care and the seven most frequent diseases in hospitalizatio. In addition, the same analyses were made on the chang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specialty department. This was because the five departments, such as family medicine, ENT, eye, dermatology and rehabilitation, were exempted from applying the regulat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tertiary hospitals. The study revealed that a remarkable alleviation effect in the crowdness was noted for tertiary hospitals. This effect was most conspicuous for the most frequent mild diseases of both inpatient and outpatient care. For example, the fifteen most frequent OPD care at tertiary facilities have decreased as much as by 40%, of which 34% belonged to the cut in initial visits. Mean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used general hospitals and private practitioner's clinics have increased due to the shift of patients. The cases from the five special departments were also decreased, but not so much as other departments. A problem was noted that, as time passed by, the decreasing tendencies of crowdness at tertiary hospitals due to the regulated system became slightly smaller. Therefore, through complementary remedies are needed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 PDF

Impact of Changes in Medical Aid Status on Health Care Utilization

  • Kim, Woorim;Nam, Chung Mo;Lee, Sang Gyu;Park, Sohee;Kim, Tae Hyun;Park, Eun-Cheol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13-522
    • /
    • 2019
  • Background: South Korea operates a Medical Aid (MA) program targeting selected low-income individuals to ensure medical service delivery to the disadvantaged while enhancing self-sufficiency of work-capable beneficiaries. However, as reasons behind welfare exits are diverse and do not always infer poverty relief or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levels of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MA statu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2006 to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The impact of changes in annual MA status on health care utilization (yearly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patient visits, length of stay, and emergency department [ED] visi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model. Results: In 117,943 adult subjects aged 20 to 64, compared to the 'MA to MA' group, the 'MA to MA exit' group showed general decreases in utilization (outpatient visits: β=-3.93, p<0.0001; hospital admissions: relative risk [RR], 0.87; 95% confidence interval [CI], 0.83-0.91; length of stay: β=-3.64, p<0.0001; ED visits: RR, 0.83; 95% CI, 0.77-0.90). Similar patterns were found in the 'MA exit to MA exit' group (outpatient visits: β=-5.72, p<0.0001; admissions: RR, 0.91; 95% CI, 0.87-0.94; length of stay: β=-5.87; p<0.0001; ED visits: RR, 0.81; 95% CI, 0.75-0.88). Likewise, in 74,747 older adult subjects aged 65 or above, the 'MA to MA exit' group showed reduced levels of utilization (outpatient visits: β=-1.51; p=0.0020), as well as the 'MA exit to MA exit' group (admissions: RR, 0.92; 95% CI, 0.89-0.95; length of stay: β, -5.45; p<0.0001; ED visits: RR, 0.90; 95% CI, 0.83-0.97). Conclusion: MA exit was associated with general decreas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Utilization patterns of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receiving MA benefits should be monitored to promote the ideal use of health care services while preventing potential financial barriers present in accessing medical care.

입원의료의 타 지역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non-residential areal hospitals in Inpatient)

  • 김유미;강성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44-345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가 거주지가 아닌 타 지역에서 입원의료를 이용하는 요인을 규명하여 주민들의 의료 이용에 대한 지역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005년 환자조사 입원자료 523,782건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4년 의료기관평가 자료, 2005년 인구센서스, 2006년 보건의료자원실태조사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타 지역 입원의료 이용의 가장 큰 요인은 의료기관 소재지의 의료서비스 수준으로, 인구 10만 명당 의료기관평가 점수가 9.5점 이상인 지역이 9.5점 미만인 지역에 비해 타지역 입원의료 이용확률이 8.3배가 높았다. 반면 인구 10만 명당 병상수가 910병상 이상인 지역이 910병상미만인 지역에 비해 타지역 입원의료 이용확률이 2.0배 높았다. 정부는 지역주민의 의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의료공급량의 확충과 분배보다는 지역의료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

입원환자 낙상 발생 실태와 원인에 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 김철규;서문자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0-228
    • /
    • 200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38 fall incident reports in one tertiary hospital in Seoul from April 1st 1999 to September 30th 2001. The Fall Incident Report Form was originally developed based on that of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revised in 1995. And this was modified for this survey by the collaborating work of QI team including researcher and department of nursing service of this particular hospital. The contents of Fall Incident Form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 factors related to fall. types and places of fall. circumstances, nursing interventions. and outcome. Results: 1) The incidence rate of fall was 0.08% of total discharged patients and 0.081 per 1000 patient-day. This incidence rate is much lower than that of several hospitals in USA. This finding might result from the different incidence report system of each hospital. 2) The characteristics of fall-prone patient were found as follows. They were mostly over 60 years old, in alert mental status, ambulatory with some assistance, and dependent on ambulatory device. The types of diseases related high incidence rate were cerebrovascular disease(3.2), hypertension(1.6), cardiovascular disease(1.4), diabetes(1.3) and liver disease(0.6). 3) The majority of fall events usually occurred m bed. bedside(walking or standing) and bathroom in patient room. Usually they were up on their own when they fell. And there were more falls of elderly occurred during night time than day or evening. 4) 63.8% of fall events resulted in physical injuries such as fracture and usually the patients had diagnostic procedures and some treatment(ex. suture) which caused additional cost to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5) The found risk factors of fall were drugs(antihypertensive drug, diure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like too high bed height, long distance of bedside table and lamp switch, and slippery tile of bathroom floor.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every medical and nursing staff should be aware of the risk factors of patients in hospital, and should intervene more actively the preventive managements, specially for the elderly patients during nigh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ment of Fall Prevention Programs based on these results.

  • PDF

Decrease in Incidence of Febrile Seizure following Social Distancing Measures: A National Cohort Study in South Korea

  • Park, Kyu Hyun;Choe, Young June;Shim, Youngkyu;Eun, Baik-Lin;Byeon, Jung Hy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4-148
    • /
    • 2021
  • 목적: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비약물적 조치는 아동기 질병 발병률 감소를 포함하여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대하여 한국의 국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열성 경련 발병률과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이 연구는 한국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0-5세 사이의 아동에서 열성 경련 진단을 받은 모든 입원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2010-2019년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2020년 같은 기간동안 인구 100,000명 당 발병률을 추정하기 위해 월별 사례 수를 집계하였다. 결과: 2010-2019년 열성경련의 발병률은 1월 100,000명 당 116명에서 9월 101명 이었으나, 2020년 2월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열성 경련의 발병률은 1월 100,000명당 113명에서 9월 27명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2010-2019년에 비해 2020년 열성경련의 발병률 순 감소는 -38% 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열성 경련의 발병률 감소에 기여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한국인 턱관절장애 환자의 유병률과 진료 양태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양희영;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63-79
    • /
    • 2009
  •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이하 심평원)에서 전산화되어 관리되는 보험대상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인해 병원을 찾고 있는 환자의 유병률과 진료양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심평원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대상 환자 중 2003년, 2004년, 2005년의 3년에 걸친 환자 자료를 사용하여 턱관절장애 (K07.6)를 주상병으로 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하여 성별 및 연령별 진료인원, 지역별 진료인원, 요양기관종별 진료인원, 치료기간 및 진료건수, 진료과목별 진료건수와 평균치료기간, 진료과목별 1인당 소요비용, 원외처방 치료약제 약효분류코드(효능군)별 연간 투약일수, 외과적 수술 실시 횟수 등을 분석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TMD로 인해 병원을 찾는 평균 환자수는 전체인구의 0.15%이었으며, 3년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중 99.8%가 여자였고, 20대의 유병률이 가장 높고 연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년간의 변화추이를 볼 때 20대의 유병률은 감소하고 40대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16개 시도별 분포에서는 인구가 많은 서울, 경기 지역의 환자수가 많았고, 매년 전체 환자수가 증가하면서 각 지역별로 유사한 비율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부산과 대구에서는 감소세가 뚜렷하였고 울산, 경기, 전남의 증가세가 관찰되었다. 의료기관별로 내원한 환자 수는 치과를 포함한 일차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한 경우가 평균 56.8%로 전체의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TMD와 관련한 입원건수는 치과 입원(86.6%)이 의과전체(13.4%) 보다 훨씬 많았다. 외래내원건수에서는 치과가 전체 건수의 38.4%로서 가장 많았으며, 정형외과(28%), 이비인후과(13.6%)의 순서였다. 약물치료에서는 해열소염진통제가 가장 빈번하게 투여되었고 정신신경용제, 골격근이완제의 순서였다. 심평원의 자료는 TMD때문에 병원을 찾는 환자들의 역학적 특성과 진료양태에 대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진료실에서 정확한 진단과 표준화된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가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vate Insurance on Medical Expenditure)

  • 윤희숙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0권2호
    • /
    • pp.99-128
    • /
    • 2008
  • 민간보험은 공적보험과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민간보험은 소득계층에 따른 접근성 차이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 도덕적 해이로 인한 공적보험 재정악화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실증적 분석은 그간 이루어지지 못하여 정책적인 방향을 정립하는 데 장애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 민간보험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세대정보 등의 관련 정보를 종합하여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민간보험 가입률은 전 국민의 64%에 달하고 있으며,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에 민간보험 가입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공적보험의 보장성이 미흡한 상황에서 저소득층 역시 갑작스런 의료지출에 대비하고 있으며, 민간보험이 의료접근성의 계층화를 초래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민간보험 가입자는 평균적으로 미가입자에 비해 의료이용량이 높지 않았으며, Two-Part Model을 통해 다양한 변수를 통제했을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차이로 미루어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과 연관된 한시적인 성격일 것으로 추측되나, 현재로서는 민간보험 가입에 따른 도덕적 해이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의료보험 시범지역의 전국민 의료보험실시전후의 진료비증가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Source of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 for Medical Insurance Demonstration Area before(1982-1987) and after(1988-1990) National Health Insurance)

  • 차병준;박재용;감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21-237
    • /
    • 1992
  • The reasons for cost inflation in medical insurance expenditure are classified into demand pull inflation and cost push inflation. The former includes increase in the number of beneficiaries and utilization rate, while the latter includes increase in medical insurance fee and the charges per ca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ources of increases of expenditure in medical insurance demonstration area by the period of 1982-1987 which was earlier th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perio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1988-199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Medical expenditure in these areas increased by 9.4%(15.1%) annually between 1982 and 1990 on the basis of costant price(current price) and for this period, the yearly average increasing rate of expenses for outpatient care[10.5%(15.8%)] was higher than that of inpatient care [7.3%(12.6%)]. Medical expenditure increased by 6.3%(8.9%) annually between 1982 and 1987, the period of medical insurance demonstration, while it increased by 10.7%(18.9%) after implemen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1988-1990). Medical expenditure increased by 35.9%(45.9%) between 1982 and 1987. Of this increase, 115.2%(92.1%) wa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ies of utilization per beneficiary and 61.0%(68.1%) wa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harges per case, but the expenditure decreased by 76.2%(60.2%)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beneficiaries. Beteen 1988 and 1990, the perio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expenditure increased by 21.2%(41.4%). Of this increase, 87.5%(46.4%) wa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ies of utilization per beneficiary and 52.4%(73.4%) wa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harges per case, and of the increase in the charges per case, 69.6%(40.8%) wa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the days of visit per case. Medical expenses per person in these areas increased by 78.2%(89.0%) between 1982 and 1987. Of this increase, 76.6%(69.1%) was attributabl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ies of utilization per beneficiary and 23.4%(30.9%) wa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harges per case. For this period, demand-pull factor was the major cause of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and the expenses per treatment day was the major attributable factor in cost-push inflation. Betwee 1988 and 1990, medical expenditure per person increased by 31.2%(53.1%). Of this increase, 60.8%(37.2%) was attributable to the demand-pull factor and 39.2%(62.8%) wa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harges per case which was one of cost-push factors. In current price, the attributalbe rate of the charges per case which was one of cost-push factors was higher than that of utilization rate in the perio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s compared to the period of medical insurance demonstration. I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demand-pull factor led the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 between 1982 and 1987, the period of medical insurance medel trial, but after implemen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attributable rate of cost-push factor was increasing gradually. Thus we may conclude that for medical cost containment, it is requested to examine the new reimbursement method to control cost-push factor and service-intensity factor.

  • PDF

대구지역 한 중소병원의 교대제 근무에 의한 외래진료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outpatient-clinic practice by shift system at a hospital in Taegu)

  • 송정흡;김징균;하영애;예민해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4-59
    • /
    • 1994
  • 의료소비자인 환자들은 바쁜 일상생활 때문에 야간외래진료를 원하고 있다. 이것은 환자의 편의 측면 및 서비스 개선 차원에서 병원에서는 긍정적인 검토를 해야 하나 현재의 수가 체계와 환자의 수요 및 추가 인건비를 포함한 비용면을 고려할 때 실행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저자는 환자의 요구와 병원의 경제적인 면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교대제 근무에 의한 외래진료 제도를 개발해서 그 효과와 야간외래진료의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기초조사, 개입 및 효과분석으로 구성되다. 기초조사는 야간외래진료의 수요에 대한 기초조사, 병상, 의사, 직원 수에 대한 조사, 진료및 근무시간 조사, 94년 1월 시간별 환자수를 조사하고 개입(intervention)은 진료시간 변경, 시간대별 환자수를 고려한 각 부서별 근무시간 조정, 최소한 인원 증원이며 효과 분석은 시간대별 환자수, 각 부서별 시차제 근무 효과, 외래와 입원 환자수를 개입 연구 전후로 비교하고 7-8시, 18-20시의 환자수 분석, 교대제 근무에 의한 외래진료에 대해서 의사, 직원, 환자들의 의견을 설문 조사하였다. 교대제에 의한 외래진료의 진료시간은 오전반은 오전 7시에 출근하여 오후 3시까지 근무하고 오후반은 12시부터 20시까지 점심, 저녁 시간 없이 진료를 하는 제도이다. 실시 과는 내과, 일반외과, 정형외과, 산부인과이고 증원된 인원은 24명이고 진료지원 부서는 환자의 내원시간과 부서별 특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조정하였다. 이 제도 실시후 환자의 시간대별 분포는 비슷했으나 7-8시 18-20시의 환자 수가 약간 증가했다. 특히 야간 외래진료 시간대인 18-20시의 환자 수는 25-30명으로 1개과당 6-7명이었다. 환자수는 전년 대비 외래는 평균 13%, 입원은 10% 증가했다. 이 제도 실시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의사는 100% 직원은 94.6% 환자는 86.4% 찬성했고 장점은 여유시간 활용, 진료시간 연장, 환자의 분산및 대기시간 단축, 응급환자 신속 처리 등이었으며 단점은 인력 부족으로 일이 힘들다, 전과 불실시로 인한 문제, 진료의 연속성, 점심 저녁 시간이 없다, 회진 시간이 불규칙하다 라고 하였다. 현재까지는 야간에 외래진료를 이용하는 환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초과근무수당 및 인력 투입하는 야간외래진료 보다는 교대제 근무에 의한 외래진료가 효율적인 것 같다. 이 제도의 실시는 환자의 실 외래 진료 이용 시간을 5시간 30분 증가시켰다. 이 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과 실시가 필요하나 병원의 경제적인 여건 미비로 힘들다. 만약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전과 실시때문에 발생한 손실에 대한 한시적인 보조가 있다면 이 제도의 조기 정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의 이용현황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Palliative Care Units in Korea: 6 Month Results of 2009 Korean Terminal Cancer Patient Information System)

  • 신동욱;최진영;남병호;서원석;김효영;황은주;강진아;김소희;김양혁;박은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3호
    • /
    • pp.181-189
    • /
    • 2010
  • 목적: 최근 보건의료 정책 결정은 근거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는 추세에 있으며,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은 이러한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고에서는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의 개발과정 및 6개월 데이터로부터의 통계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의 입력항목은 실무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이벨로스 임상연구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2009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지정된 34개 암환자완화의료 기관에 2009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등록된 환자들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었다. 분석은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총 2,940명의 전국적으로 대표성 있는 데이터로부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평균연령은 $64.8{\pm}12.9$ 세였고, 56.6%가 남자였다. 폐암(18.0%)이 가장 많았다. 2인 이상의 의사에 의하여 말기진단을 받은 경우는 50.3% 였으며, 입원 당시 말기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환자는 69.7%였고, 거의 절반에 가까운 환자가 특별한 의뢰 없이 입원하였다. 평균 통증 및 최고 통증은 입원 1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사망 퇴원한 환자가 73.4%였으며, 집으로 퇴원하는 경우는 13.3%에 불과했다. 1회당 평균 입원일수는 $20.2{\pm}21.2$일이었으며, 중위값은 13일이었다. 결론: 말기암환자 정보시스템의 운영을 통하여 완화의료 기관 이용 환자 및 가족의 특성, 서비스 제공에 관한 현황 등에 관한 전국적으로 대표성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