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ve Elementary School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국민학교 과학내용의 분석과 발전적 모색 (An innovative investigation of science content in the elementary school)

  • 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32
    • /
    • 1988
  •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fic science content involved in 'the 5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four Kinds of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books. And innovative science content is investigated for children's living in the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informationized society. As results, biology is emphasized much more than other areas. Chemistry is less emphasized than other areas. The innovative science content should inchudethe S. T.S problems, the recent developments and the value or religious problems related to science.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innovative science contents.

  • PDF

광주광역시 빛고을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의 정서적 요인 비교를 통한 빛고을혁신학교의 개선점 도출 (Deduction of Improvements for Bitgoeul Innovation Schools through Comparison of Affective Factors between Bitgoeul Innovative Elementary Schools and Ordinary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강대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25-732
    • /
    • 2021
  •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빛고을혁신학교의 개선을 위해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 사이의 정서적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혁신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318명과 일반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435명이다. 분석 방법은 두 학교의 자아존중감, 반사회성, 불안, 스트레스 간 상관관계를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다른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의 정서적 변수들의 상관관계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둘째, 두 학교 모두 독립변수 반사회성, 불안,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종속변수 자아존중감은 낮아졌다. 셋째, 모든 변수에서 빛고을 혁신 초등학교와 일반 초등학교를 졸업한 예비 중학생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빛고을혁신학교의 확대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 분석 (Creativity Styl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 박신규;정원우;박영관;홍순천;박경미;김중욱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885-90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TTCT 도형 검사를 통해 초등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유형(style)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TTCT도형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Kim (2006)의 이론에 의해 창의성의 2가지 유형이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따른 창의성 유형 비율과 창의성 유형별 성에 따른 창의성 수준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TCT 도형 검사는 창의성 수준(level)뿐만 아니라 창의성 유형 즉 적응적 유형과 혁신적 유형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창의성 유형 비율을 보면 지역별, 학년별, 성별에 관계없이 적응적 유형이 혁신적 유형보다 많았다. 지역별의 경우 대도시일수록 적응적 유형이 많고 읍면지역일수록 혁신적 유형이 많았으며 학년일경우 6학년은 적응적 유형이 많았고 5학년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성별일 경우 여학생은 적응적 유형이 남학생은 혁신적 유형이 많았다. 적응적 유형일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혁신적 유형일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창의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개인의 강점과 제한점을 알고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3{\sim}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Developing an Innovativ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s)

  • 임채성;윤혜경;장명덕;임희준;신동훈;김미정;박헌우;이인선;권치순;이대형;김남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80-595
    • /
    • 2007
  • To respond to the announcement of the revised version of science curriculum early this year, it has been necessary to develop new science textbooks which can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achieve the goal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 system of new textbooks needs to embrace the concern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scientific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demand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o develop an innovative framework of science textbooks,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extbook analysis in Korea and analyzed science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We analyzed various way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conceptual knowledge, lead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rocess, enhancing scientific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in those science textbook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structures of textbooks, we focused on ways of increasing educational effects of visualized texts, leaners' interest, user-friendly procedure, scientific inquiry, effectiveness of hands-on activities, scientific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usage of workbook. Based on those aspects and analyses of textbooks, we attempted to propose a feasible framework of Grade $3{\sim}4$ Science textbook which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e educational changes and demands in the local and global society.

  • PDF

교육을 위한 BIM 적용 실험 연구 - 초등학교 설계를 중심으로 - (The Experiment of BIM application for Design Education - In the Elementary School Project -)

  • 김용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3-29
    • /
    • 2014
  • It is evident that the education of architecture is being trans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environmental, social, and financial challenges. BIM application for design education is innovative responses that are expected to provide the high ground for the AEC industry.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ntroduces that application of BIM for design education of students i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rough an actual experiment by elementary school project. The results by actual experiment elaborate the role of BIM in architectural education and its appropriate place in the curriculum. Also they state that increasingly complex nature of professional world that is reliant on design teams, joint development efforts, and more complex design projects makes obsolete the designer who is trained as solo artist engaging in competitive and individual pursuits.

Flipped Learning을 위해 제작한 과학 학습 동영상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사용한 시각화 구성 전략 탐색 - 지구 영역을 중심으로 - (Exploration of the Strategy in Constructing Visualization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aking Science Video Clip for Flipped Learning - Focusing on Earth Science -)

  • 고민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1-245
    • /
    • 2015
  • 과학 교육에서도 플립 러닝은 혁신적인 교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플립 러닝을 위해 제작한 동영상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시각화 구성 전략을 탐색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은 지구 영역의 과학수업을 위해 구체적 사례 선택하기 전략을 사용하여 거시적인 자연현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구체적 사례를 전달하기 위해 마커와 공간변환 요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나,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지으려는 노력이 부족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심상을 강화하기 위해 간단하게 도식화하거나 극단적인 사례를 제시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시각화 자료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중 표상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친숙한 사례나 비유 모델을 통하여 학생들의 경험과 긴밀히 연결지어 주어야 한다. 또 심상을 강화하기 위해 간단하게 도식화하기, 극단적 사례를 제시하여 새로운 상황 추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수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Music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 박정혜;이동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307-312
    • /
    • 2022
  • 4차 산업혁명과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혁신적인 변화에 발맞춰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교육 현장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그중 미래 교육에 적합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수설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실제 음악과 교육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현재 초등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적인 음악과 수업에서는 해당 차시에 목표로 하는 음악적 기능을 익히기에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인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수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각 단계별 주요 사항에 대해 제시하였으며, 개발 과정에서의 주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UCC 활용교육에 관한 학습자 태도 연구 - 초등학교 재량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User-Created Contents in Discretionary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 최수명;유영순;김태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1-31
    • /
    • 2011
  • UCC의 활용은 네티즌 상호간의 정보와 즐거움 공유라는 측면에서 급속한 양적 질적 확산추세에 있다. 그렇지만 학교에서 교육적 목적을 위한 UCC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사례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UCC 활용교육에 대한 인지적 태도와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UCC 활용교육의 교육적 가치, 제작과정의 용이성, 사회적 영향요인, 협동성, 재미, 컴퓨터 자기효능감, 집중력 등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설정하고, 초등학교 5,6학년 246명의 설문응답 결과를 토대로 모형의 타당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적 가치와 용이성 및 사회적 영향은 모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이성, 재미, 협동성 등 교육적 가치의 선행요인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이성의 선행요인으로 도입한 재미, 효능감, 집중력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판정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의 UCC 활용교육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 PDF

유치원과 초.중등학교 교과서 내 산림 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Education in K-10 School Level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Innovative Approach)

  • 이재영;전정일;주형선;곽정난;조경준;박효인;조찬희;박정순;황은실;류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13-26
    • /
    • 2010
  • As an effort to realize the results of last two years of study, this study had three distinguished purposes: 1) confirming whether some requests for corrections had been accepted or not 2) making a list of possible errors found in newly written textbooks and asking to fix them, and 3) classifying forest related contents identified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150 topics included in information material, so called Forest IQ 200. Among 94 errors associated trees, forest or forest education, only thirteen of them were found to be fixed according to the request made in previous study of 2008. Especially, most of the fixed errors were identified to be in natural and social science subject textbooks and nothing was found in art and language areas. Total of 1,320 forest related items were found in the textbooks at the level of kindergarten to 10th grade(freshman in highschool). Korean student was expect to have a chance to learn forest related items 1.64 times a week for 10 years(First to 10th grade). Analyzing 1,109 contents in terms of four topic areas of forest education, the forest culture area was found to have most content of 348 including painting and recreation.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make school forest education better, and publishing the forest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s was one of them.

  • PDF

초등교원의 교육적 경험이 교육과정 재구성인식 및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 조향미;신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406-414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원의 교육적 경험(교직 경력,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교육과정 연수참여 경험, 혁신학교 근무 경험)이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인식하고 실행하는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를 t-검증, 일원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원의 교육적 경험에 따라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행, 교과서 인식 및 의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 인식 및 실행, 교과서 인식 및 의존 등의 각 변인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과 교과서 의존에 교원의 교육적 경험이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다. 초등학생들의 의미 있는 성장과 발달을 위한 최선의 수업 방안을 찾아 실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교과서 의존도를 낮추고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전개해야 하며, 교원들은 폭넓은 교육적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함양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