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adoption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4초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기술 표준화 방법론 연구: 사물인터넷 무선 통신 기술 계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y Standardization Method Using Network Analysis: Focu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Layer of Internet of Things)

  • 김경외;정성도;황준석
    • 기술혁신연구
    • /
    • 제23권3호
    • /
    • pp.43-65
    • /
    • 2015
  • 기술 표준은 기술적 특성과 사양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합의로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모든 산업에 걸쳐 존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술의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기술 표준 연구(표준화 연구)는 기술 표준의 채택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 고유의 가치와 상호호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술 중심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데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기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기술 차별화 정도와 기업별 기술 선호도 함수를 두 단계 게임 이론 분석 방법에 반영하여 새로운 기술 중심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실증 사례로 사물인터넷의 무선 팬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해당 시장의 기술 구조 및 표준 관련 함의를 도출하였다.

건강 어플리케이션 비이용자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Non-users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Based on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 이용정;배범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5-154
    • /
    • 2017
  •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방해하는 요인을 혁신확산이론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의적 표집방법에 따라 비수용자(non-adopters)와 사용 중단자(rejecters)로 구성된 대학생을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44명으로 남학생 32명과 여학생 1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대적 유익성, 복잡성, 시험가능성 및 관찰가능성 등과 같은 속성은 건강 어플리케이션의 채택이나 지속적 이용을 방해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으나, 상대적 불이익과 적합성은 커다란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 어플리케이션이라는 혁신을 확산시키고 지속적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상대적 유익성이나 복잡성을 개선하기 보다는, 상대적 불이익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생활 적합성은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개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의 전환의도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Individual's Switching Intentions to Cloud Computing Service: Based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 신선진;박성욱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6-203
    • /
    • 2015
  • 클라우드 컴퓨팅은 지속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개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견주어, 본 연구의 목적은 어떤 이유로 기존 컴퓨팅 환경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전환을 하는 것인지, 또 어떤 요인들이 전환을 저해하는지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환이론을 연구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로 하여, 지각된 가치와 전환의도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특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전환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총 7개의 연구가설을 제안하였으며, 총 204개의 데이터를 SmartPLS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제안한 7개의 가설 중, 5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동기요인 중에서는 효율성과 경제성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해요인 중에서는 전환 비용과 보안우려가 전환의도의 선행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적 차원 혹은 조직관점에서 논의되어 온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개인 수준에서 접근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의 전환의도를 동기요인과 저해요인의 이요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를 갖고 있다.

브랜드앱(Branded App)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 모델(TAM)을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ntion to Use Branded App :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 장성현;이정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76
    • /
    • 2014
  • As the smart phone devices gain popularity, companies no longer consider mobile application marketing as an auxiliary marketing tactic. The branded mobile application (branded app) becomes an important part of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antecedents of the use intention of the branded app from the perspective of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takes a macro perspective in explaining the adoption process by incorporating a set of new, yet promising additional variables into the TAM model such as flow experience, benefits, innovation inclination, and customization feature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urvey research. A total of 270 response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s from 25 individuals were removed from the data set due to the insincere responses, leaving the final sample size of 245. Findings support all but one hypotheses of the study. Both perceived utilitarian benefits and customization features of the branded app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randed app. Also, the innovation inclination and perceived entertainment of branded app users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branded app.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bout the use of the branded app influenced positively the flow experience and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Also, the ease of use perceived by branded app use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However, the ease of use of branded ap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low experience among users. Moreover, the flow experience from the use of branded app users influenced positively the user's attitude toward branded app. Finally, the users' attitudes toward branded app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branded app.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academicians are provided.

기대주기 분석을 활용한 수요예측 연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사례를 중심으로 (An Study of Demand Forecasting Methodology Based on Hype Cycle: The Case Study on Hybrid Cars)

  • 전승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spc호
    • /
    • pp.1232-12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신제품 확산 모델 활용에 있어서 보다 적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객관적이고 신속한 활용을 가능하게 만들어줄 모형을 제안한다. 기대주기 모델과 소비자 수용 모델이라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서지분석학과 초기 시장의 규모만으로 최대 잠재 시장을 추정해냄으로써 대표적인 확산 모형인 배스 모형(Bass model)에 필요한 주요 모수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모형의 예측력을 하이브리드자동차 사례를 통해 분석한 결과, 모형의 예측결과는 여러 가지 객관적인 정보를 통해 추정한 잠재 시장과 유사한 규모를 성공적으로 예측해 내어 모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모형이 제공한 최대 잠재 시장은 다른 성장곡선모형에도 바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볼 때 제안된 모형은 서지분석학을 통한 기술 확산 예측과 유망기술 탐색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것이다.

  • PDF

신기술제품의 시장점유율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수요확산모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nt-based Model of Demand Diffusion for the Market Share of New Technology Product)

  • 원동규;임종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spc호
    • /
    • pp.1256-1284
    • /
    • 2011
  • 기존에 신기술제품 소비시장을 연구하기 위한 많은 모델이 있었으나, 소비자, 유통업자, 제조업자로 구성되는 가치사슬 단계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약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요자, 유통업자, 제조업자로 구성되는 다중행위자와 소비자선택이론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기술상품의 구매에 대한 수요확산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연구는 신기술상품 구매 시의 소비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자 컨조인트 분석을 적용하여 선호도 계수를 추정하였으며 행위자기반모형을 통해 신기술 채택 및 인센티브 제공 여부에 따른 소비행태를 시뮬레이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제품의 시장점유율은 재고수준에 따른 인센티브의 제공과 신기술제품의 상품적용에 따른 소비자층의 제품수용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스템에 대한 관광 소비자 수용의도 (Consumer Acceptance Intention on Block Chain Consensus Mechanismbased Payment System)

  • 곽재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7-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외국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결제시스템에 대한 소비자 수용의도를 규명하여 거래 편의성을 높이는 결제플랫폼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의 특성으로 보안성, 신뢰성, 기능성을 도출 했다. 도출된 특성을 토대로 제안된 모델의 구조적 검증을 통해 소비자들의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통합기술수용이론을 적용하여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인지된 혜택과 수용의도 간의 인과관계, 개인의 혁신성과 블록체인 인지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개인의 혁신성과 블록체인 기술 인지수준에 따른 수용의도 차이에서도 혁신성향이 강하고 전반적인 기술에 대한 인지상태가 높은 집단이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시된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더 많은 인과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블록체인 수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대되는 편익(성과기대), 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기반구조(촉진조건), 소비자 입장에서의 인지된 혜택(보안 및 신뢰, 기능성) 등 4가지 기제이다. 새로운 기술의 용이성(노력기대)과 기술을 도입할 때 주변 환경의 영향(사회적 영향)은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 도입 촉진을 위한 제도적⋅기술적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Institutional and Technical Improvement Measures to Facilitate the Use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 정재현;박상일;심형택;김유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54
    • /
    • 2024
  • Efforts to reduce on-site safety incidents have expanded, leading to active research in this domain. However, a systematic analysis to improve the utility of technology is lacking.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various institutional and technical improvement measures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over three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rt Safety Equipment Support Project." The results showed that financial constraint was the primary obstacle in the adoption of this innovation. Fostering a flexible environment in the utilization of management fees and financial support of projects was determined to aid in the extensiv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Ensuring cost efficiency and user-friendliness were principally necessary for technical enhancements in the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Technologies, such as VR/AR safety education, real-time location tracking, wearable devices, and innovation on streamlining safety-related work efficiency, had been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on-site safety. Operating a smart safety control center was expected to be beneficial in the systematic securing of data and reduction of safety blind spots. Effective methods had been suggested to overcome the barriers that hinder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This study facilitates in the technological improvements in this field.

기업내 조직 관성이 클라우드 컴퓨팅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Unveiling the Influence of Corporate Organizational Inertia on Cloud Computing Transition Intentions: An Empirical Inquiry)

  • 강재원;이상윤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37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tendency of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s to continue with their current processes despite having incentives for better Information Technology (IT) innovation or transition. In this context, the study argues that organizations may struggle with 'outsourcing inertia,' a well-known concept referring to an organization's deficient adaptability to environmental changes, particularly defined here as the organization's slow adaptation to changes in outsourcing levels. To verify this, the study analyzes how key variables identified from existing IT Outsourcing (ITO) decision-making research and recent studies on cloud computing transitions actually affect a firm's transition intentions. In the proces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firm's outsourcing inertia, utilizing the Technology-Organization-Environment (TOE) framework and the Push-Pull-Mooring (PPM) model based on migration theory to propose a research model.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finding strategic approaches necessary for facilitating IT innovation and transition by understanding the impact of outsourcing inertia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related to IT outsourcing.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majority of domestic conglomerates own IT subsidiari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cloud computing.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impact of IT subsidiaries on cloud computing transition is relatively scar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oposes that IT subsidiaries within domestic conglomerates can act as a significant mooring factor of organizational inertia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adopting cloud computing.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provide strategic insights for overcoming organizational inertia faced by IT subsidiaries during the cloud computing transition process.

Plant-Based Decellularization: A Novel Approach for Perfusion-Compatible Tissue Engineering Structures

  • Md Mehedee Hasan;Ashikur Rahman Swapon;Tazrin Islam Dipti;Yeong-Jin Choi;Hee-Gyeong Y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5호
    • /
    • pp.1003-1016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plant-based decellularization in regenerative medicine, a pivotal development in tissue engineering focusing on scaffold development, modification, and vascularization. Plant decellularization involves removing cellular components from plant structures, offering an eco-friendly and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scaffold materials. The use of plant-derived polymers is critical, presenting both benefits and challenges, notably in mechanical properties. Integration of plant vascular networks represents a significant bioengineering breakthrough, aligning with natural design principles. The paper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development protocols, scaffold fabrication considerations, and illustrative case studies showcasing plant-based decellularization applications. This technique is transformative, offering sustainable scaffold design solutions with readily available plant materials capable of forming perfusable structures. Ongoing research aims to refine protocols, assess long-term implications, and adapt the process for clinical use, indicating a path toward widespread adoption. Plant-based decellularization holds promise for regenerative medicine, bridging biological sciences with engineering through eco-friendly approaches. Future perspectives include protocol optimization, understanding long-term impacts, clinical scalability, addressing mechanical limitations, fostering collaboration, exploring new research areas, and enhancing education. Collectively, these efforts envision a regenerative future where nature and scientific innovation converge to create sustainable solutions, offering hope for generations to 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