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ection Attack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42초

NoSQL Injection 공격 방어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Protection System for NoSQL Injection Attack)

  • 정용환;조진오;길준민;최장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7-869
    • /
    • 2015
  •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양과 데이터 특성들로 인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빅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빅데이터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비정형 데이터 분산처리, 병렬 처리 등 특정한 영역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NoSQL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악의적인 SQL Injection 공격이 시스템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쿼리 언어를 사용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에서도 Injection 공격에 대한 취약점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NoSQL 데이터베이스가 비교적 최신 기술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Injection 공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NoSQL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대표적인 2가지 Injection 공격 방법을 소개하고, "NoSQL Injection Defender(NID)"라 명명한 Injection 공격 방어 시스템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BNP 멱승 알고리듬에 대한 물리적인 조합 공격 및 대응책 (A Physical Combined Attack and its Countermeasure on BNP Exponentiation Algorithm)

  • 김형동;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85-591
    • /
    • 2013
  • 최근 정보보호 장치를 이용하여 암호 알고리듬을 수행할 경우 부채널 공격과 오류 주입 공격을 결합한 물리적 조합 공격에 의해 비밀 키가 노출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RSA 암호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멱승 연산에 대해 한 번의 오류 주입과 전력 분석을 통해 조합 공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SPA(Simple Power Analysis)와 FA(Fault Attack)을 방어하기 위해 제안되었던 BNP(Boscher, Naciri, and Prouff) 멱승 알고리듬이 조합 공격에 취약함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오류 확산 기법에 기반하여 개인 키를 랜덤화시키는 대응 방안을 제안한다.

어지럼 발작 병력환자에서 성상신경절블록 후 다시 발생한 어지럼 발작 -증례 보고- (Meniere's Attack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강신영;김동연;정락경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232-234
    • /
    • 2005
  • Stellate ganglion block (SGB)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modalities for a broad range of disorders, including otolaryngologic indications such as Meniere's disease and sudden hearing loss. We present a case of a vertiginous attack following SGB for the management of Meniere's disease. A 31-year-old female, suffering from Meniere's disease, underwent repeated right side SGBs with 6 ml of 1% mepivacaine after negative aspiration tests for blood. The eleventh block was performed in the usual manner. Several seconds after injection, she showed agitation, anxiety, nystagmus, and left-sided tinnitus. Two minutes later, her tinnitus and nystagmus were resolved. Fifteen minutes after injection, she experienced acute onset of severe vertigo, nausea, and vomiting. However, her symptoms were gradually alleviated within two hours.

여과기법 보안효율을 높이기 위한 센서네트워크 클러스터링 방법 (Enhancing Method to make Cluster for Filtering-based Sensor Networks)

  • 김병희;조대호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141-145
    • /
    • 2008
  • Wireless sensor network (WSN) is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However, sensor nodes still have some secure problems to use them in the real applications. They are typically deployed on open, wide, and unattended environments. An adversary using these features can easily compromise the deployed sensor nodes and use compromised sensor nodes to inject fabricated data to the sensor network (false data injection attack). The injected fabricated data drains much energy of them and causes a false alarm. To detect and drop the injected fabricated data, a filtering-based security method and adaptive methods are proposed. The number of different partitions is important to make event report since they can make a correctness event report if the representative node does not receive message authentication codes made by the different partition keys. The proposed methods cannot guarantee the detection power since they do not consider the filtering scheme. We proposed clustering method for filtering-based secure methods. Our proposed method uses fuzzy system to enhance the detection power of a cluster.

  • PDF

악성코드 인젝션 사이트 탐지를 통한 방어효율 향상방안 (Enhanced Method for Preventing Malware by Detecting of Injection Site)

  • 백재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290-1295
    • /
    • 2016
  • 최근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이 급증하면서 인터넷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를 통한 사회 공학적 또는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방식으로 악성코드 유포 공격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 방어 초점은 최종 다운로드 사이트 및 유포 경로에 초점을 두어 진행되어 왔으나 공격 초기 악성코드를 주입하는 인젝션 사이트에 대한 특성 탐지 및 차단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 코드 다운로드 공격에 대한 방어메커니즘 향상을 목적으로, 악성코드 다운로드의 핵심 근원지인 인젝션 사이트를 탐지하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결과적으로 악성코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다운로드 공격의 최종 사이트를 탐지 및 차단하는 현재의 URL 블랙리스트 기법에 추가하여, 악성코드를 주입하는 인젝션 사이트를 탐지 특징을 추출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URL 블랙리스트 기반의 접근법과 비교하여 악성코드 감염률을 효율적으로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임을 보인다.

페이로드 임베딩 사전학습 기반의 웹 공격 분류 모델 (Web Attack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Payload Embedding Pre-Training)

  • 김연수;고영훈;엄익채;김경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669-677
    • /
    • 2020
  • 인터넷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웹을 이용한 공격이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어 기법들을 우회하기 위해 공격 패턴이 다양해졌다. 전통적인 웹 방화벽은 알져지지 않은 패턴의 공격을 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지능으로 비정상을 탐지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공격에 악용되는 스크립트나 쿼리가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유로 자연어 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시도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스크립트나 쿼리는 미등록 단어(Unknown word)가 다량 발생하기 때문에 자연어 처리와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BPE(Byte Pair Encoding)기법으로 웹 공격 페이로드에 자주 사용되는 토큰 집합을 추출하여 임베딩 벡터를 학습시키고, 주의 메커니즘 기반의 Bi-GRU 신경망으로 토큰의 순서와 중요도를 학습하여 웹 공격을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주요 웹 공격인 SQL 삽입 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명령 삽입 공격에 대하여 분류 평가 결과 약 0.9990의 정확도를 얻었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의 성능을 상회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Multi Label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approach for False Data Injection Attacks in Smart Grid

  • Prasanna Srinivasan, V;Balasubadra, K;Saravanan, K;Arjun, V.S;Malarkodi, 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6호
    • /
    • pp.2168-2187
    • /
    • 2021
  • The smart grid replaces the traditional power structure with information inventiveness that contributes to a new physical structure. In such a field, malicious information injection can potentially lead to extreme results. Incorrect, FDI attacks will never be identified by typical residual techniques for false data identification. Most of the work on the detection of FDI attacks is based on the linearized power system model DC and does not detect attacks from the AC model. Also,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current FDIA recognition approaches focus on FDIA, whilst significant injection location data cannot be achieved. Building on the continuous developments in deep learning, we propose a Deep Learning based Locational Detection technique to continuously recognize the specific areas of FDIA. In the development area solver gap happiness is a False Data Detector (FDD) that incorporate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he FDD is established enough to catch the fake information. As a multi-label classifier, the following CNN is utilized to evaluate the irregularity and cooccurrence dependency of power flow calculations due to the possible attacks. There are no earlier statistical assumptions in the architecture proposed, as they are "model-free." It is also "cost-accommodating" since it does not alter the current FDD framework and it is only several microseconds on a household computer during the identification procedure. We have shown that ANN-MLP, SVM-RBF, and CNN can conduct locational detection under different noise and attack circumstances through broad experience in IEEE 14, 30, 57, and 118 bus systems. Moreover, the multi-name classification method used successfully improves the precision of the present identification.

동적 DLL 삽입 기술을 이용한 화이트리스트 기반 접근통제 우회공격 대응 방안 연구 (A Countermeasure against a Whitelist-based Access Control Bypass Attack Using Dynamic DLL Injection Scheme)

  • 김대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380-388
    • /
    • 2022
  • 전통적인 악성코드 탐지 기술은 알려진 악성코드를 수집하고 특성을 분석한 후, 분석된 정보를 블랙리스트로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내의 프로그램들을 검사하여 악성코드 여부를 판별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알려진 악성코드의 탐지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알려지지 않았거나 기존 악성코드의 변종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 또한, 시스템 내의 모든 프로그램을 감시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악성코드의 주요 행위를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랜섬웨어는 사용자의 파일에 접근하여 암호화한다. 이러한 동작특성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사용자 파일에 접근하는 정상적인 프로그램들을 화이트리스트로 관리하고 파일 접근을 제어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정상 프로그램에 DLL(Dynamic-Link Library) 삽입 공격을 수행하여 악성 행위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화이트리스트 기반 접근통제 기술이 이러한 DLL 삽입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국어 악성 프롬프트 주입 공격을 통한 거대 언어 모델의 유해 표현 유도 (Inducing Harmful Speech in Large Language Models through Korean Malicious Prompt Injection Attacks)

  • 서지민;김진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1
    • /
    • 2024
  • 최근 거대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인공지능 챗봇이 출시되고 있다. 챗봇은 대화형 프롬프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빠르고 간편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질의응답, 글쓰기,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챗봇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프롬프트 주입 공격'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챗봇이 기입력된 지시사항을 위반하도록 하는 공격이다. 이와 같은 공격은 거대 언어 모델 내부의 기밀 정보를 유출하거나 또 다른 악성 행위를 유발할 수 있어서 치명적이다. 반면 이들에 대한 취약점 여부가 한국어 프롬프트를 대상으로는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챗봇인 ChatGPT를 대상으로 악성 한국어 프롬프트를 생성하여 공격을 수행해보고, 이들에 대한 실행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제안된 프롬프트 주입 공격 기법을 분석하여 악의적인 한국어 프롬프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유해 표현을 유도하는 악성 프롬프트를 중점적으로 생성하였고 이들이 실제 유효함을 보이도록 한다.

MS Windows에서 인젝션 공격 및 방어 기법 연구 (A Study on Injection Attacks and Defenses on Microsoft Windows)

  • 성호준;조창연;이호웅;조성제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23
    • /
    • 2020
  • 기업이나 기관의 데스크톱 및 엔터프라이즈 서버용 운영체제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가 많이 활용되고 있고 사이버 공격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는 다양한 보호 기술을 제공하고 주기적인 보안 패치를 통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DLL 인젝션(injection)이나 프로세스 인젝션 등의 공격 위협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indows 시스템에서 12가지 인젝션 공격 기법에 대해 분석하고, 4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인젝션 공격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인젝션 공격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에서 제공하는 인젝션 공격에 대한 완화 기술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실험 결과, 현재 응용 프로그램들이 여러 인젝션 공격에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인젝션 공격에 대한 완화 기법을 제시하고 효용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