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rared images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27초

하이퍼스펙트럼 영상을 이용한 가을무와 배추의 분류 (Classification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in Autumn Using Hyperspectral Image)

  • 박진기;박종화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1호
    • /
    • pp.91-97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between radish and Chinese cabbage in autumn using hyperspectral images. The hyperspectral images were acquired by 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CASI) with 1m spatial resolution and 48 bands covering the visible and near infrared portions of the solar spectrum from 370 to 1044 nm with a bandwidth of 14 nm. An object-based technique is used for classification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parameter values for image segmentation were scale 400, shape 0.1, color 0.9, compactness 0.5 and smoothness 0.5. As a result, the overall accuracy of classification was 90.7 % and the kappa coefficient was 0.71. The hyperspectral images can be used to classify other crops with higher accuracy than radish and Chines cabbage because of their similar characteristic and growth time.

MAXIMUM POWER ENTROPY METHOD FOR LOW CONTRAST IMAGES

  • CHAE JONG-CHUL;YUN HONG SIK
    • 천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1-201
    • /
    • 1994
  • We propose to use the entropy of power spectra defined in the frequency domain for the deconvolution of extended images. Spatial correlations requisite for extended sources may be insured by increasing the role of power entropy because the power is just a representation of spatial correlations in the frequency domain. We have derived a semi-analytical solution which is found to severely reduce computing time compared with other iteration schemes. Even though the solution is very similar to the well-known Wiener filter, the regularizingng term in the new expression is so insensitive to the noise characteristics as to assure a stable solution. Applications have been made to the IRAS $60{\mu}m\;and\;100{\mu}m$ images of the dark cloud B34 and the optical CCD image of a solar active region containing a circular sunspot and a small pore.

  • PDF

Frequency Domain Methods for Demosaicking of Single-Chip RGB/NIR Image Sensors

  • Jeong, Kil-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25-30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ffective demosaicking method for single chip RGB-NIR sensors to recover RGB and NIR images. As the method operates in the spatial frequency domain, the frequency domain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d CFA data are investigated. Using the luminance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chrominance signals are processed separately with different filters. The simulated images using the real images are compared with other state-of-art methods. As a result, the proposed demosaicking method resulted an effective calculation by a single processing which the existing alternating projection method requires repeated calculation.

Surface modification of graphene oxide by citric acid and its application as a heterogeneous nanocatalyst in organic condensation reaction

  • Maleki, Ali;Hajizadeh, Zoleikha;Abbasi, Hamid
    • Carbon letters
    • /
    • 제27권
    • /
    • pp.42-49
    • /
    • 2018
  • A citric acid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and the structure and morphology of the nanocatalyst were comprehensively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energy-dispersive X-ray analysis, X-ray diffraction patterns, atomic force microscopy imag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s,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application of this nanocatalyst was exemplified in an important condensation reaction to give imidazole derivatives in high yields and short reaction times at room temperature. The catalyst shows high catalytic activity and could be reused after simple work up and easy purification for at least six cycles without significant loss of activity, which indicates efficient immobilizing of citrate groups on the surface of graphene oxide sheets.

산불 발생 후 VHR 위성영상과 GIS 데이터를 이용한 산불 피해 지역 변화 탐지 (Wildfire-induced Change Detection Using Post-fire VHR Satellite Images and GIS Data)

  • 정민경;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3호
    • /
    • pp.1389-1403
    • /
    • 2021
  • 고해상도(Very High Resolution; VHR) 위성영상을 이용한 재난 피해 평가는 신속한 피해 정보 추출과 함께 세부적인 피해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VHR 위성의 낮은 영상 취득 주기로 인해 재난 발생 전 VHR 영상의 수급은 제한적이며, 재난 발생 후 영상만으로는 피해 지역과 미피해 지역의 정확한 식별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 발생 후 VHR 위성영상과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변화 탐지를 수행하였다. 산불 발생 전 VHR 영상을 대체하기 위한 GIS 데이터로는 토지피복도가 사용되었으며, 산불 발생 전 토지피복 현황에 대한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산불발생 전 NIR (near-infrared) 영상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변화 탐지 과정에서는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상관도 기반의 변화 탐지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superpixel 기반의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분석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VHR 영상의 디테일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제안 기법은 2019년 발생한 강원도 산불 지역에 대해 검증되었으며, 두 연구 지역에 대해 모두 98% 이상의 높은 전체 정확도와 0.97 이상의 높은 F1-score 값을 제시하였다.

연안 해양기상(해상풍, 수온) 관측을 위한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 (Development of Airborne Remote Sensing System for Monitoring Marine Meteorology (Sea Surface Wind and Temperature))

  • 김덕진;조양기;강기묵;김진우;김승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1호
    • /
    • pp.32-39
    • /
    • 2013
  • 인공위성은 넓은 지역에 대한 전 세계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용하지만, 좁은 지역에 대한 적시적소에 촬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원격탐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항공기 원격탐사시스템은 SAR센서와 열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획득된 자료의 방사 및 기사보정을 위하여 GPS, IMU, 온도/습도계 등도 설치하였다. SAR영상은 표면 거칠기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밝기 값이 달라지게 되며, 해양에서는 바람에 의해 쉽게 생성 되는 표면 장력파의 진폭이 이러한 표면 거칠기를 야기한다. 따라서 정량화된 SAR의 후방산란과 해상풍 사이의 관계식을 통해 해상풍 추출이 가능하다. 한편, 열적외선 센서는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며, 물체와 센서 사이의 대기에 의한 효과를 보정한 후 수온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두 센서를 탑재한 항공기로 서해안 일대를 4차례 시험비행을 수행하였으며, 이로부터 획득된 SAR 및 열적외선 영상의 품질이 연안환경 모니터링 및 해양기상 자료 추출에 충분함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중파장적외선 지표 복사율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Land Surface Emissivity (LSE) Distribution of Mid-wavelength Infrared (MWIR) over the Korean Peninsula)

  • 선종선;박욱;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23-434
    • /
    • 2016
  • 적외선을 이용한 지표 온도 추정 및 변화 탐지를 위해서는 해당 파장대역의 각 센서에 따른 지표 복사율 추정 및 배경값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위성 영상으로부터 한반도에서의 중파장적외선 복사율 산출방법에 대한 제안 및 토지피복 종류별 대표 복사율을 산출하여 한반도 배경값을 제시할 수 있다. 중파장적외선 복사율을 추정하기 위해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VIIRS)의 $3.74{\mu}m$ 파장 대역 밴드4 영상에 Temperature Independent Spectral Indices(TISI) 방법을 적용하여 복사율을 계산하였으며, 또한 이와 비교하기 위해 Advanced Spaceborne Thermal Emission Reflection Radiometer(ASTER) spectral library로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복사율도 계산하였다. 그 결과 활엽수립(0.958) 및 혼합림(0.955) 지역의 연평균 복사율이 가장 높았으며 농지(0.925) 및 자연식생(0.935) 지역보다는 약 2-3% 높게 나타났다. 도심지역의 경우 0.914로 가장 낮으며 연간 변화율이 1%인 다른 지역과는 달리 약 2%로 그 편차가 크다. ASTER spectral library와 비교한 결과 위성영상에서 추정한 중파장적외선 복사율은 동일한 토지 피복에 비해 약 2-3% 낮게 나타나는데, 이는 실제 지표면이 불균질한 점 외 기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파장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지표온도 추정 및 토지피복도의 계절 및 외부환경 변화에 의한 한반도 중파장적외선 복사율의 변화 특성을 이해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 SOURCE EXTRACTION METHOD FOR THE AKARI MID-IR FAINT SOURCE CATALOGUE

  • Nakamichi, Keichiro;Ishihara, Daisuke;Kaneda, Hidehiro;Oyabu, Shinki;Kondo, Toru;Amatsutsu, Tomoya;Sano, Hidetoshi;Onaka, Takashi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29-31
    • /
    • 2017
  • We plan to produce a faint source catalogue from the AKARI mid-infrared (IR) all-sky diffuse maps. In the publicly-available AKARI mid-IR point source catalogue (PSC), sources were extracted from single-scan images, and confirmed by using the other scan images. By stacking multiple scan images, we can detect fainter sources which are not listed in the PSC. We optimized the source extraction process using a $6^{\circ}{\times}6^{\circ}C$ area around the star-forming region, Cepheus B. Then, we divided the all-sky data into three seasonal images, and checked the positions and the fluxes of the detected sources on the images. As a result, our new source extraction method works well; 90% of the sources are also identified in the WISE catalogue. In this method, we obtain the detection limit twice deeper than that of the PSC. The number of sources increases by a factor of 2, as compared with the PSC.

Retrieval of satellite cloud drift winds with GMS-5 and inter comparison with radiosonde data over the Korea

  • Suh, Ae-Sook;Lee, Yong-Seob;Ryu, Seung-Ah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논문집 통권 3호 Proceedings of the 2000 KSRS Spring Meeting
    • /
    • pp.49-54
    • /
    • 2000
  • Conventional methods for measuring winds provide wind velocity observations over limited area and time period. The use of satellite imagery for measuring wind velocity overcomes some of these limitations by providing wide area and near condinuous coverage. And its accurate depiction is essential for operational weather forecasting and for initialization of NWP models. GMS-5 provides full disk images at hourly intervals. At four times each day - 0500, 1100, 1700, 2300 hours UTC-a series of three images is received, separated by thirty minutes, centered at the four times. The current wind system generates winds from sets of 3 infrared(IR) images, separated by an hour, four times a day. It also produces visible(VIS) and water vapor(WV) image-based winds from half-hourly imagery four times a day. The derivation of wind from satellite imagery involves the identification of suitable cloud targets. tracking the targets on sequential images, associating a pressure height with the derived wind vector, and quality control.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corporate imagery from other available spectral channels and examine the error characteristics of winds derived from these images.

  • PDF

1992년 5월 속초 근해 와동류의 구조 (Structure of a Warm Eddy off Sogcho in May 1992)

  • LEE Jae Chul;MIN Dug Hong;YU Hong Sun;LEE Hyong Sun;YANG Han Soeb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4-363
    • /
    • 1995
  • 1992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인공위성 적외선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속초 근해에 형성된 와동류의 시간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동년 5월에 그 구조를 관측하였다 와동류의 형성에는 두 가지 종류의 과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로 1월의 영상자료에 의하면 난류의 대량 공급으로 인하여 약 200km 크기의 와동류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에 약간의 변형과 냉각과정을 거쳐서 3월에는 난류의 좁은 필라멘트가 북쪽으로 침투하면서 어느 정도 냉각된 기존의 와동류를 포위함으로써 4-5월에는 반지모양의 와동류로 발달하는 두 번째의 형성과정이었다. 와동류의 내부에는 수온 $10.0-10.4^{\circ}C$의 균질 중층수가 최대 170m의 두께로 존재하였다. 속초 근처 동한난류의 축에서의 유속 약 80cm/sec를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의 와동류 내부에는 대체로 30-50cm/sec의 유속분포를 보였고 주수온약층 밑으로는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