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fant / Child Education

Search Result 34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 김양은;조복희;정민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8-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6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70명(2002년 183명, 2007년 8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Larsen & Juhasz, 1985), 2) 양육스트레스(김기현, 강희경, 1997)와 양육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와 신뢰도 검사,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결혼 후 첫 자녀를 임신 하는 시기는 빨라졌고,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출산 시 남편이 분만실에서 같이 출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산후조리는 친정이나 시댁에 의존하던 비율이 줄어들고, 산후조리원이나 고용인을 두고 조리를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반면, 남편의 육아에 대한 참여 수준은 2002년과 2007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은 2002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2002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난 5년간 의 영아모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여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향후의 변화추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통합교육활동이 발달지체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in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서용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98-4211
    • /
    • 2014
  • 연구의 목적은 일반 유치원에서 통합교육활동이 발달지체 아동의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소재하고 있는 특수학교 유치부에 재학 중이며, 모든 영역에서 발달이 지체되어 있는 아동 3명이다. 실험 방법은 발달지체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촬영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 아동들이 언어적, 인지적, 정서적 특성의 차이에 의한 사회적 기술을 학습으로 변화했고, 광범위한 교육 활동은 협력기술, 의사소통기술, 자기통제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감염병 지식, 건강통제소재, 자기효능감과 감염병 예방행위 실천의 관계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ractice of Disease Preven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주아련;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7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epidemic management measures and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n centers.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health control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relation to the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s among infant and toddler teach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volved 300 teachers from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23.0.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ir engagement in preventive behavior. Additionally, internal control among the health care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also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 of preventive behavior. Overall,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internal control measures, and self-efficacy were all foun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reventive behavio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health control materials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o focusing on improving infectious disease knowledge.

가정간호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Education Needs for Home Care Nurse)

  • 김조자;강규숙;백희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8-239
    • /
    • 1999
  • In 1990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started when legislation established certification for Home Care Nurs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posed a home care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352 class hours and 248 hours of 'family nursing and practice'. Though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offered in 11 home care educational institutes, there has been no formal revision for the home care education programs. Also a first and second home care demonstr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bu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outcomes for home care education as applied in home care practic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mportant content areas for home care nursing as perceived by home care nurses, and to identify their clinical competence in each of these areas, and from these to identify the education needs. The sample was 107 home care nurses who were working in home care demonstration hospitals and community-based institutions which have been offering home care services. Responses were received from 88 nurses, comprising a 82.2% return rate, and 86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instrument used was a modification of the instrument developed by Caie-Lawrence et(1995) and Moon's(1991) instrument on home care knowledge. The instrument's Cronbach's coefficient was 0.982. Among the respondents, 64% were working at home care demonstration hospitals and 36% were working at community-based institutions. Their home care experiences were from one month to six years, with a mean of 20.6 months. The importance rating for home care education content was 3.42 0.325, which means importance was rated relatively high. Technical aspects of home care were identified the most important. Five items 'education skill', 'counseling skill', 'interview skill', 'wound care skill', 'bed sore care skill' received 100% importance ratings. The competency rating was 2.87 0.367 and 'technical aspects of home care' was the highest, and 'application to home care skill' was the lowest. Home care nurses' education need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o the importance ratings and competency ratings. Eleven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highest in the importance areas and eleven items were in the lowest competency areas. High importance ratings matched with low competency ratings determined training needs, but there was no matching items in this study. In the lowest competency areas four items were excluded, because of not being applicable in current home care practice. Therefore total eighteen items were identified as home care education needs. These items are 'bed sore care skill', 'malpractice', 'wound care skill', 'general infection control', 'change and management of tracheostomy tubes', 'CVA patient care', 'Hospice care', 'pain management', 'urinary catheterization and management', 'L-tube insertion and managements', 'Respirator use and management skill', 'infant care', 'prevention to burnout', 'child assessment', 'CAPD', 'infant assessment', 'computer literacy', and 'psychiatry patient care'.

  • PDF

예비보육교사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 개발 리더십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ducare Teacher's Leadership Experiences about Educar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Communities)

  • 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75-300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교사 리더십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 영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수업에서 예비보육교사 41명을 대상으로 보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실시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술된 이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 이후 실시된 5명의 면담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의 경험은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애착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셋째, 자신의 교육철학과 역량에 대한 반성 넷째,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리더십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육과정 리더십 개발을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 (A Sense of Place of Kindergartens as Existential Space in which Children and Teachers Experience)

  • 권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치원이라는 공간을 실존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형성되는 장소성의 의미를 유아들의 놀이를 중심으로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들이 경험하게 되는 유치원의 모든 공간을 연구관찰 대상범위로 선택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 관찰과 비형식 면담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바깥놀이를 중심으로 동영상 촬영이 이루어 졌다. 연구결과 유아와 교사가 경험하는 실존적 공간으로서 유치원의 장소성은 경험과 관계속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놀이의 공동생산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교육과 생활이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 유아들의 경험한 유치원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공간, 소통에 의해 공유된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의 장소성은 유아들의 실존적인 경험과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위험집단의 Bayley영아발달 검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Performance of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in Infants with High Risk)

  • 민동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3-101
    • /
    • 2005
  • 조산 및 발달지연 등으로 발달장애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집단으로 진단된 132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산전, 출산시 변인 및 산후 발달지표 등이 Bayley영아발달검사(BSID)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인구통계학적, 출생전후의 관련정보 및 영아기의 발달특성을 알기 위해 영아발달 질문지와 병원 의무기록지를 사용하였고, Bayley영아발달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BSID의 인지발달지수(MDI), 동작발달지수(PDI)간의 상관 및 평균비교분석결과 산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MDI 및 PDI가 높게 나타났다. 산전(prenatal) 관련변인과 발달간의 관계분석시 산전 산모의 질환과 임신중 약물복용여부는 각각 MDI 및 PDI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출산시(perinatal) 관련변인에서는 저체중 출산, 인큐베이터, 산소호흡기의 사용 및 조산여부가 MDI 및 PDI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출산시 질환은 PDI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산후 발달지표 중 옹알이, 첫말의 발달은 BSID의 MDI 및 PDI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질환은 PDI와 부적 상관을 나타났다.

  • PDF

일개 지역 영아의 수면 및 포유양상에 관한 연구 (Sleep and Feeding Patterns in Infancy)

  • 김영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66-578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infant's sleep and feeding patterns for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tting up a preliminary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were 16 infants who were cared for in their house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NCASA developed by Barnard et al. from October 1st to December 3lth, 1999.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SPSSWIN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day sleep of the infant was 9.51 hours, night sleep was 6.27 hours, and total sleep was 15.84 hours.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 was 3.02 hours, and the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was 3.72 hours. The regularity of day sleep was 34.78%, night sleep was 61.72% and total was 43.76%. 2. The frequency of daytime feeding was 5.13 times, nighttime was 2.44 times and total was 7.38 times.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52.14%.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and feeding patterns, night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52, P<0.05),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73, P<0.001), feeding frequency(r=-.60, P<0.05), the regularity of feeding(r=-.70, P<0.001). The longest period of night slee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frequency (r=-.53, P<0.05). Feeding meth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frequency(r=.71, P<0.001), the regularity of feeding(r=.57, P<0.05). Day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sleep(r=.93, P<0.001), the regularity of total slee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ongest period of day sleep(r=.54, P<0.05), total sleep(r=.65, P<0.001).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eding method(r=.57, P<0.05), total feeding frequency(r=.50, P<0.05), the frequency of daytime feeding(r=.61, P<0.05). Feeding meth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feeding frequency(r=.71, P<0.001).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infants slept more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but after 3 months the pattern changed and showed that nighttime sleep was increased. Also the regularity of night sleep was increased with the infant's age. Total feeding frequency was decreased with the infant's age, and the regularity of feeding was increased in infants who slept shorter periods in the daytime than in the nighttime.

  • PDF

영아교사의 용기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urage of Infant & Toddler Teachers)

  • 황해익;강현미;탁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85-309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용기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간과되어 왔던 교사의 용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영아교사의 역할 수행과정에 있어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4인이며 2012년 6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주 동안 3~5회에 걸쳐 연구자와 연구참여자들이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영아교사의 용기는 신체적 손상과 죽음의 공포에도 용기 있는 행동을 하는 '몸을 불사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부모와 원장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원칙을 고수하며 자기반성을 통하여 양심과 원칙을 재구성하는 '양심과 원칙에 따르는 영아교사의 용기', 영아를 기르고 돌보는 과정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는'기르고 돌보는 영아교사의 용기'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영아교사가 영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용기의 특성을 규명하고 용기라는 덕목에 대한 의미부여 및 증진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양육스타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 서진영;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369-389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타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주관으로 구성된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누락된 응답문항이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13~18개월 영아와 26~39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1,637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수준에 따라 양육스타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출생순위가 첫째아인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보다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이하보다 301만원 이상일수록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양육지식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생순위가 첫째아이고 높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어머니 학력이 고졸이고 낮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다른 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