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양육스타일에 관한 연구

  • 서진영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Received : 2013.10.15
  • Accepted : 2013.12.2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knowled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arenting styl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ata from 'Panel Study Korean Children(2009).' Among the original data, a sample of 1,637 mothers with infants ranged from 13 to 18 months old was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s birth-order, mother's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ing style of mothers in their parenting knowledge. That is, the mother with a high score in parenting knowledge reported more positive parenting style. Lastl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ty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ith the variables such as child's birth-order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he mothers who cared for their first child and got a high score in parenting knowledge showed the most desirable parenting style, and the mothers whose educational level was under high school graduation and parenting knowledge score was low reported the lowest score in parenting style. These results suggest parenting knowledge should be subject-specifically provided as th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타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 주관으로 구성된 한국아동패널(2009)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누락된 응답문항이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13~18개월 영아와 26~39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1,637개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수준에 따라 양육스타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출생순위가 첫째아인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보다 전문대졸 이상일수록, 월 평균 가구 소득이 200만원 이하보다 301만원 이상일수록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지식 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양육지식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긍정적인 양육스타일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양육스타일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지식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출생순위가 첫째아이고 높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어머니 학력이 고졸이고 낮은 양육지식을 가진 경우 다른 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성, 전귀연(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1(12), 207-228.
  2. 김미숙, 문혁준(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8), 25-35.
  3. 김민정(2005). 영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실제 양육행동과 이상적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선애, 한유진(2009). 아버지의 양육수행,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7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55-64.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55
  5. 김양은, 조복희, 정민지(200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3(2), 68-85.
  6. 김원희(2002).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성취동기와 양육태도와의 관계. 숙명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은정(2004). 아버지의 양육생산성 및 양육지식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노미나, 권연희(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 대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8(4), 31-41.
  9. 류현강(2007).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질과 부적응 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수연(2005). 영아의 성 및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지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진영, 이주연(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3, 5-21.
  12. 안선희, 권희경, 박수경(2012). 남편의 양육협조 및 보육교사와의 협력과 주의 도움이 저소득층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육료 지원대상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16(4) 231-252.
  13. 양미선, 김양은(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14. 유우영, 이숙(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10), 65-78
  15. 윤형주 (2002).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윤형주, 조복희(200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 및 그 관계에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2), 59-88.
  17. 이경선(201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타일 관련 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7-145.
  18. 이경하, 서소정(2009).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3), 87-101.
  19. 이근영, 장유경, 임현정(2004). 영아모의 자녀 양육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학회지, 9(1), 45-63.
  20. 이석호, 이주연(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변인 연구: 양육행동의 하위 영별 비교. 한국보육학회지, 12(1), 111-130.
  21. 이선미, 장정미(2009). 임신기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지식의 관계성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251-273.
  22. 이선애(2009). 가족자원 및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4(1), 5-14.
  23. 이송은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수행 귀인 및 부모역할 인식과 그에 따른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숙(198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영환, 오미연(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9(3), 47-62.
  26. 이원영(1983). 어머니의 자녀 양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주연(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5), 35-48.
  28. 이주연, 이석호(2010). 영아기 및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정보 습득과 양육지식. 아동학회지, 31(4), 179-197.
  29. 이형민, 박서연, 서소정(2008). 어머니의 양육유형 및 민감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16(2), 97-111.
  30. 전주혜(2009).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전지혜(2007). 영아 발달수준에 대한 부모의 지식정확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정미라, 권정윤, 이민정(2009).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사회적 유능성 및 부모의 양육효능감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29(6), 359-378.
  33. 정옥분(2012). 영아발달. 서울: 학지사.
  34. 최아라(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애착이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최유리(2006). 어머니의 육아방식 및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12개월 이하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한국아동패널(2009). 육아정책연구소.
  37. 홍순옥, 김성혜(2008).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지식과 영아의 상호작용의 관계. 아동학회지, 29(6), 55-71.
  38. Baumrind, D. (1993). The average expectable environment is not good enough: A response to scare. Child Development, 64(5), 1299-1317. https://doi.org/10.2307/1131536
  39. Benasich, A. A., & Brooks-Gunn, J. (1996). Matern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rearing: Associations with family and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67(3), 1186-1205. https://doi.org/10.2307/1131887
  40.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O. M.,Painter, K., Galperin, C.,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https://doi.org/10.1177/016502549601900207
  41. Hess, C. R., & Teti, D. M., & Hussey-Gardner, B. (2004). Self-efficacy and parenting of high-risk infant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5(4), 423-437. https://doi.org/10.1016/j.appdev.2004.06.002
  42. Joseph, H., & Stevens, J. (1984).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s. Family Relations, 33(2), 237-224. https://doi.org/10.2307/583789
  43. Larsen, J., & Juhasz, A. (1986).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Adolescence, 21, 39-54.
  44. Macphee, D. (1981). Manu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45.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n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sity.

Cited by

  1.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vol.13, pp.1,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1.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