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ced spawning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Change of Various Characteristics between Spawning and Non-spawning Season i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Lim, Sun Young;Gil, Hyun Woo;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3호
    • /
    • pp.275-28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fatty acids and hormonal parameters in the spawning and non-spawning season between the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e measured triploids were produced by cold shock for 50 min at $4^{\circ}C$ in May 2014, the spawning season of diploid was in May, and the non-spawning season was designated in January. Estradiol and testosterone and gonadosomatic index of d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uced triploid in spawning season (P<0.05), and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were higher than non-spawning season. On the other h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and thyroxine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P<0.05). Erythrocyte count of diploid was higher than that of induced triploid in spawning season and non-spawning seasons. Mean corpuscular volume and mean corpuscular hemoglobin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both seasons (P<0.05). Percentages of total saturated fatty acids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induced tr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diploid in spawning season, but those of diploid were higher in non-spawning season (P<0.05). Percentages of total mono unsaturated fatty acids and total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f diploid were higher than those of induced triploids in spawning season, while those of induced triploid in non-spawning season were higher (P<0.05). Therefore, induced triploids in the spawning season tend to concentrate on growth and lipid-synthesization, whereas, diploids concentrate on reproduction and gonadal maturation rather than on growth. In non-spawning season, growth and lipid-synthesiz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ploid and induced triploid.

산란기간중의 붉바리 난질 변화 (Qualities of spawned eggs during the spawning period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e)

  • 이창규;허성범;박승;김병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63-472
    • /
    • 1997
  • 산란기간중 붉바리의 난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92, 1993, 1995년도에 채란한 알의 산란, 부화, 난경 및 먹이무공급 생존지수(SAI) 등을 조사하였다. 붉바리의 산란은 수온이 23-$28^\circC$인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산란기간중 알의 부상률, 수정률, 부화율은 산란 후반기보다는 대체로 전반기 및 중반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화자어의 SAI는 1.8-9.6으로 나타났는데, 개구시까지 자어의 생존율과 SAI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산란기간중 난경의 변화는 1992, 1993, 1995년 모두에 있어 산란 전반기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구경은 난경과는 달리 산란기간중 큰 변화가 없었다. 태반 성성숙자극 호르몬 주사에 의한 인공채란은 어체 1 kg 당 5,000 IU이상의 HCG를 주사함으로써 가능하였다. 인공채란한 알의 부상률, 수정률, 부화율은 자연채란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시에 대량의 수정난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자연산란된 알의 난질은 산란전기나 중기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나, 종묘생산을 위한 알은 이기간 동안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산란 성기중에도 난질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부화율, 기형률, 개구시까지의 생존율 및 SAI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특산종 자가사리 (Liobagrus mediadiposalis)의 산란행동 및 초기 생활사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ty of the Liobagrus mediadiposalis in the Korean Endemic Species)

  • 최낙현;서원일;김춘철;박충국;허승준;윤성민;한경호;이원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78-484
    • /
    • 2008
  • To elucidate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Liobagrus mediadiposalis, mature male and female fish were collected from a branch of the Seomjin River. Spawning was induced by injecting hormones, and then the spawning process and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s, larvae, and juveniles were observed. Observations of spawning behavior showed that the female established a territory and built a spawning nest, and frequently pressed on the upper ventral part of the male to release her eggs. When spawning was finished, the fish supplied fresh water to the egg mass using their pectoral and caudal fins. Hatching began 189 h 20 min after fertilization at $21.5-23.5^{\circ}C$ (mean $22.7^{\circ}C$). The mean total length (TL) of newly hatched larvae was 7.18-7.39 mm (mean 7.31 mm). Their mouth and anus were already open and they had 14+24=38 myotomes. Eighteen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were 12.71-13.79 mm (mean 13.27 mm) in TL and the yolk sac was absorbed completely. At 35 days after hatching, when all the fin-rays had formed, the juveniles were 15.84-17.92 mm (mean 16.33 mm) in TL.

충무근해산 한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Ino의 조기채묘 기술에 관한 연구 (TECHNICAL STUDY ON THE ARTIFICIAL PRECOCIOUS BREEDING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김용술;조창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8
    • /
    • 1976
  • 전복의 조기채묘기술개발을 위하여 전복의 생식소 조기성숙에 관여하는 요인과 채란성적을 생태적입장에서 조사검토하였다. 수온조절, 광주기조절, 단순사육등의 실험구 배치를 한 4개의 실내사육 수조와 해중에 수하한 축양용 대바구니를 사용하여 1975년 4월 24일부터 6월 23일까지 60일간 인공사육한 한전복과, 충무시 앞바다의 죽도에서 채포한 자연산 한전복을 모패로 사용하며, 동년 6월에 산란유발하여 그 채란성적을 비교 고찰하였다. 1. 한전복 생식소 성숙에 관여하는 생태적 요인은 수은보다 조도환경이라고 보아진다. 2. 낮의 최대 조도가 2,000lux이하의 어두운 수로에서 60일 이상 모패를 사육함으로써 좋은 성적으로 조기채묘가 가능했다.

  • PDF

수온 및 광주기 조절에 의한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산란 유도 (Induced Spawning of Striped Knife-Jaw, Oplegnathus fasciatus by Manipulating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 정관식;김석민;방인철;김성연;이원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1-149
    • /
    • 1998
  • 돌돔의 수정란을 조기에 생산하기 위하여 수온과 광주기 조절에 의한 산란을 유도하였다. 실험 I에서는 12월 15일 수온 14.5$^{\circ}C$에서 2월 22일 $21.0^{\circ}C$로 증가시키고 광주기도 10 : 30 L에서 2월 17일 15 : 30 L로 증가시킨 결과 65일 만에 산란이 시작되었으며 총 산란기간은 40일간 이었다. 총산란량은 3,004.4만개, 부상란 수는 2,454.2만개로 부상률은 85.6%이며, 평균 수정률은 77.2%였다. 실험 II에서는 수온만을 실험 I과 같이 상승시킨 결과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광주기를 15 ; 30 L로 조절한 지 7일만에 산란이 이루어졌으며, 총 산란기간은 40일, 총산란량은 2,128만개, 부상란수는 1,862만개, 평균 수정률은 72.1%였다.

  • PDF

기수재첩, Corbicula Japonica의 인공종묘생산 (Production of Artificial Seedling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eponica)

  • 김완기;이채성;이정용;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3-29
    • /
    • 2002
  • 기수재첩의 인공 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산란기 조사, 산란유발, 난 발생 및 유생의 발달 과정을 관찰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수재첩의 산란기는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가지이며, 주 산란기는 8월 초순부터 9월 중순으로 나타났다. 산란유발은 자외선 조사 자극과 생식소절개 방법으로는 반응이 전혀 없었다. 3$\textperthousand$ 해수의 온도 자극에서는 8월하순에 90.0%, 9월에 75.0%의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NH$_4$OH용액을 3$\textperthousand$ 해수에 첨가하는 자극은 1/1000∼3/1000 N에서 15∼45%의 반응률을 보였다. 기수재첩의 수정난은 직경 86${\pm}$3 um의 구형이다. 수정난의 발생은 23.0∼24.5$^{\circ}C$에서 2시간 후 4세포기로 되고, 15시간이 지나면 담륜자 유생 (trochophore larvae),수정 후 2일째에는 D상 유생, 9일째에는 각정기로 성장하였다. 수정 16일째에는 성숙 유생으로 성장하여 저서 생활을 시작하였다.

태반성 성선 자극 호르몬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처리에 의한 미꾸라지의 산란 유도 및 연중 다산란 유도를 위한 연구 (Induced and Multiple Spawnings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jection of the Loach, Misgurnus mizolepis (Teleostomi : Cobitidae))

  • 김동수;김종현;박인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5
    • /
    • 1992
  • 미꾸라지 양식시 기본 요건인 종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하여 호르몬 처리에 의한 산란 유도와 연중 다산란 유도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미꾸라지는 어체중 g당 $2\~10$ IU 농도의 태반성 성선자극 호르몬(HCG) 1회 주사로 $23.1\~100{\%}$ 산란이 유발되었으며, 특히 6 IU/g의 농도 이상에서는 모든 실험어가 산란하였다. 호르몬 주사 후 산란까지 대개 $13\~25$시간이 소요되었고 HCG농도 증가에 따른 수정율, 부화율 및 위생식소 숙도지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어체중 증가에 따라 포란수도 증가하여 어체중 g당 평균 약 $500\~600$의 난을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산란 유도를 위해 $25^{\circ}C$ 조건하에서 사육하면서 첫 산란 후 사육 일수에 따른 비만도, 간 숙도지수 및 생식소 숙도지수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재산란을 유도한 결과 미꾸라지 암컷은 최초 산란 후 40 일이 경과하면 양질의 난을 재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북방대합, Spisula sachalinensis의 산란유발 및 난발생 (Spawning Induction and Egg Development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 이정용;장영진;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7
    • /
    • 1996
  • 한해성 패류인 북방대합을 대상으로 자극방법별 산란유발 및 수온별 난발생 과정을 조사하였다. 모패에 대한 산란유발 자극은 $NH_4OH$ 첨가와 serotonin 주사가 효과적이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반응개시 시간에 있어서 $NH_4OH$ 첨가시 방란은 $3\~4$시간, 방정은 1시간 전후에 개시되어 암수간의 차이가 있었다. serotonin 주사는 암수 모두에서 5분 이내에 방란${\cdot}$방정을 유도하였다. 방출된 알의 수는 $NH_4OH$ 첨가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serotonin 주사에 의해 산란유발된 알의 GVBD율, 수정률 및 부화율은 $NH_4OH$ 첨가에 의한 알보다 높았다. 방출된 알은 평균 난경 $65.2{\pm}1.8\;{\mu}m$인 분리 침성란으로 GVBD 이전에도 수정이 가능하였으며, 적정 발생수온은 $15\~20^{\circ}C$였다. 초기 D상 유생까지는 $15^{\circ}C$에서 42시간, $20^{\circ}C$에서 27시간이 소요되었다.

  • PDF

Management of Sexual Maturation and Natural Spawning of Captive-Reared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in an Indoor Rearing Tank

  • Yang, Sang Geun;Ji, Seung Cheol;Lim, Sang Gu;Hur, Sang Woo;Jeong, Minhwan;Lee, Chi Hoon;Kim, Bong Seok;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16
  • This study describes results on sexual mat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pawned eggs to develop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healthy fertilized eggs from captive-reared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A total of 59 yellowtail kingfish were captu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after which the broodstock was cultured in indoor culture tank ($100m^3$) until they were 6.1-14.9 kg in body weight. As part of the rearing management for induced sex maturation,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maintained at 130 lux. The photoperiod (light/dark; L/D) was set to a 12 L/12 D from October 2013 to January 2014, and 15 L/9 D from February 2014 to June 2014. Feeds comprised mainly EP (Extruded Pellets), with squid cuttlefish added for improvement of egg quality, and was given from April to June 2014. The first spawning of yellowtail kingfish occurred in May 3, 2014, at a water temperature of $17.0^{\circ}C$. Spawning continued until June 12, 2014, with the water temperature set at $20.5^{\circ}C$. Time of spawning was 26 times at this period. The total number of eggs that spawned during the spawning period was $4,449{\times}10^3$. The buoyant rate of spawning eggs and fertilization rate of buoyant eggs during the spawned period were 76.1% and 100%, respectively. The diameters of the egg and oil globule were $1.388{\pm}0.041mm$ and $0.378{\pm}0.029mm$,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in early eggs than in those from late during the spawned period.

말백합,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의 산란유발 및 유생사육에 관한 연구 (Study on Spawning Induction and Larvae Breeding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Lamarck))

  • 김병학;문태석;박기열;조필규;김민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1-156
    • /
    • 2010
  • 본 연구는 말백합 산업화를 위하여 어미성숙 관리한 인위성숙개체군과 시기별로 어미를 수송 채란한 자연성숙개체군을 산란유발 방법 별로 산란을 유도하여, 수정율, 부화율, D형 유생 발생률을 조사하였고, 유생사육 방법별로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인위성숙개체군의 간출시간별로 산란 유도한 결과 간출 4시간 및 8시간이 반응률이 23% 및 32%로 비교적 높았고, 수온 상승별로는 $28^{\circ}C$ 이상 되어야 반응이 시작되었다. 간출 및 수온상승 병행 시험구에서는 간출 4시간 및 $28^{\circ}C$에서 반응률이 45% 이상으로 나타났고, 29, 30, $31^{\circ}C$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말백합 어미는 간출시간보다는 수온상승에 반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미수송개체군의 시기별 산란유발 결과는 2009년 8월 6일이 반응률 67.6%, D형 유생 발생률이 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생사육 시험 중 수온별로는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고려할 때 유생사육 적정수온은 $27-31^{\circ}C$, 최적수온은 $29^{\circ}C$로 나타났고, 염분은 25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수용밀도별로는 5 inds./mL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