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ized education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학과 학생들의 손씻기 교육 후 태도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about Nursing Student's Attitude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 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21-630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손씻기와 관련된 교재, PPT 자료 그리고 실습을 통해 교육한 후 대상자들의 손씻기에 대한 태도유형을 파악하여 간호교육 및 간호실습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2012년 10월 8일부터 10월 15일까지 간호학과 2학년 20명을 P표본으로 하여, 대상자들에게 Q표본을 9점 Q표본 분포도상에 강제분포하도록 하고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에 의한 주인자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손씻기 태도에 대한 유형은 3가지로 분류되었다. 3가지 유형은 아이겐값 1.0이상인 것으로 하였고, 유형별 변량은 40.41%, 10.14%, 그리고 6.11%로 전체 누적변량은 56.6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 1유형은 손씻기 횟수 증가형, 제 2유형은 손씻기 교육 필요성 인식형, 제 3유형은 손씻기 후 건조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손씻기 교육 후 태도에 대한 유형분류 의미는 간호교육과 간호실습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개별화된 중재 전략도 다르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탐색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Math and Math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 심영훈;김지현;권민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59-181
    • /
    • 2023
  • 본 연구는 초점 집단 면담(FGI)을 활용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을 도구로서 인공지능과 교과로서 인공지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교수 및 학습 도구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다양한 유형의 수학 수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의 면밀한 파악 및 학생들과 정서적 상호작용에 있어 인공지능 활용에 한계를 제시하였다. 도구로서 인공지능 중 수학 평가 도구로서의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문항 출제 및 채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던 반면, 논술형 문항 채점에서는 교사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교과로서 인공지능 측면에서 수학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도입 취지와 학습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였으나 이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준비와 교수 학습 및 평가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수학에서도 맞춤형 인공지능 학습 도구가 개발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평가를 도울 수 있는 인공지능 평가 도구를 개발 및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인공지능 수학> 교과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과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을 도울 수 있는 컨텐츠 위주로 교과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플립러닝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과학교육론 수업 적용 (The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Lecture for Pre-Service Teacher Using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Flipped Learning)

  • 전영주;윤마병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99-507
    • /
    • 2016
  • 예비과학교사 교육에서 강의식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들에게 적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을 시도했다. 플립러닝 교수-학습 원리를 일반적인 수업모형(ADDIE)에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했다. 개발된 플립러닝 학습 자료와 수업 설계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과 타당도 검사를 통해 CVR .75 이상으로 검증 받았다. 플립러닝 수업자료를 과학교육론 강좌에 적용하여 교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지만,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는 이전의 강의식 수업과 비교하여 30% 이상 떨어졌고, 학업 성취도 향상에 대한 자기 확신도 부족했다.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자-학생 간 의사소통과 개별화 수업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소인수 학급을 대상으로 해야하며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선행학습 동영상 자료의 접근성을 강화해야 한다.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 (Primary school teacher recognition for distance learning due to COVID-19 - Focusing on science classes -)

  • 강유진;정도준;박지훈;김지나;박종석;남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460-479
    • /
    • 2021
  • COVID-19 팬데믹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교육 시스템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다. 준비 없는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들로 볼 때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교육의 목표와 방법, 과학탐구활동을 포함한 비대면 수업에서 발생한 문제와 초등교사의 대응, 비대면 수업 경험 후 비대면수업의 장단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수업과 온라인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포함하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시행한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53명)와 포커스 인터뷰(9명)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3가지 결론과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비대면 방식에 따라 일방향 강의와 쌍방향 강의를 하였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조사나 토론 등 강의 외의 수업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에서 과학탐구활동의 어려움으로 현장 피드백의 어려움, 준비물 확보의 어려움, 안전 확보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개인 실험을 위한 실험 꾸러미와 실험 영상을 제공하고 온라인에서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협동적 논의와 피드백을 통해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비대면 수업의 장점으로 IT 기기를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이 가능하고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단점으로는 탐구활동이나 협동학습과 같은 대면 기반 수업이 어렵고, 학생의 이해 정도를 알 수 없어서 피드백이 어려우며,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어렵고, 학습 격차가 벌어진다고 인식하였다.

청년기환자의 입원생활에 따르는 긴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dolescent Patient′s Stress during Hospitalization)

  • 백영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2-79
    • /
    • 1976
  • Contemper nursing literature place much importance on human- centered and individualized care. Nursing research has related stress during hospitalization of adolescent patients to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isolation from friends, limitation due to illness, over protection of parents and communication with member of the medical team.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is study in the hope that an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responses to hospitalization, their perceptions, the kinds and levels of stres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 patient car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s related to the adolescents psychological stress experience during hospitalization, specifically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solation from the family, social or economic problems, illness and from the treatment environment and nursing care. An interview schedule adopted from Holmes and Rahe's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and selected items from Voicer's instrument on stress-producing events was used with 120 adolescent inpatients aged 13 to 18 years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during Aug. 10, to Sep. 30, 1975. 1. The sample consisted of 66 male and 54 female patients. Sixty-six percent were late adolescents, aged 16 to 18 years: 4% were early adolescents, aged 13 to 15 years. The primary cause for hospitalization was for orthopedic problems (35.8%). More than half of these (54.4%) were due to injury or accident. 2. Stress eclated to illness revealed the highest score (4.97), followed by stress related to treatment environment and nursing care (4.34) , isolation from family and social or economic problems (4.01)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3.96). 3. The perceived indifference of doctors and nurses was a serious cause of stress (mean=4.83). Fellow patients and visitors caused least stress (mean=2.06). 4. Discontinuation of education or unemployment were major stressful events (mean=4.71). Least stressful was isolation from the family (mean=3.47). 5. More than 94%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fears related to body image (mean=4.97) 6. Within the category of treatment environment and nursing care, items related to restrictions because of treatment, discomfort because of treatment, inadequate explanation from nurses about procedures were rated as severe stress events (mean=4.6). Items related to the ward environment and to having a relative stay with them were seen by the group as less serious events (mean=3.7). 7. Stres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female patients and those preferring passive activities. (P〈0.05) 8. Stress related to family problems was positively related to female and early adolescent patients (P< 0.05). Stress related to social problems was positively , elated to students and those preferring active pursuits (P< 0.05). 9.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the high stress related to disease and any of the characteristic items. (P> 0.05) 10. Stress related to treatment environment and nursing care was positively related of early adolescent and female and student patients. (P< 0.05) This group of hospitalized adolescents reported high level of stress related to treatment environment and nursing care, due to lack of consideration of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lanning of effective, individualized, comprehensive nursing care of adolescents during hospitalization.

  • PDF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상대적 간호업무효율성 분석 (Analysis of Relative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효영;이혜정;민아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7-6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nurs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by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provide a detailed method to improve the currently inefficient way in which nurses perform their jobs by differentiating the reference group of more efficient nurses,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e efficient group of nurses to those of the less efficient group of nurses. Methodology: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ve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nurses by applying DEA to 43 nurses in the NICU. The input variables for the efficiency analysis were working career (years), time spent in direct nursing care (hours), overtime (hours), and job-related training (hours); the output variables were the job performance scores of professional practice, research, leadership, and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IBM 23.0 and Open Source DEA (OSDEA). Findings: The relative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the 43 nurses was 0.933, and 20 nurses were evaluated as more efficient.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overall job performance efficiency by improving leadership, while controlling the current input variables. Lastly, the more efficient nurses had significantly higher job performance scores for research (t=2.028, p=0.049), leadership (t=2.036, p=0.048), and education (t=2995, p=0.005) than those who were less efficient. Practical 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job performance be evaluated using DEA to improve the overall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NICU nurses. The analysis results from DEA for nurses becomes evidence in support of establishing individualized goals for each nurse, thus resulting in a foundation for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nurses, and ultimately contributing to increase in the job performance efficiency of nurses.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Behavioral Intervention : An Updated Review

  • Park, Hae-Ah;Kim, Johanna Inhyang;Kim, Yeni;Park, Subin;Yang, Younghui;Lee, Youngsun;Lee, Hyojung;Kim, Soo Yeon;Kim, Bung-Ny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2호
    • /
    • pp.86-93
    • /
    • 2015
  •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marked by impaired social communication and repetitive, restricted behaviors and activities. The prevalence of ASD has been increasing for the past 2 decades, but evidence-based therapeutic approaches are lacking for patients with ASD. To date, there is no cure for the core symptoms of ASD, and the existing treatments focus on improving the patient's function and adaptation by using behavioral intervention methods. Behavioral interventions have been proven to show the greatest effect when applied before the age of 2 years, for at least 40-60 hours per week. Many clinicians and ASD families are unfamiliar with the treatment methods, and consequently, may seek unproven and potentially hazardous metho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present an extensive and updated review on evidence-based ASD behavioral interventions that are commonly used in clinical settings.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Health Beliefs and Lifestyle Issues Among Karen Refugees Resettled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Thai-Myanmar (Burma) Border

  • Kamimura, Akiko;Sin, Kai;Pye, Mu;Meng, Hsien-We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6호
    • /
    • pp.386-392
    • /
    • 2017
  • Objectives: Refugees resettled in the US may be at risk for cardiovascular disease (CVD).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CVD-related issues among Karen refugees who have migrated to the US from the Thai-Myanmar b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VD-related health beliefs and lifestyle issues among Karen refugees resettled in the US. Methods: Karen refugees resettled in the US from the Thai-Myanmar border (n=195) participated in a survey study on health beliefs related to CVD, salt intake, physical activity (PA), and smoking in the fall of 2016. Results: A high-salt diet, physical inactivity, and smoking were major lifestyle problems. Participants who adhered to a low-salt diet considered themselves to be susceptible to CVD. Most participants did not engage in regular PA. Regular PA was associated with less perceived susceptibility to CVD and greater perceived benefits of a healthy lifestyle for decreasing the likelihood of CVD. Conclusions: Each refugee population may require individualized strategies to promote PA and a healthy diet. Future studies should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are specifically designed for Karen refugees and evaluate such programs. In addition to health education programs on healthy lifestyle choices, tobacco cessation programs seem to be necessary for Karen refugees.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foster strategi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reventive care among this population by promoting free or reduced-fe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o further promote their health.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의 지원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upport Models for Children with ADHD as Special Education Subjects)

  • 강민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70-578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대상자로서 ADHD 아동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성과 교육적, 사회적 여건, 그리고 지원 주체와 전달 체계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지원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ADHD 아동의 적격성과 지원 요구 그리고 이에 대한 관련 전문가들의 인식과 기대를 확인하기 위해 FGI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이론적 근거와 실증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대상으로서 ADHD 아동에게 타당하고 적합한 지원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원 모형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선별과정을 거쳐서 진단 및 평가를 하고 특수교육 대상으로 지원이 필요한 경우 ADHD 아동의 요구에 맞는 개별화 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고 있다. 지원 방법에는 가족지원, 교육지원, 의료지원, 치료지원을 받을 수 있는 체계로 모형을 개발하였다.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육공학 콘텐츠 유형 탐색 (Types of Special Educational Technology Conten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권충훈;김훈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207-214
    • /
    • 2007
  • 특수교육공학은 특수교육과 교육공학을 결합한 용어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교수법의 진보 등으로 특수교육현장에 교육공학적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보조 공학적 측면으로, 교수법의 발달은 IEP의 개발 및 운영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교육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 유형을 탐색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교육공학이 일반교육현장과 특수교육현장에 적용될 때 그 주요 형태 및 기대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고 특수교육공학의 범주를 찾아 정리해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특수교육공학을 수업공학 측면 및 보조공학장치 측면에서의 콘텐츠 유형을 제시하는 것 등이다. 한국의 특수교육은 양적, 제도적 측면에서 큰 성과를 가져왔다. 이제는 질적, 개인적 측면에서의 성과를 내야 할 시점이다. 그런 측면에서 특수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현장감 높은 특수교육공학의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특수교육공학 발전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