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Preference

검색결과 509건 처리시간 0.024초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 (Scaling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to Cognize the Image of the City - Focusing on Seong-Nam-)

  • 변재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3-99
    • /
    • 2008
  • 성남시는 구 시가지와 신시가지의 입지 특성이나 경제 구조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도시의 이미지가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도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기간별로 도시 이미지의 인지 경향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INDSCAL을 이용하여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고 인지하는 경향에 대하여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INDSCAL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사전에 각종 통계적인 검증 절차를 실시하여 전반적인 경향의 차이를 입증해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성남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성남시 전체의 상징물은 남한산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율동공원과 분당공원, 서현역, 모란시장 등이 순서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부분적인 차이만 존재할 뿐, 선호 장소를 선택하는 경향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상징물과 선호 장소의 선택 경향에 대하여 개인차에 근거한 통계적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성별이나 연령별, 기간별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랜드마크를 더욱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3. 성남시 전체와 상징물 및 구 시가지, 신시가지에 대한 MDS를 통해, 성남시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특이한 포지셔닝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각각의 지역별 이미지는 해당 지역의 상징물과 유사하게 분포되는 특징이 있었다. 한편, 다른 도시와의 이미지 포지셔닝에서는 성남시 전체의 이미지가 구 시가지와 매우 흡사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신시가지의 이미지는 성남시 전체의 이미지와 매우 상반되어 나타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4. INDSCAL을 사용하여 개인별로 도시 이미지 평가 경향을 살펴본 결과, 남자와 여자는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의미나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두고 있었다. 즉, 남자의 경우 역사성에 강한 의미를 부여하는 반면, 여자의 경우는 선호성이나 규모성에 가중치를 두고 도시를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연령이나 지역, 기간별로는 도시 이미지를 평가하는 경향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으며, 강도에서만 부분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도시의 이미지 분석기법은 경관계획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개인차에 근거한 도시 이미지인지 경향의 파악은 향후 지속될 관련 연구의 조사항목 및 연구의 방향성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막연히 인정되어 왔던 개인차에 근거한 도시 이미지의 인지 경향 차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도시 이미지나 상징이라는 부분을 도시 계획과 설계에 직접 응용할 수 있도록 전환시키는 실용적인 도구를 마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노래를 통한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자서전적 기억 (Song-Induced Autobiographical Memory of Patients With Early Alzheimer's Dementia)

  • 한승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3권2호
    • /
    • pp.49-6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본인이 선곡한 노래 조건과 치료사가 선곡한 노래 조건에서 자서전적 기억 회상의 내용, 회상하는데 걸린 시간과 기분변화를 측정하여 자서전적 기억회상에 효과적인 노래조건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동안 각 피험자는 자신이 선곡한 친숙한 노래(M-AD)와 치료사가 선곡한 노래(M-MT) 조건에서 노래를 듣다가 자신이 직접 경험한 기억이 떠오르면 손을 들게 하였고, 노래가 끝나면 인출된 기억을 이야기하도록 하였다. 피험자가 이야기한 내용은 녹음 전사하였고, 기억의 주체성과 내용, 회상 시간과 기분 변화 등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M-AD 조건이 M-MT 조건에서 제공된 노래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가 높았으며, 회상한 기억과 노래의 밀접함의 정도가 높았다. 또한 구체적으로 기억을 회상할 수 있었으며, 회상하는 데 걸린 시간도 짧았다. 또한 실험 전후의 기분변화 폭이 컸으며, 회상한 기억과 기분의 관련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 본인이 선곡한 노래가 자서전적 기억을 회상하는 단서가 되어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기억을 촉진하며 회상시간이 단축됨을 보여주어 임상에서 초기 알츠하이머 환자의 자서전적 기억을 회상할 때, 본인이 선곡한 친숙한 노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대 남녀의 의복색상 선호에 관한 연구 -대구시내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ference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of Clothing Color -In the Taegu Areas-)

  • 은영자;박소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3호
    • /
    • pp.305-32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y is to forecast the tendency of clothing colors, to provide materials useful for making the color plan for a better costume, and suggest new information in the apparel industr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ggesting vogue colors of recent apparel, along with the 20 standard colors of Muncell to 350 men and women in their 20s residing in Taegu.. We analysed and compared their preferred colors in suits vidual factor ;age, sex, education ,skin color, and body shape, and additionally classifying their interest in clothing colors, cause for color selection , degree of interest in color of clothes, color satisfaction of apparel market, and color combination of clothing, color satisfaction of apparel market, and color combination of clothing. We compared these elements according to their age, sex,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both men and women in their 20s preferred warm colors the first colors mentioned being the most popular ; Pastels, Red, Blue and Black. They disliked dark and sordid colros in the order of Mauve, Khaki and Red. They preferred wearing Pastels and Yellow in the Spring, White, Blue, and Pastels were the favorites for summer, Beige in autumn, and black, Gray, and Beige in winter. The repugnated colors they chose two wear were Black, Red, Mauve, Khaki in spring and summer. Mauve, Red, Yellow were favorites for autumn, and Blue·White, Yellow·Green, and Pastels in winter. 2. The preferred colors for T-shirts were Yellow, Pastels, White in spring. White and Pastels were summer favorites, Beige an Red for autumn, and Black, Red, Beige in Winter. As for suits, the preferred colors in spring were in the order of Pastels, Beige and Yellow. The preferred colors of upper garments in summer were in the order of White and pastels. for lower summer garments Pastels, White and Blue were favorites. In autumn, Beige was shown to be highly preferred, and in winter, the order of preferred colors was Black, Gray and Beige. 3. On of those individual factors showing the greatest difference was sex. 4. Thos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mpact on the selection of clothing color were the season and their preference color. 5. The in vogue color of men in their 20s was at a higher level than hat of women. The groups that had an upper college level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hoices thant hose who were highschool graduates and technical college student and graduates. The consideration of inteterest in color of clothes, holding clothes during new purchasing, body shape and skin color was higher for women than men. In buying and wearing accessaries, women ten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harmony with the garment, and there w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school graduates and the groups above the level of college education.

  • PDF

유료요양원의 수요와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mand and Market Segmentation in Nursing Homes)

  • 이지전;김한중;조우현;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7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umers' demand pattern and the feature of the market for nursing homes, the number of which is tending upwards. The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 of 500 elderly people living in Seoul and Kyung-Ki provincial area. All respondents were 60 years of age and above.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pondents who are less aged, highly educated comparatively, and living with spouse show positive response for the use of nursing homes. The aged living independently and the aged living with unmarried children show higher demand for this facility. Also, the respondents who prefer independent living away from their childrenn, urban areas as their residence and flat-type housing show more interest for the facility. The respondents who are self- supportive, who has no financial supporter, no caretaker, and no domestic helper demonstrate strong inclination to the use of the facility. The respon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is kind of facility,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it show strong intention of moving into it. 2.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actors related to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the nursing homes. The group who wish to live separated from their children in the future give 1.78 times more favorable response than the opposite. The group who have an interest in the facility for elderly has 2.02 times higher intention of moving than the opposite. The group who have an intention of using the facility for elderly it is 7.34 times more likely to move into it. 3. The respondents who are the potential consumers for nursing homes can be subdivided. Within the positive group, it could be divided into the group of living independently with the preference of flat-type housing, the group living independently with the preference of separate housing, and the group wishing to live with their children. Within the negative group, the factor of the division is their concern to the facility. Following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old age people, who have been regarded as one homogeneous group so far, should be recognized as one characteristic individual.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demand aspect yet in its initial stage shold be researched in anticipation of rapid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diciding factors, the segmentation of potential market will help work out proper strategy, which will contribute to providers' benefit.

  • PDF

이질적 지하철승객 기반의 동적 출발시간선택모형 개발 (도심을 목적지로 하는 단일 지하철노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Dynamic Departure Time Choice Model based on Heterogeneous Transit Passengers)

  • 김현명;임용택;신동호;백승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9-13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망에서 각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과 승객을 동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동적 지하철차량 시뮬레이션 모형과 동적 지하철승객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통행자 기반의 동적 지하철 출발시간 선택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개별적인 통행자들의 행태를 이질적(Heterogeneous)으로 설정해 기존에 이용되던 통행자간의 동질성 가정을 완화하였다. 또한, 통행자들은 불완전한 정보와 제한적인 합리성을 가진다고 가정하여 보다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간단한 예제 가로망에 대해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행자들을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와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간에 출발시간선택에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출발시간선택과정에서 기종점에 관련된 특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이질적으로 가정한 경우 개별 통행자의 선호특성이 출발시간 선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행자들을 동질적으로 가정할 경우 출발시간 선택결과가 비현실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도 보였다. 또, 기존의 확률과정과 달리 선택 차원이나 선택 대안의 수가 많아질 경우 추가적인 고려가 있어야 학습과정을 보다 현실적으로 모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모형에서는 지하철 통행자의 동적 출발시간 선택과정을 묘사하기 위해 인지 및 의사결정과정으로서 추론과정과 귀납적인 선호형성과정을 학습모형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분석결과가 도출되도록 하였다. 각 승객들은 충분한 학습을 거친 뒤에도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선호의 영향을 받아 임의적으로 출발시간을 선택하는 문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는 기존의 전통적인 교통수요모형(이용자균형 통행배정모형 등)들에서 주로 이용되는 통행자의 완전한 정보, 합리성 및 동질성 가정 등에 따른 집계적인 수요추정결과가 실제로 나타나는 개별적인 통행행태와 다를 수도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 PDF

중등학교 기술 수업과 기술 교사에 대한 대학 신입생의 인식 (First-year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i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Classrooms and Teachers)

  • 권혁수;모주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7-57
    • /
    • 2014
  • 이 연구는 중 고등학교 기술교육 현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최근 중 고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직접 받았던 대학생들의 기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 참가자는 2013년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범대학생 10개 학과의 224명과 비 사범대학 9개 학과의 203명을 포함한 427명으로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중 고등학교에서의 기술수업과 교사에 대한 선호도, 기술수업에서의 학습경험, 기술교사에 대한 생각, 그리고 기술교육의 개선방향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 척도와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마친 후 개인 면담 연구 참가 중 희망자 22명 전원을 개별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와 주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과 최근 기술교육을 받은 대학 신입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경험은 수업 내용 또는 실습 내용으로 표현되고(54.4%), 부정적인 인식(29.1%)이 긍정적인 인식(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주로 수업 내용 외 수업방법과 그들의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기술교사에 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의 선호도를 보였고 교사의 수업 방법, 교사의 태도 또는 성격, 과목에 대한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기술수업에서의 수업방법은 강의식 수업(60.48%)이고 문제해결 또는 협동학습은 19.31%였다. 기술교육의 인식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가장 먼저 기술수업방법의 변화를 지적하였고, 학습 환경과 교육과정의 개선, 학습내용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술과 기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대중의 인식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도시지역주민의 식습관과 연관요인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Its Related Factors of Residents in Urban Area)

  • 남원계;임재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9-96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level of health food intake and use th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Policy and Health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help healthy dietary life. The interview was done by trained surveyors on 1, 143 city dwellers who were selected randomly from Oct. 2, to Oct. 21, 1992.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mong 1, 143 respondents, there were more female(53.8%) than males(46.2%) and the age group of 20-29 account for the hightest portion, 46.7%. As for the education levels, 45.3% of the subjects were college graduates. And 38.9% of the subjects were students. 2)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assess themselves ‘Healthy’ was 46.7% and ‘Not Healthy’ was 17.4%. 3) The subjects who have irregular meals(3 times a day) was 48.7%, the rate of females was higher than males. The proportion of unmarried subjects, people with low economic level, high education level, and students was high. 4) As for the amount of 1 meal, 72.4% was ‘moderate’, 16.3% was ‘too much’ amount, which was higher in 19 years old, single, low economic level, elementary school graduate, than other groups. 5) As for the eating speed, 40.2% was fast, which was higher in single(44.3%), in low economic level(50.0%). college graduate(44.9%), student(44.7%) than other groups. 6) As for the level of preference to hot and salty food, 25.7% preferred to have hot and salty foo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eference to hot and salty food by age and economic level was significant. 7) With regard to the individual food taste, the subjects who prefer to meat and fried food were 12.3%. Which was higher in the group under 19 years old, single, and college graduates. 8) With regard to having a snack, 38.7% have a snack. By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ho have a snack were higher in female, under 19 years old, single, high economic level, apartment dwellers, college graduate, and student than other groups. 9) As for the coffee intake amount per day, 39.8% of subjects was more than 3 cups daily. 10) With regard to the self-assessment of body weight, the subjects who assess themselves over body weight had late dinner time. 11) As for the correlation among related variables, the age and taking breakfast was positive correlation. And sex and drinking alcoh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hile age had negative correlation.

  • PDF

2006-2007 F/W 중국 대련시 여성 스트리트 패션 분석 (An Analysis of 2006-2007 F/W Women's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

  • 백정현;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2호
    • /
    • pp.59-7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style, color, and items of '06-07 F/W women's street fashion in Dalian.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uniqueness, ask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individual local area on the part of Korean fashion company desiring to launch into China fashion market. I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n northeastern area, thereby, affording a fundamental resources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in China. The period of investigation is about 15 weeks from 23 Sep. 2006 until 6 Jan. 2007, with combined use of camcorder and digital camera. The site was Victory Shopping Plaza, in center of City, also with Mycal, Ansung, Dasang department store situat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Zone. Finally, 900 photos were selected for analy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ferred clothing styles are jean casual 45.4%(409), sports casual 16.3%(147), character casual 8%(72), feminine 20.6%(185), Classic 9.7%(87). Compare to the former study about Spring, Sports casual showed dominant rate about 36.0% in casual style. In Winter, however, the preference were changed from sport casual to jean casual. 2. Preferred clothing items are parka/padding coat 32.3%(291), jumper 31%(279), T-shirts 16%(144) and jacket 7.5%(67) for tops, pants 91.8%(826) and skirts 8.2%(74) for bottoms. In the pants, straight pants 78.4%(648), bell bottom pants 10.9%(90), capri pants 7.4%(61), cargo pants 2.9%(24), bermuda pants 0.4%(3) were listed respectively. In the skirts, A-line skirt 51.3%(38), pleats skirt 25.7%(19), flare skirt 12.2%(9), semi-tight skirt 8.1%(6), tight skirt 2.7%(2) were listed. Finally the skirt length midi 75.7%(56), mini 18.9%(14) and maxi 5.4%(4) were listed. 3. Preferred colors are red 21.8%(196), white 21.6%(194), black 16.4%(148), yellow 10.0%(90), beige 9.3%(84), green 7.9(71) and blue 6.3%(57) for tops, and black 40.8%(367), blue 37.7%(339), gray 4.6%(41), white 4.3%(39) etc. for bottoms.

영재아의 수학문제해결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about Problem Solving of Mathematics of Gifted Students)

  • 이혁준;송영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379-396
    • /
    • 2006
  • 본 연구는 영재아의 수학문제해결에 관한 사례 연구를 통해서 영재아의 수학문제해결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 인지적, 정의적 특성들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2명의 학생들을 선발하여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학문제해결에 관한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제 해결 과정의 특성으로 답이 명확한 문제를 선호, 개별적 탐구학습 선호, 문제의 답에 대한 집착, 과제 집착력이 높게 나타났으나, 경쟁심은 큰 차이가 있었다. 문제해결 사고의 특성으로는 파지능력, 직관적 통찰력, 시각화 능력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화 및 적용능력은 차이를 보였으며 연역적 사고는 2명 모두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환경, 인지적, 정의적 특성들이 문제해결특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을 보이지 않았지만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 교육과 중등수학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교재 개발 및 교수법을 향상시키는데 가치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Hirschsprung's Disease의 진단과 치료 : 1992년도 현황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대상 선호도 설문조사- (Diagnosis and Treatment of Hirschsprung's Disease in Korea - Current Status of 1992 - -A Survey f or Surgeon's Preference among the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in 1992-)

  • 유수영;김상윤;김우기;김인구;김재억;박귀원;박우현;박주섭;송영택;오수명;이두선;이명덕;이성철;장수일;정상영;정을삼;정풍만;주종수;최금자;최순옥;최승훈;허영수;황의호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권1호
    • /
    • pp.33-41
    • /
    • 1996
  • This report present the result of the national survey of pediatric surgeons' preferences 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Hirschsprung's disease(HD) carried out in 1993.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wenty-seven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KAPS) working in twenty-four institutions. The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individual surgeon's preference for the method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disease. Twenty-three pediatric surgeons from twenty institutions returned completed form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diagnosed with HD in 1992 was 190 in this group. The estimated incidence of HD was 1/3,900. The most important symptom was delayed meconium passing and the most preferred diagnostic procedure was barium study. Anorectal manometric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y 13 pediatric surgeons and 19 confirmed the diagnosis before operation by rectal biopsy, 12 with full-thickness biopsy and 7 with suction. Frozen section biopsy during operation was done by 22 surgeons. Eight surgeons did one stage operation if the age of the patient is suitable. Definitive operation was usually done at the age of 6 to 11 months. The most preferred operation was Duhamel procedure done by 19. Enterocolitis was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 of HD. Most of patients had normal continence within 6 to 12 months after operation. The follow-up period was less than 6 years in 16 surgeons. The results were presented at the 9th annual meeting of KAPS in June of 1993. This is the first national survey of HD and it can provide guideline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Hirschprung's disease even though it is not a detailed study of patient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