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s of evaluation

검색결과 1,552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생태현황도의 활용효과 측정지표 개발 및 효과분석 (Development of Measurement Indicators and Effective Analysis for Utilizing Effects of Biotop Map)

  • 이은엽;강명수;전성우;변종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213-1220
    • /
    • 2011
  • This study aims at choosing indicators to measure the effect of utilizing biotop map, and analyzing its effect by an indicator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er. The Primary performance indicators are made through specialist survey using SMART. As a result, three indicators are chosen: "Discussion of the period of an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reduced effect)", "Plan and execution of environment and ecology plan in an urban development site", "Minimizing ecological damage in an urban development." The result in each indicator is as follows. The indicator of discussion of the period of an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reduced effect), the average reduction rate i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reduced 6.08% and 11.64% respectively in 2004-2005. In this period,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reduction effect is shown in this period by reinforcing environment effect estimation using biotop map. As to the indicator of utilizing biotop map in an urban development site, the Seongnam P site case shows that biotop map was used when they set up an development plan. In case of minimizing ecological damage in an urban development, the Gwangjingu G-dong case shows that it was used to appoint preservation sit, and mediate development restrict area. Accordingly, the biotop map utilizing effect is confirmed through core performance indicators and verification of the indicators using SMART. The further research is encouraged to find evaluate indicators and verify the effect quantitatively to increase the use of biotop map.

기술력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 해양수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chnology Evaluation Model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cusing on the Fields of Marine and Fishery)

  • 김민승;장용주;이찬호;최지혜;이정희;안민호;성태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90-102
    • /
    • 2021
  • 기술력평가는 기술사업화 주체가 기술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기술평가 전문기관들이 각자 독자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수행해오고 있다. 특히 최근 개발된 해양수산 분야의 기술력평가모형은 타 산업 대비 열악한 기술개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투자적정으로 여겨지는 T4 등급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타 산업에서 활용되는 공통적인 평가지표와 평가척도, T1~T10 등급별 구간 점수체계를 유사 또는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9개 해양수산 특수 산업분류 체계에 맞는 기술력평가모형 및 지표 개발을 통해, 종합등급 산출결과의 적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며, 동 모형 및 평가지표가 영세한 해양수산 기업 및 업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업데이터(KED) 및 기술력평가 사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AHP기반 지표 가중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등급구간 체계를 도출하고 시범사례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제안 모형을 통해 향후 기술력평가 건에 대해 적용하여 손쉽고 객관적인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R&D 및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활용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의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적 고찰: SYSTEM분야 지표를 중심으로 (A Study on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LINC Program: Focused on the Indicators of SYSTEM Sector)

  • 김태운;김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5-1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INC사업의 성과평가지표 중 산학협력 활동을 위한 기반 구축과 관련된 SYSTEM분야의 정성적 평가지표를 대상으로 성과측정에서의 실제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성과창출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업 관계자와 전문가 대상의 인터뷰와 대학별 LINC사업 실적보고서를 통해 SYSTEM분야 정성적 평가지표가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구성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체제 개편에서는 대학 내 산학협력 친화형 교수업적평가 제도의 과도한 확산 방지, 학사제도 개편의 소프트웨어적 개선 사항 평가, 산중교수들의 중개기능 활성화 유도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산학협력단 역량 강화에서는 산학협력단의 산학협력 창구형 채널 강화 방안, 산학협력단 내에 선도 및 기획 기능을 전담하는 조직(팀) 구성 유도, 대학의 산학협력 자체 모델 개발 유도 등을 위한 지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인프라 확충에서는 창업교육센터의 프로그램 개발 인력 확충, 타 지역에 있는 대학 간의 인턴십 수요 교환, 공동활용장비 운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 오퍼레이터 확보 등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지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적용 - 정량적 정성적 지표의 도입 - (Development and Adaption of Sustainabli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Chungcheongbuk-Do Province - Adopting Quantitative & Qualitive Indicators -)

  • 문석기;유병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5-100
    • /
    • 2016
  • Local Agenda 21 organizations have been founded at the most divisions of local government in Chungcheongbuk-Do, but there has been no methods to monitor the total Sustainable Development trends. For the alternative solution of that problem in the Province, this study purposed (1) to develop Indicators fit to this Province (2)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the developed indicators adopting to each division sec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by fields and Quantity / Quality considerations. As a 1st step, committee-composed with field professionals each-selected and developed Quantitative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SDIs) optimized to Chungbuk-Province through critical discussions proposing Qualitative Indicators as a suggestion. In 2nd step, developed Indicators were applied and tested upon each divisions. Statistic data were used to calculate indices. 3rd step is adoption stage of Qualitative Indicators which were tes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As a results, SDIs for Chungcheongbuk-Do -38 Quantitative SDIs within 4 provisions of 11 items with 8 Qualitative indicators categorization be put off- is developed. With the application test, 5 Quantitative Indicators- were found to be not adaptable because of lack or none of statistic data. Among the 8 Qualitative Indicators, 3 pairs found to be similar results in each pair which needed to be integrated into one. With them, bio-species related and health related Indicators were proposed to be newly added. Nation wide Sustainability comparison between divisions and Ecological Indicator selection are another themes to be considered.

ESG 안전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SG Safety Evaluation Index)

  • 윤철희;이근원;정승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24
    • /
    • 2023
  •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발굴하고 제어하는 리스크관리에서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앞으로는 기업 지속가능성에 대한 가치 판단 도구로써 ESG 평가가 더욱 활용될 것이다. 이러한 ESG 평가를 활용하여 기업의 사고 예방 정도를 관리하고 있다. 현행 ESG 평가체계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안전에 대한 평가항목을 분석하여, ESG에서 활용 가능한 정량적 '안전평가지표'가 미흡함을 알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산업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집중 관리가 필요한 '사고 기여 인자'를 도출했으며,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보완이 필요한 주요 안전관리 항목을 선정했다. 선정한 항목들은 '사고 예방 관리'에 적합한 평가 요소로 최적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ESG 안전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환경평가를 위한 지표의 가중치 산정방법 결정 모형 (A Determinant Model for Methods to Calculate the Weighted Value of Each Indicator for Environmental Evaluation)

  • 이관규;양병이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1호
    • /
    • pp.59-71
    • /
    • 2001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eterminant model to select a method on calculating weight of each indicator for environmental evaluation. According to analyzing and comparing with three types of methods for calculating weights which are usually used to evaluate environment with indicators, the weights which were obtained by each type were all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means that a differential weighting method must be applied to each of environmental evaluation studies. Therefore, a determinant model is required to determine weight-calculating methods. Three types of weighting methods, such as weighting by importance degree, weighting by eigen-value and weighting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were compared. Under the necessity, a determinant model was drawn for selecting a compatible method to calculate weights of indicators in environmental evaluation.

  • PDF

교수학습지원센터의 BSC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SC Model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 김용준;김소윤;조창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35-144
    • /
    • 2019
  • In this study, BSC model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 developed using balanced scorecard suitable for non-profit organization. Firstly, relevant literature survey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various CTL and institution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Next, a draft BSC model was designed through interviews of specialists. Lastly, the BSC model was proposed by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model by conducting two Delphi surveys. The BSC model of CTL has 4 perspectives: resource, customer, internal process, learning and growth, 9 critical success factors: 2 factors in resource, customer and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3 fac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and 23 key performance Indicators: 4 indicators in resource and learning and growth, 7 indicators in customer perspective, 8 indicators in internal process perspectiv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oposed BSC model showed an evaluation model suitable for a non-profit organization. Second, the BSC model was linked to the organization's mission and vision. Third, it could contribute to the long-term development of CTL. Lastly, if it could be applied to management, and evaluated,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budget support and spread of the university.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환경기술의 평가지표 연구 - 이산화탄소 저감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 Public Funded R&D Projects of the $CO_2$Reduction and Sequestration Technology)

  • 최미희;안은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45-357
    • /
    • 2003
  • As the sustaindble development becomes the main goal of the global world in the 21st century, it is important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s should be realized ecologically sound based on co-evolutionalry approach. From this perspective, the trans-disciplinary research method is gaining importance in the evaluation process of public funded R&D, especially in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In our evaluation research on the R&D projects of the $CO_2$reduction and sequestration technology in Korea, we attempt to apply a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method on the concept of the eco-innovation, the technology push and the market pull. Also, we try to develop the trans-disciplinary indicators of the environmental technology evaluation. This research confirms the necessity of trans-disciplinary research among the three academic perspectives, engineering, social sciences and public policy.

  • PDF

법정감염병 발생자료와 감염병관리사업 평가지표와의 관계 실증분석 (Actual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ndicators of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ivities and Communicable Disease Incidence Data)

  • 김민준;홍지영;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79-7186
    • /
    • 2014
  • 이 연구는 감염병 발생자료와 감염병 관리사업 평가지표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감염병 관리사업의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04년과 2005년 2개년간의 시군구(보건소) 감염병 환자 발생 수 합계와 2005년도 감염병관리사업 평가지표 등 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보건소 유형 및 법정감염병 각 군별로 각기 상이한 지표들이 도출되었으며, 각 군로도 특이한 지표 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지표들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교육실적 등이 발생건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 발생건수는 신고건수 즉, 사업의 성과의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지표의 개선이 필요하거나 사업의 투입시간 및 추이를 본 후 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각 사업별로 분리하여 특이한 평가지표를 생산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감염병관리사업의 평가지표 개발은 기초자치단체별 감염병관리사업 종합평가체계를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감염병관련업무 표준화를 촉진하고 관련지침을 개정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보건사업 및 보건의료조직의 계량적인 성과 평가에 활용될 것이다. 또한 시군구 보건소에서 수행한 성공적인 감염병 관리 사업의 사례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보다 성공적인 감염병관시업의 접근이 가능케 할 것이다.

토지의 경관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Classification of Landscape Type on Land and Evaluation of Site-suitability Based on It)

  • 나정화;구지나;이현택;조현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7-75
    • /
    • 2011
  •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경상북도 약목면 일대 약 14.0$km^2$를 대상으로 개발 이전에 어느 지역이 공원유형별 입지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입지타당성평가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문헌분석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3개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분석은 각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3차 설문분석은 공원유형별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각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분류된 모든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공원유형별 최소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파악해 보는 단계로서, 최소요구조건은 중요성 분석결과, 중간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들의 가치등급기준과 사례지 현장조사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설정하였다. 2차 평가는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형만을 대상으로 부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2차 평가지표항목들에 대한 가치등급은 모두 3등급으로 정량적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서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들의 점수를 산술합산 하였다. 각 공원유형에 따른 산술합산 점수는 가장 높은 점수의 평균치에서 가장 낮은 점수의 평균치까지 균등 분할하여 최종 3등급으로 가치등급화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모델은 공간의 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공간을 등급화 하였던 바, 차후에는 공간유형의 점, 선, 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체험 루트,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평가모델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