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P (001)

검색결과 18,226건 처리시간 0.051초

노인의 우울, 걷기,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걷기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 송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15-52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걷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제6기 2차년도(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1,263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독립변수 및 조절변수에 따른 살의 질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성별(t=8.26, p<.001), 나이(t=5.19, p<.001), 만성질환 수(F=37.88, p<.001), 우울(t=9.62, p<.001), 걷기(t=47.36, p<.001)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가 나타났다. 걷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걷기는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걷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울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걷기의 증진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걷기의 조절효과를 밝힘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S-PBL) o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oal Commitment)

  • 권순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73-3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 4학년 재학생에 재학중인 90명이며, 연구기간은 2019년 3월~6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 후 셀프리더십(t=-16.22, p<.001), 비판적 사고성향(t=-11.36, p<.001), 목표몰입(t=-7.06, p<.001)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상관분석에서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r=.438, p<.001),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r=.285,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추후 다양한 간호 상황을 적용한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among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 남미애;노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89-297
    • /
    • 2021
  •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긍정심리역량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F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와 책임간호사 157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8일부터 2월 22일까지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3.0 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소진은 감정노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31, p<.001)이었으나, 긍정심리역량과는 부적 상관관계(r=-.391, p<.001) 이었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β=.47, p<.001), 긍정심리역량(β=-.28,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4.9% 이었다(F=42.78 p<.001). 이 연구 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낮추는 전략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추후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 감소를 위하여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iomedical Ethic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조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38-645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충청남도 S대학의 간호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00, p<.001, r=.431, p<.001)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𝛽=0.303, p<.001), 생명의료윤리의식(𝛽=0.287, p<.001)과 비판적 사고성향(𝛽=0.294, p<.001)이었고, 설명력은 31.2%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여주기 위해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며, 그 방안으로는 학생의 학년을 고려한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있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비판적 사고 성향, 직무만족도 및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 박효미;이혜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wer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294 nurses who had worked in a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analysis methods including a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job stress score for nurses was 111.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 and marriage status (p<.001), education (p<.001), clinical career (p<.001), position (p<.001), communication style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001), and job satisfaction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areer together accounted for 36.88% of the total variation in job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lead to an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suggested.

  • PDF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Hovenia dulcis Composite Flour)

  • 최숙;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86-1592
    • /
    • 2005
  • 숙취해소, 알콜성 간질환예방, 간의 해독작용 기능을 지닌 헛개나무 열매를 첨가한 국수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leucine이 가장 높았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지미성분인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는 대조군보다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군의 함량이 더 높았다. 조리국수의 중량(p < .001)과 부피 (p < .01), 수분흡수율(p < .001)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았고, 탁도는 높았다(p < .001). 색도는 명도 L값은 대조군이 7.62로 가장 높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5$\%$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 검사의 texture는 경도(p < 0.05), 응집 성 (p < 0.05), 껌성과 파쇄성 (p < 0.001)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탄력성은 1$\%$ 첨가군이 85.03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 관찰은 헛개나무 열매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분입자들의 조직이 느슨해지고 입자들이 커지면서 형태가 부드러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색상과 허브향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진하다고 평가하였으며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는 3$\%$ 첨가군이 가장 매끄럽다고 평가하였다(p < 0.01). 단맛과 구수한 맛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높아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p < 0.001). 맛의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고,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에서 가장 좋았다(P < 0.01).

Change of the airway space in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 Lee, Woo-Young;Park, Young-Wook;Kwon, Kwang-Jun;Kim, Seong-G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8권
    • /
    • pp.23.1-23.7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velop a two- and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the airwa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airway space would be changed in mandibular prognathism after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Methods: Patients requiring orthognathic surgery from 2012 to 2014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CBCT scans were obtained at three points: preoperatively (T0), immediate postoperatively (T1),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T2). The nasopharynx, oropharynx, and hypopharynx were measured on the CBCT scan for each patient in a repeatable manner. With the midsagittal plane, linear measurements in the middle of each were obtained. For the CBCT, volumetric measurements of each and total airway were obtained. Results: A total of 22 consecutive patients (11 men and 11 women)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volume was significantly reduced (p < .001). However, the change of the diameter and volume of the nasopharyn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160, p = .137, respectively). In the oropharynx, the change of both the diameter and volu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operatively and immediate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and also preoperatively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1, p = .010, respectively). In the hypopharynx, the change of both the diameter and volum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reoperatively and immediate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and also preoperatively and after 6 months postoperatively (p = .001, p < .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bimaxillary surgery involving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can reduce the volume of airway in the patients of mandibular prognathism. Although total airway volume was reduced significantly, the changes in the volume and diameter of the nasopharynx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affects on the nasopharyngeal airway minimally.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친구집단 성태도와 성허용성 (Self-estee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 장수현;이성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40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380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self-esteem,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Results: The sexual permis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variable: grade (F=0.51, p=.002), gender (t=7.28, p<.001), age (F=14.72, p<.001), religion (t=4.97, p<.001), residence type (F=4.75, p=.009), number of call with parents (F=3.56, p=.030), number of viewing pornographic video (F=36.05, p<.001), number of viewing pornographic magazine (F= 47.90, p<.001), status of dating (t=3.62, p<.001),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F=14.51, p<.001), an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13.00,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r=.64, p<.001). The variables such as friend's sexual attitude,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he number of watching pornographic video, educational system, religion, and the number of calls with parent explained 52% of the variance in sexual permissive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ir level of sexual permissiveness and their friend's sexual attitude.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Depression on Suicide Ideation of junior nursing students)

  • 최숙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5-22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간호대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3.33±5.28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는 학과 친구의 수(F=4.114, p=.007)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지각된 스트레스(r=.404, p<.001), 불안(r=.480, p<.001), 우울(r=.580, p<.001)과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불안(β=.158, p=.040), 우울(β=.463, p<.001), 학과 친구의 수(β=.109, p=.044)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6.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Blood Flow and Skin Temperature Increases by Monochromatic Infrared Energy Irradiation

  • Lee, Jae-Hyoung;Kim, Gi 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4권3호
    • /
    • pp.202-207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nochromatic infrared energy (MIRE) on the blood flow of the superficial radial artery and local skin temperature in healthy subjects. Methods: Forty healthy volunteer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MIRE group (n=20) and placebo group (n=20). The MIRE group received a 890 nm MIRE irradiation on the forearm using two therapy pads for 30 minutes. The therapy pad was composed of an array of 60 diodes. MIRE unit was set at bar 8, that corresponds to a diode power of 10 mW and a power density of $63mW/cm^2$. The placebo group received sham MIRE. Peak blood flow velocity (PBFV), mean blood flow velocity (MBFV), and skin temperature (ST) were measured pre- and post-MIRE irradia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BFV (p<0.001), MBFV (p<0.001), and ST (p<0.001)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ed values in the MIRE group.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ed values in the placebo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change values from baseline of PBFV (p<0.001), MBFV (p<0.001), and ST (p<0.001) between the MIRE group and the placebo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PBFV (p<0.001), MBFV (p<0.001), and ST (p<0.001) following MIRE irradiation. Conclusion: The arterial blood flow and local skin temperature of the forearm in the healthy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MIRE irrad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