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 (001)

검색결과 18,349건 처리시간 0.059초

임피던스 분석을 활용한 사상인의 신체계측 연구 (Analysis on Physical Traits of Sasang Types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이수진;박수현;고유선;박수진;엄일규;김병철;김영인;백진웅;김명근;권영규;채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3-43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ircumference of four body parts of each Sasang groups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nd evaluate its usefulnes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e obtained the circumference measures of neck (CN), chest (CC), waist (CW), and hip (CH) of 91 college students using BIA and standardized by sex and age. The validity of Sasang group prediction with CC was evaluated. The Tae-Eum group (104.87${\pm}$5.19, 108.47${\pm}$4.96, 116.00${\pm}$9.39, 110.4${\pm}$5.29. neck, chest, waist and hip, respectively) has significantly (p<0.001) bigger circumferences than So-Yang (97.79${\pm}$3.82, 100.02${\pm}$4.21, 101.02${\pm}$7.88, 101.95${\pm}$4.06) and So-Eum (95.63${\pm}$4.67, 96.93${\pm}$4.80, 97.63${\pm}$7.72, 99.86${\pm}$4.40) groups at very four measures. Discriminant functions with CC can be used for Tae-Eum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ith 91.2% of overall Percentage Correctly Predicted (PCP). Tae-Eum type-specific sensitivity was 73.3% and Tae-Eum type-specific specificity was 94.7%.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method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and the methods for the standardization of physical traits with sex and age were discussed. Our study showed distinctive physical features of Tae-Eum type and the usefulness of BIA for the Sasang type diagnosis.

단일의복의 보온력 정량화와 영향 요인 (Quantification of Thermal Insulation by Clothing Items and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 백윤정;황수경;이효현;박준희;김도희;이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72-182
    • /
    • 201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quantify the thermal insulation of garments by item and examine factors influencing clothing insulation. A total of 769 garments in clo unit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blouses/shirts (95 items, BS), T-shirts/sweaters (62 items, TS), vest (23 items, VT), cardigans (23 items, CD), jackets/coats (75 items, JC), sport outerwear (including padding jackets)(48 items, SO), trousers (23 items, TR), skirts (56 items, SK), dresses (28 items, DS), underwear (150 items, UW), sleepwear (50 items, SW), and personal protective clothing (59 items, PPC). The results showed that clothing insulation was $0.21{\pm}0.01clo$ for the BS, $0.22{\pm}0.01clo$ for TS, $0.12{\pm}0.00clo$ for VT, $0.23{\pm}0.02clo$ for CD, $0.40{\pm}0.02clo$ for JC, $0.49{\pm}0.03clo$ for SO, $0.21{\pm}0.01clo$ for TR, $0.18{\pm}0.01clo$ for SK, $0.34{\pm}0.03clo$ for DS, $0.09{\pm}0.01clo$ for UW, $0.42{\pm}0.03clo$ for SW, and $0.56{\pm}0.03clo$ for PPC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mong the seven factors for thermal insulation of garments were clothing weight and covering area; however, the explanatory powers of two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clothing categories. The covering area had more significant impact on clothing insulation in cardigans, jackets/coats, trousers, and dresses than clothing weight. Covering areas and clothing weight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the following categories: blouses/shirt, T-shirts/sweaters, skirts, sleepwear and personal protective clothing. The garment weigh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rmal insulation for the sport outerwear.

거들 및 웨이스트니퍼 착용에 의한 의복압 평가 및 관련된 착용변인 (Clothing Pressure Evaluation of Girdle and Waist Nipper and Related Wearing Conditions)

  • 이희란;홍경희;김양원;박세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인체 상 하체에 대한 적정 의복압값과 평소 착용습관에 따른 주관적 압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30-4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거들과 웨이스트 니퍼를 착용한 후 압력값과 주관적 압박감을 측정하였다. 또한 화운데이션 착용 시 주관적 압박감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자세변화, 착용시간, 심호흡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의복압과 주관적 압박감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적정 의복압의 평균 결과 거들은 $2.1{\pm}0.8$ kPa, 웨이스트 니퍼는 $1.5{\pm}0.8$ kPa로 하체의 적정 평균 의복압이 상체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하체보다는 상체에서 평소 느슨하게 입을수록 압박 수준에 대한 민감도가 컸다. 화운데이션 착용습관 조사를 통해 느슨하게 입는 그룹을 'loosely', 조여입는 그룹을 'tightly'로 분류하여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loosely' 그룹에서 객관적 압력값과 주관적 평가 간에 또한 주관적 평가와 선호도 간에 상관계수가 더 높게 나타나 평소의 착용습관이 압박감각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자세(선 자세, 앉은 자세)에 따른 압력값의 변화는 웨이스트 니퍼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01), 웨이스트 니퍼 설계 시 적정 의복압을 유지하기 위한 주의를 거들보다 더 기울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제 압력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주관적 압박감은 대체적으로 적응을 하여 장기간 착용 시 생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쳐도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Human Papillomavirus Vaccine Awareness, Acceptability, and Decision-Making Factors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 Wang, Shao-Ming;Zhang, Shao-Kai;Pan, Xiong-Fei;Ren, Ze-Fang;Yang, Chun-Xia;Wang, Zeng-Zhen;Gao, Xiao-Hong;Li, Man;Zheng, Quan-Qing;Ma, Wei;Zhao, Fang-Hui;Qiao, You-Lin;Sivasubramaniam, Priy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239-3245
    • /
    • 2014
  • Background: College students are recommended as the target groups for catch-up human papillomavirus (HPV) vaccination. Systematical exploration of awareness, acceptability, and decision-making factors of HPV vaccina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has been limited. Materials and Methods: A multi-center survey was conducted in mainland China between November 2011 and May 2012. College students aged 18-22 years were stratified by their grade, gender, and major for sampling. Socio-demographic and HPV-related information such as knowledge, perceptions, acceptability, and attitud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Results: A total of 3,497 undergraduat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mong which 1,686 were males. The acceptability of the HPV vaccine was high (70.8%). Undergraduates from high-level universities, at lower grade, or with greater prior knowledge of HPV vaccines showed higher acceptability of HPV vaccination ($p_{trend}$ <0.001). Additionally, undergraduates with vaccination experience outside the National Expanded Program on Immunization (OR=1.29; 95%CI: 1.10-1.51) or fear of HPV-related diseases (OR=2.79; 95%CI: 2.28-3.41) were more willing to accept HPV vaccination. General knowledge of HPV vaccine was low among undergraduates, and safety was a major concern (71.05%). The majority of students wished to pay less than 300RMB for HPV vaccine and chose the Chines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s the most appropriate venue for vaccination. Conclusions: Although most undergraduates demonstrate positive attitudes towards HPV vaccination, challenges pertaining to introduction exist in China. Corresponding proactive education and governmental subsidy to do so are urgently needed by this age-group population. Suggestions and potential strategies indicated may help shape the future HPV vaccination program in China.

산란계의 열환경별 특이음에 대한 음성학적 분석 (Acoustic Analysis for Thermal Environment-related Vocalizations in Laying Hens)

  • 전중환;연성찬;하정기;이승주;장홍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97-702
    • /
    • 2005
  • 본 연구는 산란계가 적정 환경, 더운 환경 그리고 추운 환경에서 특이하게 내는 특이음을 분류한 후 이들을 음성학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일반 발성음은 총 5가지 형태, 더위stress 특이음은 1가지 형태, 그리고 추위stress 특이음은 총 3가지 형태로 각각 나타났다. 기본주파수, 음의 강도, 음의 길이 및 포먼트에 대하여 열환경별 발성음간 유의차를 분석한 결과 모든 parameter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Discriminant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음의 길이, 제 1포먼트, 제 3포먼트 및 제 4포먼트가 다른 parameter들 보다 유용한 parameter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산란계는 열환경 변화에 따라 특이음을 내었으며, 이들 특이음은 기본주파수, 음의 강도, 음의 길이 및 포먼트 등과 같은 parameter들에 의하여 음성학적으로 판별될 수 있었다.

이중구간중도절단된 생존자료의 생존함수 비교를 위한 검정: 한국인 암 예방연구 중 당뇨병에의 응용 (Comparing Survival Functions with Doubly Interval-Censored Data: An Application to Diabetes Surveyed by Korean Cancer Prevention Study)

  • 지선하;남정모;김진흠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595-606
    • /
    • 2009
  • 이중구간중도절단된 자료의 생존함수를 비교하기 위한 두 검정법을 소개하고 한국인 암 예방연구 (Jee 등, 2005) 자료에 적용하여 당뇨병 잠복시간의 분포를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하였다. Kim 등 (2006)의 검정법을 이중구간중도절단된 자료로 확장한 검정법은 위험집합의 크기에만 의존하는 가중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용량 자료의 분석에서 Sun (2006)의 검정법보다 계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산형 생존자료뿐만 아니라 연속형 생존자료에도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당뇨병의 잠복시간이 성별에 따라 매우 유의하게 달랐으며 여자의 잠복시간이 남자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연령그룹 간 당뇨병의 잠복시간도 성별에 관계 없이 매우 유의하게 달랐으며 여자의 경우가 남자의 경우보다 그 차이가 훨씬 더 유의했다. 한편, 소표본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검정법과 Sun (2006)의 검정법의 검정력을 비교하였으며 제안한 검정법의 검정력이 Sun (2006)의 검정법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Forefoot Bending Angle in Sprint Spikes According to Bobsleigh Start Lap Time for Development of Korean-Specific Bobsledding Shoes

  • Park, Seungbum;Lee, Kyungdeuk;Kim, Daewoong;Yoo, Junghyeon;Jung, Jaemin;Park, Kyunghwan;Park, Sungwon;Kim, Jinhoo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5-321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the toe-spring angle of bobsleigh shoes on start speed lap time to develop Korean-specific bobsled shoes suitable for winter environments and for domestic players on the basis of sports science and optimized biomechanical performance. Method: Seven Korean bobsleigh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three pairs of sprint spikes from three companies (Type A, Type B, Type C). To analyze sprint lap time and forefoot bending angle for each sho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drag a sled 15 meters from the start line at a maximum sprint. forefoot bending angle was collected by a high speed camera, and lap time speed was measured. Results: Lap time for type B shoes was $3.52{\pm}0.17sec$, type A was $3.55{\pm}0.19sec$, and type C was $3.56{\pm}0.18sec$. Forefoot bending angles were: angle 1, $6.88{\pm}5.55^{\circ}$; angle 2, $9.23{\pm}6.38^{\circ}$; angle 3, $15.56{\pm}5.39^{\circ}$; angle 4, $9.54{\pm}3.85^{\circ}$; angle 5, $9.22{\pm}5.08^{\circ}$; angle 6, $7.66{\pm}6.44^{\circ}$; and angle 7, $4.30{\pm}6.24^{\circ}$ (p<.001). Forefoot bending in angle 3 was as follows: type A, $16.47{\pm}6.01^{\circ}$; type B, $14.30{\pm}4.96^{\circ}$; and type C, $15.90{\pm}5.17^{\circ}$. Conclusion: Hard outsoles and midsoles are better than soft type for reduced start lap time when developing a prototype Korean bobsled shoe.

한국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계군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정연;윤문근;문창호;강창근;최광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 동해(북부, 중부, 남부), 서해, 동중국해의 해구에서 각각 채집된 살오징어의 계군을 형태 및 유전학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형태학적 차이에 따른 계군분석은 평균성숙외투장(20-22 cm)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시기를 구분하였고,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계군은 mtDNA COI 영역의 염기변이에 의한 유전자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성숙외투장을 기준으로 동해 북부는 발생시기가 하계군, 나머지 집단(동해 중부, 동해 남부, 동중국해 북부, 서해 북부)은 추계군으로 크게 2개의 계군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살오징어 mtDNA COI 영역에서 총 4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TCS 분석결과 haplotype 유전자형 네트워크가 star-like형태이며, 모든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haplotype diversity, h)이 높고(h=0.661~0.841), 반면에 염기 다양도(nucleotide diversity, ${\pi}$)가 낮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국내 서식 살오징어의 경우 최근에 급속한 집단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Pairwise Fst를 이용한 집단분석결과 비록 모든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가 낮게 나타났지만(Fst = 0.001~0.043) 평균성숙외투장 기준으로 같은 추계군으로 분류된 집단(동해 중부, 동해남부, 서해 북부)간에는 유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박현옥;박경숙;권오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7-369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구조모형을 개발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바탕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 변수로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 결과는 ${\chi}^2=112$(p<.001), RMSEA=0.069, GFI=0.937, NFI=0.910, CFI=0.948 였다. 수정 모형의 검정결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2% 설명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를 29.3% 설명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5$), 지각된 건강상태(${\beta}=.20$), 지각된 장애성(${\beta}=-.26$), 지각된 유익성(${\beta}=.2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책에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심리적 행복감 예측요인 - 사회인 야구를 중심으로 - (Predictors of Psychological Happiness in Leisure Sports Participant - Focusing on Amateur Baseball Clubs -)

  • 서해주;김자옥;김자숙;김학선;박아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409-420
    • /
    • 2018
  • 본 연구는 여가스포츠 참여자(사회인 야구)의 심리적 행복감의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도 여가스포츠(사회인 야구) 참여자 15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다중 공선성 진단 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가스포츠 참여자(사회인 야구)의 심리적 행복감의 가장 큰 예측요인으로는 대인관계능력(${\beta}=.190$)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하여 46.9%의 설명력을 나타내어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삶의 질, 자기효능감 3개의 설명변수가 심리적 행복감(Adj. $R^2=.541$, F=59.57, p<.001)에 대한 설명력은 54.1%였다. 이상의 결과로 심리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향후 객관화된 측정을 통한 심리적 행복감 예측요인 영향력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