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screening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7초

고추 식물의 건조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미생물 선발 (Screening of Bacterial Strains for Alleviating Drought Stress in Chili Pepper Plants)

  • 김상태;유성제;송재경;원항연;상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36-142
    • /
    • 2019
  • 식물 근권과 내생에서 분리한 447 균주 중 식물 생장 촉진특성과 건조 내성이 있는 28 균주를 일차적으로 스크리닝 하였으며, PEG에 의한 인위적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잎의 상대수분함량과 MDA를 기반으로 GLC02와 KJ40을 선발하였다. 이 두 균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밭흙을 사용한 자연 건조에서 식물 포트 검정을 하였으며, 기공전도도와 지상부(줄기와 잎) 무게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MDA가 감소하였다. 병 억제 효과에서는 GLC02를 처리할 경우 역병의 병진전도가 감소하였으며, KJ40을 처리할 경우 세균성 점무늬병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GLC02와 KJ40을 처리할 경우 건조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주며 식물생장의 증진, 병 억제효과를 유도하여 생물비료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rotein target identification of ginsenosides in skeletal muscle tissues: discovery of natural small-molecule activators of muscle-type creatine kinase

  • Chen, Feiyan;Zhu, Kexuan;Chen, Lin;Ouyang, Liufeng;Chen, Cuihua;Gu, Ling;Jiang, Yucui;Wang, Zhongli;Lin, Zixuan;Zhang, Qiang;Shao, Xiao;Dai, Jianguo;Zhao, Yun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3호
    • /
    • pp.461-474
    • /
    • 2020
  • Background: Ginseng effectively reduces fatigue in both animal models and clinical trials. However, the mechanism of action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and its molecular targets remain largely unknown. Methods: By screening for proteins that interact with the primary components of ginseng (ginsenosides) in an affinity chromatography assay, we have identified muscle-type creatine kinase (CK-MM) as a potential target in skeletal muscle tissues. Results: Biolayer interferometry analysis showed that ginsenoside metabolites, instead of parent ginsenosides, had direct interaction with recombinant human CK-MM. Subsequently, 20(S)-protopanaxadiol (PPD), which is a ginsenoside metabolite and displayed the strongest interaction with CK-MM in the study,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to confirm direct binding and its biological importance. Biolayer interferometry kinetics analysis and isothermal titration calorimetry assay demonstrated that PPD specifically bound to human CK-MM. Moreover, the mutation of key amino acids predicted by molecular docking decreased the affinity between PPD and CK-MM. The direct binding activated CK-MM activity in vitro and in vivo, which increased the levels of tissue phosphocreatine and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he creatine kinase/phosphocreatine system in skeletal muscle, thus buffering cellular ATP, delaying exercise-induced lactate accumulation, and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in mice.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a cellular target and an initiating molecular event by which ginseng reduces fatigue. All these findings indicate PPD as a small molecular activator of CK-MM, which can help in further developing better CK-MM activators based on the dammarane-type triterpenoid structure.

한국산 칡의 Estrogen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rogenicity of Korean Arrowroot (Pueraria thunbergiana))

  • 김소정;박철;김혜경;신완철;최석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21
    • /
    • 2004
  • 한국산 칡 (Pueraria thunbergiana)의 에스트로겐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9종의 물질의 함량을 HPLC로 측정하였고, 그들의 에스트로겐성을 in vitro screening test인 estrogen receptor dependent transcriptional expression assa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hytochemica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칡의 대표적 에스트로겐성 물질인 daidzein의 경우, 뿌리>줄기>잎>꽃>종자의 순서로 나타났고, 칡에서 가장 함량이 많은 puerarin의 경우도 뿌리>줄기>일>꽃>종자 순서로 함유되어 있었다. Phytochemical들의 에스트로겐 활성도 측정 결과 효능(potency)은 daidzein>genistein>biochanin A>formononetin>puerarin>genistin >> glycitein = daidzin = glycitin 순이었다. 17$\beta$-estradiol에 대한 1 $\mu$M에서의 상대효율 (relative efficiency)은 genistein>biochanin A>daidzein>genistin>formononetin>puerarin>>glycitein = daidzin = glycitin순이었다. 또한 칡의 부위별, 지역에 따른 칡의 에스트로겐성을 조사하였다. 칡의 부위별 에스트희겐성은 뿌리>줄기>잎>꽃>종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로도 칡의 에스트로겐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Mokpo>Ulsan> Je-cheon>Pochon>Taebaek>Punggi. 이상의 결과 칡에는 다양한 에스트로겐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 가장 많고, 줄기 등 다른 부위에도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tem cell-secreted 14,15-epoxyeicosatrienoic acid rescues cholesterol homeostasis and autophagic flux in Niemann-Pick-type C disease

  • Kang, Insung;Lee, Byung-Chul;Lee, Jin Young;Kim, Jae-Jun;Sung, Eun-Ah;Lee, Seung Eun;Shin, Nari;Choi, Soon Won;Seo, Yoojin;Kim, Hyung-Sik;Kang, Kyung-Sun
    •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 /
    • 제50권11호
    • /
    • pp.8.1-8.14
    • /
    • 2018
  •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the direct transplantat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UCB-MSCs) into the dentate gyrus ameliorated the neurological symptoms of Niemann-Pick type C1 (NPC1)-mutant mice. However,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NPC1-mutant mice was not fully understood with a molecular mechanism. Here, we found 14,15-epoxyeicosatrienoic acid (14,15-EET), a cytochrome P450 (CYP) metabolite, from hUCB-MSCs and the cerebella of NPC1-mutant mice and investigated the functional consequence of this metabolite. Our screening of the CYP2J family indicated a dysregulation in the CYP system in a cerebellar-specific manner. Moreover, in Purkinje cells, CYP2J6 showed an elevated expression level compared to that of astrocytes, granule cells, and microglia. In this regard, we found that one CYP metabolite, 14,15-EET, acts as a key mediator in ameliorating cholesterol accumulation. In confirming this hypothesis, 14,15-EET treatment reduced the accumulation of cholesterol in human NPC1 patient-derived fibroblasts in vitro by suppressing cholesterol synthesis and ameliorating the impaired autophagic flux. We show that the reduced activity within the CYP system in the cerebellum could cause the neurological symptoms of NPC1 patients, as 14,15-EET treatment significantly rescued cholesterol accumulation and impaired autophagy. We also provide evidence that the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hUCB-MSCs is a highly promising alternative to traumatic surgical transplantation for NPC1 patients.

한약재 물 추출물의 생리활성 검색 및 MPTP-유도 신경독성에 대한 대황의 보호효과 (Screening of the Biologoical Activity from Water Extracts of the Medicinal Plants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R. palmatum on MTPT-induced Neurotoxicity)

  • 김태은;윤여민;박용인;김윤석;전병훈;김명동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666-1685
    • /
    • 2004
  • Thi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screen medicin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brain diseases such as Parkinson's disease or aging. We tested th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from 38 species medicinal plants on antioxidant capacity, monoamine oxidase B (MAO-B) inhibitory activity,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ion and antiperoxidation activity in vitro. The water extracts from 38 species were tested 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using radical scavenging effects against ABTS+. The water extract of C. sappan wa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capacity, the antioxidant activity at 1 Jig of herbal extract being 0.38mM TE. Lipid peroxidation in brain homogenates induced by NADPH and ADP-Fe/sup 2+/ was strong inhibited by C. sappan and R. palmatum extracts. Among the 38 medicinal plants investigated, R. palmatum showed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y (antioxidant capacity, MAO-B inhibiory activity,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The protective efficacy of R. palmatum water extract on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induced parkinsonism and its possible mechanism were studied in C57BL/6 mice. Treatment of R. palmatum water extract protected biomacromolecules such as lipids from oxidative damage induced by MPTP. The content of MDA in brain tissu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y R. palmatum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R. palmatum water extract plays on effective role in attenuating MPTP-induced neurotoxicity in mice. This protective effect of R. palmatum might be estimated the result from the inhibitory activity on monoamine oxidase B and the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식물병원균에 대한 Bacillus vallismortis 1A 균주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vallismortis 1A against Phytopathogen)

  • 이미혜;김수진;이창묵;장재선;장해중;박민선;구본성;윤상홍;여윤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2-368
    • /
    • 2008
  • 항진균성 활성을 가지는 저영양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토양시료는 경북 영양, 충북 제천, 충북 음성, 충북 괴산, 충남 논산 등지의 고추 밭에서 수집하였고 R2A배지를 이용하여 평판희석법으로 9,354여 균주의 저영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저영양세균중 고추역병에 강한 활성을 가지는 1A 균주를 선발 하였으며 16S rDNA 와 표준균주(B. vallismortis, B. mojavensis)를 이용한 생리, 생화학적 실험으로 B. vallismortis로 최종동정 되었다. 1A균주는 Magnaporthe 균을 제외하고 Phytophthora, Collectotrichum, Botrytis, Fusarium 균등에서 폭넓게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고추 유묘검정에서 대조구가 89%정도의 발병율을 보인 반면에 1A 처리구에서는 29%의 발병율을 나타내어 고추역병의 길항균으로써의 미생물제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 저항성 실내검정 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to Trichoderma disease in vitro)

  • 전창성;윤형식;이찬중;공원식;정종천;장갑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0-115
    • /
    • 2011
  • 느타리버섯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품종 저항성은 포장에서 효과적인 검토가 불가능하여 한천 배지상에서 푸른곰팡이균이 균을 저해하는 특징 fungistatic, lysis, toxin enzyme 등에 대한 각각의 특성을 실내에 검정할 수있는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균사생장과 특이 현상을 조사하였다. 대치배양에서는 느타리버섯 균주에 따라 대치선 형성위치, 푸른곰팡이균의 느타리균사 생장부분 위로 생장(overgrowth), 대치선 이후의 버섯균의 용균(lysis)현상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저항성 검정이 가능하였다. 배양여액을 여지에 적용하는 방법은 버섯균과 병원균의 종류에 따른 균사생장 및 특이적 현상이 타나나지 않았으나, well plate를 이용한 배양여액 희석방법으로 균사생장의 억제정도의 확인이 가능하였다. 분활 petri dish를 활용하여 동시배양의 경우 약간의 버섯균이 억제되는 현상은 보였으나, 푸른곰팡이균이 버섯균 생장 부분 위로 덮어 효과검정이 불가능 하였다. 버섯균을 petri dish 전체에 배양한 후 그 위에 병원균의 균총을 접종하는 방법은 overgrowth, lysis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병원성의 검정이 용이하였다. 실내에서의 느타리버섯균의 푸른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은 대치배양, 배양여액법, 생장후 접종법에 의한 방법으로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잔디 병해 방제를 위한 약용식물의 항균작용 탐색 (Screening of Antifung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for the Control of Turfgrass Fungal Disease)

  • 강재영;김대호;이동구;김인섭;전민구;이재득;김익휘;이상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0-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7종의 약용식물(송절, 지구목, 측백, 대풍자, 유백피, 은행잎, 참오동나무)을 사용하여 잔디의 주요 병원균 6종(R. solani AG 2-2(IV), R. solani AG-1 IB, Pythium sp., S. homoeocarpa, R. cerealis, C. graminicola)을 대상으로 항진균 활성을 실험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진균 활성이 있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선발하였고, 선발된 추출물을 사용하여 균사생육 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으로 실험 한 결과 7종의 약용식물 중 송절, 측백, 유백피 등 3종의 추출물에서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절 추출물 1,000배 처리에서 Pythium sp.에 대하여 100%, C. graminicola에 대하여 84.3%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Pythium sp.에 대해서는 5,000배 처리에서도 89.5%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K2 phosphorylates AP-2α and increases its transcriptional activity

  • Ren, Kaiqun;Xiang, Shuanglin;He, Fangli;Zhang, Wenfeng;Ding, Xiaofeng;Wu, Yanyang;Yang, Liping;Zhou, Jianlin;Gao, Xiang;Zhang, Jian
    • BMB Reports
    • /
    • 제44권7호
    • /
    • pp.490-495
    • /
    • 2011
  • Transcription factor AP-$2{\alpha}$ involves in the process of mammalian embryonic development and tumorigenesi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AP-$2{\alpha}$ functions in association with other interacting proteins. In a two-hybrid screening, the regulatory subunit ${\beta}$ of protein casein kinase 2 ($CK2{\beta}$) was identified as an interacting protein of AP-$2{\alpha}$; we confirmed this interaction using in-vitro GST pull-down and in-vivo co-immunoprecipitation assays; in an endogenous co-immunoprecipitation experiment, we further found the catalytic subunit ${\alpha}$ of protein casein kinase 2 ($CK2{\alpha}$) also exists in the complex. Phosphory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AP-$2{\alpha}$ was phosphorylated by CK2 kinase majorly at the site of Ser429, and such phosphorylation could be blocked by CK2 specific inhibitor 4,5,6,7-tetrabromobenzotriazole (TBB) in a dose-dependent manner. Luciferase assays demonstrated that both $CK2{\alpha}$ and $CK2{\beta}$ enhanced the transcription activity of AP-$2{\alpha}$; moreover, $CK2{\beta}$ increased the stability of AP-$2{\alpha}$. Our data suggest a novel cellular function of CK-2 as a transcriptional co-activator of AP-$2{\alpha}$.

저선량의 감마선 피폭된 사람 말초 임파구의 미소핵을 이용한 방사선 생물학적 피폭선량 측정법 연구 (Cytokinesis-blocked micronuclei in the human peripheral lymphocytes following low dose γ-rays irradiation)

  • 김태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04
    • /
    • 2001
  • 불의의 방사선 피폭 환자의 체내 방사선 피폭선량의 예측을 위한 방사선 생물학적 선량측정 개발의 일환으로 저선량 피폭환자의 체내 피폭선량 측정 지표로서의 미소핵 분석법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코발트-60 감마선을 0.25 Gy에서 1 G의 선량을 인체 말초 혈액에 조사한 후 임파구내에 미소핵의 수적 변화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저선량에 피폭된 임파구에서 미소핵이 관찰되었으며, 선량에 따른 수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저선량 피폭에 대한 미소핵의 수적 변화에 대한 선량-반응 곡선은 $Y=(0.02{\pm}0.0009)+(0.033{\pm}0.010)D+(0.012{\pm}0.012)D^2$의 식을 얻었으며, linear quadratic model 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미소핵의 발생 빈도와 피폭 선량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정상대조군에서는 세포당 $0.02{\pm}0.0009$개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말초 임파구를 이용한 미소핵 분석법은 저선량 피폭환자의 체내 피폭선량 측정은 물론 방사선 방호제의 검색 및 방사선 민감도 검사를 위한 방사선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 가능하며, 특히 이 방법은 간편하고 정확하며 재현성이 있는 방법으로 불의의 방사선 피폭 사고시 체내 피폭선량을 예측하는 좋은 지표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