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Value of Waterfro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워터프론트 환경개선을 위한 WTP 분석 - 부산의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 (WTP Analysi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Waterfront)

  • 김가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2호
    • /
    • pp.1197-1206
    • /
    • 2003
  • As growing importance and concern of waterfront, we have tried to study its landscape, accessibility, landuse and so on as well as its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fact we had been under the false thought that it always gaves what we wanted, and it was neglected in its economic value. This paper/looks at one alternative, the non-market value generated by management of waterfront as public resources. We consider the question : how much are people willing to pay to improve, how much are people want to improve\ulcorner The contigent valuation method was implemented during Sep. 9 to 14 in 3 beaches ; haeundae, Gwanganri, Songjeong. They are representative waterfronts which have been widely known and visited. We find out that households are willing to pay about 12,000-16,000 den per year for improving nature elements and inviting more valuable functions about 3 beaches. Especially Ive pay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3 beaches and their substructural factors satisfac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ublic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tc.

워터프론트 환경개선을 위한 WTP 분석 (WTP Analysi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Waterfront)

  • 김가야;김정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4-289
    • /
    • 2003
  • As growing importance and concern of waterfront, we have tried to study its landscape, accessibility, landuse and so on as well as its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fact we had been under the false thought that it always what we wanted, and it was neglected in its economic value. This paper/ looks at on alternative, the non-market value generated by management of waterfront as public resource. We consider the question : how much are people willing to pay to improve, how much are people want to improve? The contigent valuation method was implemented during Sep. 9 to 14 in 3 beaches ; haeundae, Gwanganri, Songjeong. They are representative waterfronts which have been widely known and visited. We find out that households are willing to pay about $12,000{\sim}16,000$ won per year for improving nature elements and inviting more valuable functions about 3 beaches. Especially we pay attention to defference between cognitive and comprehensive satisfaction 3 beaches and their substructural factors satisfaction such as natural environment, public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and etc.

  • PDF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s of Environment-Friendly Cheonghak Waterfront Park through Surveys

  • Lee, Myung-Kw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5-320
    • /
    • 2008
  • The road construction near the existing lighter's wharf has completed but the lighter's wharf has been still unavailable and neglected. Therefore, the site needs the urgent measures to clean up and properly take advantage of the lighter's wharf.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regional amenities and revitalize the coastal environment by creating an environment-friendly waterfront park utilizing features of the existing lighter's wharf as part of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develop an waterfront park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the land and improving the cleanliness and safety of the coastal scenic beauty, leading to various meaningful opinions on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potential park site, the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park,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park and the timing of park development. If an waterfront park is created through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t can share a sustainable utility value of the coastal area. Therefore, this will result in boosting the connection with redevelopment plan for the North Port, along with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s' life, strengthening Busan's status as a maritime tourism city.

도시 그린인프라 핵심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계획 요소 분석 - 세종호수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Economic Value and Planning Factors of Hubs within Urban Green Infrastruc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Sejong Lake Park -)

  • 이동규;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1-54
    • /
    • 2021
  •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Hubs)에 해당되는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한 가치추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 요소 도출을 통하여 도시공원에 대한 가치 향상 및 계획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목적은 첫째, 경제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고, 둘째,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인 도시공원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며, 셋째, 이러한 가치의 향상을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 중 세종시의 도시공원을 대표할 수 있는 세종호수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금액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05개의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세종호수공원 방문객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거주지, 연령이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이중양분선택형 질문의 응답 결과를 통계적 기법으로 변수화하여 로짓모형으로부터 도출된 계수를 활용한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1인당 평균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8,597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세종호수공원의 총 방문객 약 43만명 고려시 세종호수공원에서 연간 발생하는 이용적 가치는 약 37억 원으로 추정된다. 셋째,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결정에 미치는 계획 요소의 리커트 척도 평균값은 수변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불의사금액 10,000원에서는 편의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불의사액 5,000원 및 2,500원에서는 수변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 방문객들이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 중 도시지역에 위치한 핵심지역에 해당되는 공원에 대하여 이용적 가치와 도시공원의 가치평가 결과에 영향을 준 계획요소, 그리고 계획요소간의 상관성 분석에 대한 논문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경작지 내 소규모 습지 및 소하천의 경관생태적 개선방안 (Improvement of Small Wetland and Stream in Cultivated Area in point of Landscape Ecology)

  • 조현주;나정화;김진효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9권
    • /
    • pp.11-19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경관의 잔여경관요소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경작지 내 소규모 습지 및 소하천의 경관생태적 특성 및 가치분석을 토대로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고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7개의 공간에서 출현하고 있는 습지비오톱의 경관생태적 특성분석 결과, 일례로 사례지 5의 경우 수면의 크기가 $10,600m^2$로 비교적 넓게 형성되어 있었으며, 수변의 기울기, 띠숲의 폭, 식생조성상태 등에서 매우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굴곡성은 사례지 8-1에서 주요 돌출부의 수가 2개로 가장 높았으며, 형태적 다양성 역시 1.47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2) 습지비오톱의 문제점 분석 결과, 대부분의 습지들은 여과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초본 띠숲의 폭이 1m 내외로 조성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사례지 8에서 나타나고 있는 4곳의 습지들은 수변의 기울기가 $45^{\circ}$ 이상으로 사면식생이 생육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총 6개의 공간에서 출현하고 있는 소하천의 경관 생태적 특성분석 결과, 일례로 사례지 4의 경우 수변 폭은 55m로 가장 넓었으며, 흙, 돌, 자갈 등의 자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사례지 2-2의 경우 수변 폭은 4m로 가장 좁았으며, 사면의 경사각은 $90^{\circ}$로 직각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식생의 생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던 바, 생태적 가치는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소하천의 문제점 분석 결과, 사례지 2-1은 수변 띠숲의 폭이 5m 정도로 수변 폭에 비해 매우 좁았으며, 주변 경작지로부터 유해 화학물질이 여과없이 방류되고 있었다. 또한 사례지 2-2는 전구간이 콘크리트 포장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직선적인 하천구조로 인해 자연정화 능력, 홍수방지, 생물서식공간 확보의 측면에서 그 기능이 매우 미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이상과 같은 경관생태적 특성분석, 문제점 분석 결과를 토대로, 습지의 경우 크게 형상, 식생, 지형구 조적 측면에서, 소하천의 경우 크게 종단구조, 횡단구조적 측면에서 주요 개선방안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농촌지역의 대규모 개발사업, 농지정리사업 및 도로건설 등에서 야기되는 습지및 소하천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을 판단되며, 또한 이들의 추가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를 타 지역으로 확대 적용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한 객관화된 모형개발 및 검증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산시설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법 제도적 개선방안 - 수산종묘 생산시설, 인공어초와 방파제를 대상으로 - (The Legal Improvement to turn a Fishery Facility to Tourism Resources)

  • 이승우
    • 수산경영론집
    • /
    • 제38권3호
    • /
    • pp.25-51
    • /
    • 2007
  • Recently those who visit a fishing village is increasing. So the government's policymaker is interested in a tourism of fishing village. There are a lot of local governments that they turn it to good account to activate the fishing community. So they plan for the tourism facility in the fishing village and invest in it. The fishery facility can playa role in it. Nonetheless it is not playing a role in tourism facility. Though the breakwaters projecting far into the sea are good waterfront, most of them are not reflecting the function of it. And fishery facility producing seed is a good resource of eco-tourism, but it is yet a tourist potential. Although the artificial reef is going far toward promoting a fishery resource, it is seldom used as a tourism resource. The multiple functions of fishery facilities have to be improved to raise the investment effect of them. Especially the tourism function has to be added on their basic function. The multiple functions of fishery facilities is necessary to satisfy tourist's needs. In results, not only their value but also value of fishing village will be raised.

  • PDF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for Green Infrastructure Activation around Dam in Terms of Sustainability)

  • 이동규;손병훈;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3-94
    • /
    • 2023
  • 본 연구는 다목적댐, 용수댐, 홍수조절지댐 등 39개 댐 주변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공간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조성된 댐 그린인프라에 대한 리커트(Likert) 척도 5점 기준 만족도는 3.76으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성별, 나이, 거주지, 댐 방문 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성별의 경우 p<.05, 나이, 거주지, 댐 방문횟수,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은 p<.01로 나타났다. 이러한 응답자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댐 방문횟수와 지속가능성 추구 필요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특성 변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댐 그린인프라의 주요 공간인 공도교, 전망공간, 놀이공간의 구상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전망공간이 4.43으로 가장 높았고, 놀이공간이 4.35, 공도교가 4.21로 분석되었다. 각 공간의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 p<.01로 나타나 값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현재의 그린인프라에 대한 만족도와의 차이는 p=.00으로 분석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를 통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 방안으로는 주요 방문객 대상을 40대~50대를 대상으로 니즈(needs) 파악 및 이를 고려한 공간 조성이 필요하며, 비교적 댐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충북, 전주, 울산 지역의 댐 주변 그린인프라 현황 분석을 통한 타 지역에 도입 가능한 시설,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간별 만족도 분석결과 댐의 구조와 형태를 고려한 포장 재료 선정, 호수의 전망을 고려한 전망시설 배치, 지역의 환경 자원을 활용한 놀이시설 등의 시설 도입 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댐 주변 그린인프라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며, 공간별 만족도에 대한 t-test 결과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시행이 필요한 공간을 전망공간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도시지역에 위치한 댐 주변지역의 그린인프라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측면을 고려한 공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며, 이에 대한 공간개선은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그린인프라 연결성 향상에 기여 가능하며, 이는 우리나라 그린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