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6초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and effective evaluation through instructional sand box play -Focusing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 이옥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53-365
    • /
    • 2019
  • 본 연구는 다양한 관계에서 위축되고 의사소통이나 표현의 어려움을 갖고 있는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양적분석 데이터 수집을 위해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를 통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점수를 비교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로 SPSS 18.0 Packag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질적 분석을 위해 회기 내 B아동의 언어적 변화를 자기표현척도에 위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5월까지 약 3개월간 총 12회기 개별 활동과 1회의 집단 활동, 1박2일의 가족캠프 활동으로 총 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의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양적으로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적 자아존중감 능력에서 z=-2,200으로서 p<.05보다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질적으로 아동 B의 회기별 언어적 표현이 회기가 진행될수록 긍정적 표현이 증가하고, 부정적 표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엇보다도 주제를 제시하는 지시적 개별 모래 상자의 접근방법과 더불어 가장 안정적 환경인 아동의 집으로 방문하는 과정이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증가시키는 효과성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내담자 특성에 따라 지시적 접근방법을 통한 이동형 개별적 모래상자 프로그램으로 가는 전초적인 기본 틀이 마련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Environmen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55-161
    • /
    • 2017
  • Recently,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crease, the proportion of various types of families and middle-admitted youths is increasing. These youths are less educated than their domestic counterparts, and their conversation time with their family members is relatively wea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education and socialization. Immigration background among middle-admitted adolescents, children arrived in korea regardless of their will, with socialization already in the country where they were born, it is a reality that various difficulties are experienced in the socialization of korea society about language, education, emotion and employment. For this reason, some of the migrant background youths are pointed out as a big problem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which is 18% of the 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classes, which are not educated and are not willing to find jobs or employ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problems of middle-admit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s the number of middle-admitted adolescents increased, and suggested the necessary ways for them to achieve rapid socialization and settlement in korea societ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problem of education of middle-admitted children as a discriminative approach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support method for middle-admitted children presented in previous reaearch, since then, we have presented an alternative to carry out realistic, systematic and successful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entered on the middle-admitted youths of Gwangju city.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성공적인 결혼적응 (Successful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ies)

  • 정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37-3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이 경험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7명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들은 '준비 안 된 결혼'으로 인해 '결혼생활 후회'까지 경험하지만 '자녀양육', '가사참여' 그리고 '친구 및 직장동료 인정'이 중재적 조건으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복지 정책적으로는 예비배우자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화, 근로기준법과 육아휴직제 준수, 방문지도사제도 확충, 남편을 위한 안내서 제작과 출입국관리사무소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그리고 각 주민자치센터 비치배포,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속적 사회인식개선 제안과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으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국내결혼 부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 시부모와 가족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남편들의 가사참여증대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남편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Adolescent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Compared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85-695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실천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5차 한국아동 청소년 패녈 데이터를 통해 초등학교 5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 4,092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이 중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과 중학생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은 어머니의 학력, 삶의 만족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학업성적, 지역사회인식, 문화적 활동경험, 해외방문경험이 발견되었으나, 중학생의 경우에는 가족 및 단체여행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중학생들에게는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또래관계 증진 등의 그룹프로그램에 다문화이해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에게는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활동중심의 비교과 프로그램, 다문화 강사 등을 통한 다문화이해교육 및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을 교과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공동육아나눔터에 관한 사례연구: 인천소재 공동육아나눔터의 물리적 실내공간환경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Co-Child Care Sharing Space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Focus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Interior Space in Incheon)

  • 최재순;조정현;공은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263-278
    • /
    • 2016
  • Recently in South Korea, family-friendly living environment in resident communitie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in addressing problems created by personalized and fragmented family in urban areas. Since their foundation in 2005,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rovided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for both parents and children through the Co-Child Care Sharing Programs. That being said, it is certain that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play a central role in making a family-friendly environment. This study surveye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o-child care sharing space and suggested further improvement. The content of this surve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child care sharing space in Incheon such as operation status, physical space, prepared facilities, and preference for facilitie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ield of two co-child sharing spaces (Bupyung-gu and Seo-gu) as an example ca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4 co-child sharing spaces of nin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Incheon investigated from July 2014 to October 2014. This study indicated three results: first, the size of the co-child care spaces, their composition and facilitie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center and requir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co-child sharing space in regards to physical space, composition, and facilities. Second, co-child sharing space should be provided with individual special programs and diversified activities in addition to playing activities. Third, man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operate over two co-child sharing spaces along with an out-located co-child sharing space that require mutual organizing and operational networking between each co-child sharing space to effectively share programs.

수요자 관점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실태 분석: 서울시 거주 결혼이민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Actual Condition for Developing A Married Immigrant Families Support Program from the Consumer' Viewpoint: Focused on Seoul Residing Married Immigrant Women)

  • 김양희;안진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ase line research, which is based on reques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for developing social adaptation and family enrichment program for those population who reside in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42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who reside in Seoul to research program participate satisfaction and requestion. Analyze the study result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Duncan-post test were utilized. As a result, overall satisfaction toward program that offered by organization was highly ranked. Visiting service showed high score of satisfaction but mentor service that strongly possess sacrifice showed lower score of satisfaction. Vocational and job-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presented less satisfied degree of satisfaction but cooking class, computer class, training education for native-speaking instructor present high level of satisfaction. Second, the requisition of target population, who did not participate program, presented lower than the satisfaction, still present high demand of variety area of program. Among them, assist child nurturing and vocational and job- related skill improvement education showed high demand. It enable to predict that they are eager to get support toward parent role and self-realization. Third, when the difference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subjective judgement toward life adaptation in Korea and the satisfaction for program user and the requisition of non-user,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ed; especially, individuals who possess confident degree of computer skills and Korean(reading, speaking, and listening)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to vocation and job-skill related improvement education.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which is based on the study results, on developing a program to support internat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o satisfactory settlement in Korea life and to maintain healthy families.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는 미래 가정과교육 분야의 평생교육 내용 제안: 가족생활교육으로서의 내용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Proposal of lifelong education contents in futur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reflecting social needs: Focus on the contents proposal as family life education)

  • 강남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33-246
    • /
    • 2018
  • Korean society is experiencing an increa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single households. The incidence of the MERS, epidemic in 2015, and the subsequent cases of child abuse have been major shocks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steady increase in household debt, that is in danger of causing a serious crisis in the stability of our society and the family. The current demand for increased accountability in the democratic process is becoming an important topic. There is also an increased awareness of natural disaster preparation due to local earthquakes that have caused concern. At this point, the lifelong education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field in Korea is in line with the changes and crises of various societies. Problems related to family life that have happened in the real life of learners stand in the place of the study with preventive character. It should provide the best alternative for family, home, and society, and help to overcome the problems of life. In order for lifelong education to respond to these social changes $vis-{\grave{a}}-vis$ Home Econom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formation and improvement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ducation of family relationship', 'cri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coping ability training', 'safety educa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es', 'consumer culture education', 'ethics education on environment and resources', 'sustainability education', 'local economic activation education', and other topics of lifelong education topics related to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required. Consequently, various related program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and disseminated.

이민자의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icipation Experience of Immigrants in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 최배영;한은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83-103
    • /
    • 2012
  • This thesis is based on an in-depth interview on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en immigrants who reside in 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at is located in Gyeonggi-do in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KII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rough it's basic data for improvement in the operation of KIIP in the future by grasping participation process in KIIP that the immigrants have experienced, problems involved in their operation, and related requirements. Major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 for the immigrants' participation in KIIP was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learn Korean, and prepare for their future in Korea. Second, as a difficulty in participation in KIIP, access to educational institutions loomed large. Third, regarding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KIIP, marriage immigrants needed to continu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as other immigrants revealed a demand for opening evening classes or weekend classes. In the final analysis, it seems that for KIIP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immigrants to have a vision for their life in the future, as well as for its realization in Korean society, policy-oriented institutional support that pays attention to their life situation and demands is badly needed.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박현옥;박경숙;권오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357-369
    • /
    • 2018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구조모형을 개발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바탕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 변수로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 결과는 ${\chi}^2=112$(p<.001), RMSEA=0.069, GFI=0.937, NFI=0.910, CFI=0.948 였다. 수정 모형의 검정결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2% 설명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를 29.3% 설명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5$), 지각된 건강상태(${\beta}=.20$), 지각된 장애성(${\beta}=-.26$), 지각된 유익성(${\beta}=.2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책에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계 결혼이주여성의 자녀 모어 교육에 관한 연구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or Children of Korean and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 이춘양;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67-3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계 결혼이주여성들이 자신의 모국어인 중국어를 자녀들에게 제2언어로 교육하지 못하는 원인을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한국 거주한지 10년 이상 된 중국인 결혼이주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자신의 모국어를 교육하지 못하는 요인은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자신이 한국 환경에 적응하기 바빠 어려서부터 자녀에게 모어 가르치는 것을 소홀히 하였다. 둘째, 자녀들이 한국에서 살아가야하기 때문에 중국어보다 한국어교육에 더 많이 신경 쓰고 있었다. 셋째, 어머니 나라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어머니의 모어를 배우려하지 않았다. 넷째, 한국인들의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당당하게 자신의 언어와 문화를 교육 시킬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들에게 모어를 가르쳐줄 수 있는 학습기회와 환경을 마련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