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Beef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1초

말레이시아 농산물 수출입 동향 (The Export-import Trend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Malaysia)

  • 김충수;이석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3권2호
    • /
    • pp.97-106
    • /
    • 2006
  •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sector of the Korea, the direction of market trends on agriculture of the Malaysia was reviewed. The most dominating agricultural area in value is palm oil products, and forest products, sea products poultry products and rubber products is in order. The cultivated area of highest two top plants, oil palm and rubber, was about 4.4 million hectares in 2005, but it is decreasing year by year. Comparatively, rice field, pine apple and fruits tree cultivating area is increasing in tendency by the year. Among all the agricultural products, those items such as pork meat, poultry, egg were self-sufficient, rice, fruits, vegetables and sea products were about 70 to 80% self-sufficient, and beef meat, goat meat and milk were below 20% self-sufficient. Most of the grains, such as wheat, rice, barley, corn etc. and their processed food were imported. Also, temperate fruits such as apple, pear, and water cultivated as well as sprouting vegetables are imported. Ornamental products as cutting flowers and orchids are exported to mainly to the Singapore, but high quality temperate fruits and vegetables are imported from Australia. Oil palm exportation covers the balance of the other items imported and obtaining the foreign money as well in Malaysia.

  • PDF

Molecular 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Different Sources by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 Kim Hwan Deuk;Lee Jae Youl;Suh Dong K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1-128
    • /
    • 2005
  • A total of 30L monocytogenes strains from different sources including 13 strains isolated from the foreign imported meat were genotyped in order to establish their genetic relatedness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foreign isolates. PFGE analysis of genomic DNA showed the $11\~16$ fragments ranging in size from 38 to 504 kb. Eleven different PFGE types $(1\~11)$ were identified in the dendrogram at $75\%$ similarity, and the two major PFGE types, type 1 and 2, contained $94\%$ of domestic isolates (16/17). All isolates from domestic beef and pork carcass were grouped in each different type, however, isolates from chicken were clustered together with those from pork and beef. We also found all foreign strains were unrelated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geographic criteria and that they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ose from the domestic isolates by PFGE pattern. The PFGE pattern of one isolate from chicken wing, which the chicken meat was found to be imported from foreign country, was closely related to that of isolate from the Thailand.

  • PDF

근내지방도가 높은 수입 등심육과 한우육의 육질특성 비교 (Meat Quality of Highly Marbled Imported Beef with Reference to Hanwoo Beef)

  • 황인호;박범영;조수현;김진형;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59-666
    • /
    • 2004
  • 본 연구는 근내지방도가 높은 냉장 수입육과 한우 1등급 및 3등급육의 육질 비교를 위해 실시하였다. 쇠고기 전문점에서 화우(Wagyu) 4두, 엥거스(Angus) 4두, 한우 1등급 4두와 한우 3등급 3두의 등심육을 구입하여 시료로 이용하였다. 화우, 엥거스, 한우 1등급과 3등급의 근애지방 함량은 각각 22‘ 8, 13 및 4%였고, 숙성기간은 31, 71, 14 및 14일 이였다. 한우 등급간 또는 수입욱간의 육질 차이는 없었다. 수입육은 한우보다 유의적으로(P<0.05) 낮은 전단력을 보였다. 하지만 관능평가의 연도와 다즙성에는 위 내가지 육질사이에 차이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한우가 향미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은 점수를 받아, 요리된 고기의 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축종, 사양방법, 숙성일 차이 중 어떤 요인이 본 실험결과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 하지만 이 결과는 높은 근내지방을 함유한 수입육 보다 한우고기가 더 우수한 관능 특성을 가졌다는 것을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판별력 분석에서 수입육과 한우육을 분별하는 지방산은 C18:0, C18:ln-7, C18:ln-9, C20:3n-6, C20:4n-6 and n-3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입육과 한우육에서 이 지방산들의 차이는 C18:0에서만 관찰되었다. 선별된 지방산들과 향미의 상호관계를 관찰하기 위해 주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C18:0(P<0.05)와 C18:ln-7(P<0.1)가 향미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우고기가 더 높은 근내지방을 함우한 냉장 수입육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낮은 양의 C18:0가 이와 관련된 후보 지방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우고기 차별화를 위해 본 결과가 축종, 사양방법 또는 도축 후 처리의 어떤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요구도된다.

식품소비행태조사를 이용한 수입산 돼지고기 섭취의향 결정요인 분석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Imported Pork Using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 오병무;오지혜;윤수민;조원주;서홍석;김선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2-170
    • /
    • 2024
  • The domestic swine industry is currently facing a threat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pork imports.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o consume imported pork and suggest measures to support the domestic pork industr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data from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using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a higher intention to consume imported pork is linked to a higher intention to consume imported rice, purchasing meat online, frequent purchases of HMR, and procuring U.S. beef, especially among urban residents. On the other hand, a lower intention to consume imported pork is associated with a higher awareness of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frequently dining out, and older ag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ponse measures for the domestic swine industry: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s, marketing, and advertising specifically targeting urban resident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distribution optimization; and developing policies to promote the use of domestic pork as an ingredient in processed foods.

품질기준설정을 위한 국내 시판 육포의 품질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Jerky from Korean Market for Establishment of Quality Parameters)

  • 박선현;심유신;정승원;이현성;김종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0-236
    • /
    • 2016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pork and beef jerky at a market in Korea. The amount of food additives, place of origin, meat content,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46 different jerky samples. Meat contents of pork and beef jerky were 75.2~94.0% and 80.0~95.6%, respectively. Food additives, including sodium nitrite, potassium sorbate, and sodium erythorbate were mainly used in jerky. Pork jerky was processed from domestic pork, and beef jerky was mostly processed from imported beef from the USA, Australia, or New Zealand. Pork jerky contained $23.82{\pm}5.74%$ moisture, $37.86{\pm}7.05%$ crude protein, $6.16{\pm}4.91%$ crude fat, and $4.6.87{\pm}1.76%$ crude ash. Beef jerky contained $26.64{\pm}5.21%$ moisture, $41.36{\pm}3.50%$ crude protein, $4.67{\pm}3.46%$ crude fat, and $7.21{\pm}1.91%$ crude ash. Water activity (Aw) of pork jerky was $0.73{\pm}0.09$ while that of beef jerky was $0.78{\pm}0.08$.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 to jerky was 7.1~36.0 mg/100 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meat type (p<0.05). Coliform,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not detected in pork or beef jerky, whereas yeast and molds were detected below $1.2{\times}10^1CFU/g$ in beef jerky samples.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와 선호도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Effects of Consumer Preference for Beef and Involvement in the Attributes of Beef Selectio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 김기진;변광인;정우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86-298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쇠고기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쇠고기 관여도, 쇠고기 구매 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 7월 11일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 대전, 대구 지역에 위치한 대형 할인 마트 2곳을 각각 선정하여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2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쇠고기를 구매할 때 안전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방의 양, 브랜드를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쇠고기 중 호주산쇠고기는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우 선호도와 호주산 쇠고기의 선호도는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쇠고기 선택 속성에 대한 저관여 집단이 고관여 집단보다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선택 속성에 대한 관여도가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산 쇠고기 선호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는 미국산 쇠고기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쇠고기 선택 속성의 관여도와 관련성이 있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로 나타났고, 저관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 여자가 남자보다 미국산 쇠고기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우고기와 뉴질랜드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and Imported New Zealand Beef)

  • 조수현;강근호;성필남;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지희;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35-943
    • /
    • 2011
  • 본 연구에서 거세한우(26-28개월) $1^+$, 1 등급육과 뉴질랜드산 냉장수입 육우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부위 모두 단백질 및 수분함량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대로 근내지방함량은 뉴질랜드산 채끝, 등심, 꾸리부위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과 홍두깨 부위의 $L^*$값(백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꾸리 부위의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전단력은 채끝, 등심, 홍두깨 부위에서는 원산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부위에서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전단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보다 4개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열감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C18:0 및 C18:3n3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16:1n7 및 C18:1n9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특히 C18:2n6 지방산은 한우고기 $1^+$ 등급육이 4개 부위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포화지방산(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n-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에서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함량은 채끝, 등심, 꾸리 및 홍두깨 부위 모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ystein, arginine과 proline 함량도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 비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채끝부위의 Ca 함량과 홍두깨 부위의 Zn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한우고기 1 등급육은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채끝과 꾸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육과 뉴질랜드산 수입흑우육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한우육은 근내지방과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흑우육은 한우육보다 유통경로상 냉장숙성기간이 더 길었으나 전단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등심, 채끝등심, 홍두깨 부위의 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고기는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근내지방함량이 높고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수입육 유통경로상 한우육보다 숙성기간이 더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단력 분석결과 등심, 채끝등심 및 홍두깨 부위의 연도에 있어서 한우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감량이 적어 한우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숙성효과 및 육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Effect of mixed hay supplementation during fattening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Utama, Dicky Tri;Choi, Ji Hye;Lee, Chang Woo;Park, Yeon Soo;Lee, Sung K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3호
    • /
    • pp.6.1-6.6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 to observe the effects of feeding mixed local hay (MH) consisted of 55% orchard grass (Dactylis glomerata L.), 35%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and 10%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to Hanwoo steer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longissimus thoracis) compared with feeding imported timothy hay (TH) and local rice straw (RS). Results: Although no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on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yield grade, the carcasses of MH group had higher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than those of RS and TH group (P < 0.05). Therefore, higher fat content (P < 0.001), lower shear force and hardness value in the beef of MH group than that of other groups were observed. Furthermore, the beef of MH group had higher CIE $a^*$ value (redness) than that of other groups and feeding MH to Hanwoo steers lowered n-6 to n-3 fatty acids ratio in beef. Conclusions: Mixed hay provided benefits on meat quality and could be used for Hanwoo fattening program.

A case study of CO2 emissions from beef and pork production in South Korea

  • Dawoon Jeong;Young Soon Kim;Soohyun Cho;Inho Hw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2호
    • /
    • pp.427-440
    • /
    • 2023
  • The current study evaluated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from beef and por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hains in the South Korean meat industry. Data from industrial example farms and slaughterhouses were assessed on the basis of both the guidelines from the United Kingdom's 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PAS) 2050:2011 and the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carbon footprint calculation. The main factors for our estimations were animal feeds, manure waste, transportation, energy and water, refrigerants, and package data. Our analyses show that 16.55 kg CO2 equivalent (eq) was emitted during the production of 1 kg of live cattle. When retail yields and packing processes were considered, the CO2-eq of 1 kg of packaged Hanwoo beef was 27.86 kg. As for pigs, emissions from 1 kg of live pigs and packaged pork meat were 2.62 and 12.75 kg CO2-eq, respectively. While we gathered data from only two farms and slaughterhouses and our findings can therefore not be extrapolated to all meats produced in the South Korean meat industry, they indicate that manure waste is the greatest factor affecting ultimate CO2 emissions of packaged meats.

수도권 주부를 중심으로 한 브랜드육에 대한 인식조사 (A Survey on Housewives' Perceptions of Branded Beef in a Metropolitan Area of Seoul Korea)

  • 김미현;이남혁;노정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6-101
    • /
    • 2007
  •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주부 150명을 대상으로 소고기 소비와 한우육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한우 고기를 선택한 이유는 맛/품질(56.5%)과 위생/안전(27.8%)으로 나타났으며, 한우 구입 장소는 정육점(42.3%), 백화점, 할인마트, 대형마트(28.1), 농협, 축협(19.9%)순으로 나타났다. 한우육의 구매 가격은 약 20,944원으로 1회 구입량은 1.4근으로 구입하고, 한우의 가격은 61.7% 소비자들이 ‘비싸다’라고 대답하였다. 한편, 수입육을 선택하는 이유는 가격이 ‘싸다’라고 78.0%가 응답하였으며, 구입은 할인점, 백화점(39.4%), 정육점(31.1%)순이었다. 한우 브랜드육에 관한 조사에서는 73.3%가 브랜드육을 들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나 브랜드육을 구입한 적은 4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구매하는 이유는 맛(40.0%), 위생(25.2%)으로 일반한우에 비하여 맛과 품질이 매우 좋거나 좋은 것은 51.1%로 '비슷하다'(22.4%) 또는 '잘 모르겠다'(29.9%)라고 응답하여 한우 브랜드육에 대한신뢰가 아직은 높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한우 브랜드육의 구입할 때 품질/맛(54.9%),위생/안전성(38.9%)을 중요하는 요건으로 꼽았으며, 가격은 일반한우보다 약 18% 차이가 나더라도 구입하겠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농산물의 수입화가 빠르게 진행되어져 가는 지금의 실태에서 우리나라 소비자에게 있어서 한우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고 구매가 선호되는 대상이라는 점은 무척 고무적인일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신토불이에 의거한 한우육 선호 인식만을 토대로 브랜드육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않는다면 브랜드육의 시장은 반드시 밝다고만은 할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브랜드육은 소비자의 요구에 발맞추어 향후의 방향을 진행하여 나아가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