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prognosis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진단기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fabricating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for skeletal class II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연이;홍성진;백장현;노관태;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4-373
    • /
    • 2019
  •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인 환자와는 달리 불안정한 교합을 가질 수 있으며, 무치악인 경우 총의치를 사용할 때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면서 의치의 움직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 치에서 attachment 종류는 크게 bar type과 solitary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적응증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용을 달리 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2급 악간관계를 가진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계획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더 적합한 attachment를 선택하고 임플란트의 위치 및 깊이를 미리 계획하여 계획한 위치에 식립하였다. 상악은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Effectiveness of ultra-wide implants in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posterior areas: a 5-year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So-Yeon Kim;Hyeong-Gi Kim;Pil-Young Yun;Young-K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9권1호
    • /
    • pp.13-20
    • /
    • 2023
  • Objectives: Ultra-wide implants may be used as a replacement if existing implants fa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and failure of ultra-wide implants. Patient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sex, age, site, diameter, length, additional surgery, implant stability (primary and secondary), and reason for ultra-wide implant placement affect the 5-year survival and success rates and marginal bone loss (MBL) of ultra-wide implants. Seventy-eight ultra-wide implants that were placed in 71 patients (39 males and 32 females) from 2008 to 2010 were studied. One-way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BL according to the patient's sex, implant site, and diameter.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BL analysis which was us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5-year success and survival rates related to the variable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ex, implantation site, diameter, and MBL.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implantability and MBL for implantation reasons, while additional surgery, length, and Kaplan-Meier analysis were used to evaluate 5-year survival and success rate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4.2 years with a survival rate of 92.3% and a success rate of 83.3% over a mean 97.8-month period of observation. MBL averaged 0.2 mm after one year of prosthetic function loading and 0.54 mm at the time of final observation. Success rates correlated with primary stability (P=0.045), survival rates correlated with secondary stability (P=0.036), and MBL did not correlate with any variables. Conclusion: Ultra-wide implants can be used to achieve secure initial fixation i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 regions with poor bone quality or for alternative purposes in cases of previous implant failure.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을 위한 임플란트 경부의 디자인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s in implant crestal module to preserve peri-implant tissue)

  • 김홍준;김지환;김성태;이재훈;박영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6-353
    • /
    • 2011
  • 연구 목적: 임플란트 식립 후 변연골 흡수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이 재구성되며, 이에 따라 치료의 예후 및 심미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임플란트 경부 주위 골조직 보존을 위한 임플란트 경부에 다양한 디자인이 연구되고 있다. 본 고찰의 목적은 초기 변연골 흡수의 원인과 이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의 연조직 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어떠한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이 임플란트 주위 조직의 보존에 유리한 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Pubmed database에서 임플란트 초기 변연골 흡수의 원인과 관련된 논문과 임플란트 경부의 여러 디자인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여 분석하였다.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은 one piece implant, two piece implant, internal hex abutment, external hex abutment, taper joint connection, butt joint connection, scalloped design abutment, platform switching concept에 관해 검토하였다. 결과: 초기의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대하여 one piece implant가 two piece implant보다 유리한 것으로 여러 임상적, 실험적 연구가 있다. Two piece implant에서는 internal hex abutment가 external hex abutment보다, taper joint connection가 butt joint connection보다 유리할 것으로 보여진다. Scalloped design abutment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latform switching concept은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임상적, 실험적으로 초기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대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임플란트 경부의 디자인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고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제한이 있지만 현재까지의 선행 연구들을 분석 종합해 보면 초기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을 고려한다면 가능한 경우 one piece implant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며, 보철적인 문제나 다른 이유로 인하여 two piece implant를 고려할 경우 platform switching concept, internal connection abutment, taper joint connection을 이용하는 것이 임플란트 주위 조직 보존에 좀더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골수염 치료로 인해 골결함이 있는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IARPD 수복 (Restoration of IARPD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bone defects due to osteomyelitis treatment)

  • 박세현;성한결;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59-369
    • /
    • 2021
  • 다수의 치아를 상실한 부분무치악 환자의 치료방법으로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가철성 국소의치가 주로 이용되며, 최근에는 골흡수가 심한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위해 임플란트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게 된다. 안면골 감염의 일종인 골수염으로 인한 악안면 구조의 상실은 저작, 연하, 발음과 같은 기능장애 및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유발하므로 상실된 조직회복을 위해 가철성 수복이 필요하고 지대치와 국소의치의 설계가 치료의 성공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가지는 IARPD는 좋은 예후를 보일 수 있다. 본 증례는 골수염 치료로 인해 골결함이 있는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IARPD 수복으로 의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임시수복을 통해 적절한 의치 설계와 교합양식을 부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양호한 예후를 기대할 수 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edentulous patient with fixed implant prosthesis)

  • 신희현;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47-156
    • /
    • 2021
  • 완전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은 통상적 총의치, 하이브리드 보철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등 다양한 치료 옵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가철성 수복과 비교해 최종적인 보철물의 형태를 고려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증례에서는 치아우식과 만성 치주염으로 전악 발거를 요하는 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수복을 진행하였다. 임플란트 식립 단계에서 최종 보철물 형태를 고려하여 제작된 수술용 가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하였으며 고정성 임시 수복물 단계에서 수정 및 재제작을 통해 기능과 심미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임시 수복물을 바탕으로 금속 도재관의 최종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나사 풀림 및 도재 파절 등의 합병증에 대처하기 위해 구치부의 경우 나사 유지형 보철물, 전치부는 나사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로 제작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최종 보철물 장착 후 기능적 심미적 측면에서 개선된 예후를 보였다.

The management of breast implant-associated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in the setting of pregnancy: seeking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Elia, Rossella;Maruccia, Michele;De Pascale, Aurelia;Di Napoli, Arianna;Ingravallo, Giuseppe;Giudice, Giusepp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373-377
    • /
    • 2021
  • Breast implant-associated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BIA-ALCL) is a recently described form of T-cell non-Hodgkin lymphoma now formally recogniz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lymphoid neoplasm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port the first case of BIA-ALCL diagnosed in a pregnant patient. It is well known that BIA-ALCL appears as an indolent lymphoma with a good prognosis when diag-nosed at early stages and clinical guidelines for its management have been clearly published. Nevertheless, they lack a standardized approach for BIA-ALCL during pregnancy. With limited experience in our case, treatment has been safely postponed after term without affecting patient's overall prognosis and without fetal complication. The fact that the disease was diagnosed at an early stage (stage I) undoubtedly influenced the course of treatmen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weighing the risks and benefits of treatment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order to ensure the best possible outcome for both the mother and her child and clinical update guidelines should be issued.

Combination syndrome 예방을 고려한 flexible IARPD 증례 (Flexible IARPD considering the prevention of combination syndrome: a case report)

  • 김소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47-353
    • /
    • 2022
  • 상악 완전 무치악과 하악 양측 후방 무치악 상태의 환자에서 전통적인 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은 흔히 볼수 있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이와 같은 구강내 환경에서는 복합증후군(Combination syndrome)이라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를 동반한 국소의치(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ARPD)의 적용으로 치조골 보존과 함께 Combination syndrome의 예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의 추가 식립 시 국소의치의 움직임에 의해 최후방 지대치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금속이 아닌 레진 클라스프를 계획하였고 flexible 의치 레진을 사용하였다. 상악 총의치, 하악 flexible IARPD를 계획하여 최소한의 비용과 수술로서 심미적, 기능적인 장기적 예후를 얻어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구치부 임플랜트 보철수복시 치관/치근비에 따른 응력 분포에 대한 유한 요소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MAXILLARY MOLAR IMPLANT UNDER DIFFERENT C/R RATIO)

  • 김진호;김형섭;최대균;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61-573
    • /
    • 2006
  • Statement of the problem: In cases of low bone level in maxilla followed by extraction due to severe periodontitis or enlarged maxillary sinus, crown-root ratio of implant prosthesis will increase. The prognosis of these cases is not good as expected. Purpose : The purpose is to compare stress distribution due to crown-root ratio and effect of splinting between two implants in maxillary molar area under different loads Material and methods: Using ITI($4.1{\times}10$ mm) implant. two finite element models were made(model S: two parallel implants, model A: one of two is 20 degree inclined). Each model was designed in different crown-root ratio(0.7:1, 1:1, 1.25:1) and set cement type gold crown to make it splinted or non-splinted clinical situations. After that, 300 N force was loaded to each model in four ways.(load 1 : middle of occlusal table, load 2 : middle of buccal cusp, load 3 : middle of lingual cusp, load 4 : horizontal load to middle of buccal cusp), and stress distribution was analyzed. Results: On all occasions, stress was concentrated on neck of implant near cortical bone. In the case of inclined implant, stress was increased compared with parallel implants. Under load 1, 2, 3, stress was not increased even when crown-root ratio increases, but under load 4, when crown-root ratio increases, stress also increased. And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under load 1 than load 2, 3. When crown-root ratio was same, stress under load 1, 2, 3 decreased when splinting, but under load 4, stress did not really decrease. Conclusion: Under vertical load, stress distribution related to crown-root ratio did not change. But under horizontal load, stress increased as crown-root ratio increases. Under vertical load, splinting decreased stress but under horizontal load, effect of splinting was decreased as condition of implant changes for the worse such as increase of crown-root ratio, inclined implant.

Clinical outcome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injured inferior alveolar nerve d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 Kim, Yoon-Tae;Pang, Kang-Mi;Jung, Hun-Jong;Kim, Soung-Min;Kim, Myung-Jin;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3호
    • /
    • pp.127-133
    • /
    • 2013
  • Objectives: Infererior alveolar nerve (IAN) damage may be one of the distressing complications occurring during implant placement. Because of nature of closed injury, a large proportion is approached non-invas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utcomes of conservative management of the injured nerve during dental implant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Sixty-four patients of implant related IAN injury, who were managed by medication or observation from January 1997 to March 2007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objective tests and subjective evaluation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gree of damage and duration of sensory disturbance recovery. Tests were performed on the day of the first visit and every two months afterward. Patient's initial symptoms, proximity of the implant to the IAN, time interval between implant surgery and the first visit to our clinic, and treatment after implant surgery we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affected the final outcomes. Results: Among the 64 patients, 23 had a chief complaint of sensory disturbance and others with dysesthesia. The mean time until first visit to our hospital after the injury was 10.9 months.One year after nerve injury, the sensation was improved in 9 patients, whereas not improved in 38 patients, even 4 patients experienced deterioration. Better prognosis was observed in the group of patients with early visits and with implants placed or managed not too close to the IAN. Conclusion: Nearly 70% of patients with IAN injury during implant placement showed no improvement in sensation or dysesthesia with the conservative management. Earlier decision for active treatment needs to be considered because of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of symptoms and unsatisfactory recovery.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임플란트의 길이와 위치가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ength and location of implants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진희;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86-194
    • /
    • 2015
  • 목적: 임플란트 위치와 길이가 하악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DERPD)와 연관된 임플란트의 응력 분포와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5, 36, 37이 소실된 시상절단면의 후방연장모형과 가철성 국소의치를 기본모형으로 사용했다. NX 9.0으로 7개의 모델을 디자인했다. 모델 A, B, C에서 각각 11, 6, 4 mm 길이의 임플란트가 #37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D, E, F에서 각각 11, 6, 4 mm의 임플란트가 #36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G는 임플란트가 없었다. 수직하중(250 N)을 #36의 중심와에 가했고, 유한요소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해 von Mises stress와 변위를 관찰했다. 결과: #37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6에 위치한 것과 비교시 주변골에 더 낮은 응력집중도를, #36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7에 위치한 것보다 더 적은 변위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후방부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전방부에서보다 더 이점을 가지며, 길이가 더 긴 임플란트의 사용은 응력분산을 위해서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