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ed maxillary canin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초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Forced Eruption in Impacted Maxillary Canines)

  • 한지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2-413
    • /
    • 2022
  • 이 연구는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과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견인 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2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상악 견치의 매복으로 진단받아 외과적, 교정적 개입을 통한 견인 치료를 시행 받고 상악 매복 견치의 맹출까지 치료받은 만 8세 이상 만 18세 이하 환자 73명(93개의 상악 매복 견치)의 의무기록지와 방사선학적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합평면에서 상악 매복 견치 교두정까지의 거리, 근-원심과 협-구개 위치, 환자의 나이 그리고 급속구개확장장치의 사용 유무는 견인 치료기간을 예측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이었으며, 매복 견치의 치축이 교합평면과 이루는 각과 편측성/양측성 매복 양상은 견인 기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견치의 낮은 매복 깊이, 견치 교두정의 근-원심 위치가 측절치 또는 견치 영역, 협-구개 위치가 협측 또는 중앙에 위치하고, 치료시작 시 환자의 어린 나이 그리고 구개 확장 장치의 사용이 상악 매복 견치의 견인 기간을 짧게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미맹출 견치의 특발성 근심 이동 (IDIOPATHIC MESIAL MOVEMENT OF IMPACTED MAXILLARY CANINE)

  • 최아미;송제선;이제호;최형준;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1-47
    • /
    • 2013
  • 상악 견치는 이소 맹출이나 매복이 빈번히 관찰되는 치아로, 그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했을 때에, 자연 개선 가능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체계적인 대처라 함은, 일단 주기적으로 관찰 하다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견치의 정상적인 맹출 시기에 인접하여 유견치를 발치해서 다시 한번 자연 개선을 기다려보는 것인데, 이 때 추가적으로 공간 유지 장치나 부차적인 개창술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단, 너무 어린 나이에 유견치를 발치하면, 발치와가 단단한 경조직으로 채워지며 오히려 맹출 경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정상 맹출 시기의 약 6개월 전 정도에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렇게 해도 자연 개선 되지 않는다면, 가급적 견치의 치근이 완성되기 전에, 외과적으로 버튼을 접착하고 올바른 위치로 교정적 견인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환자가 늦게 내원했거나, 적극적 치료가 늦어 이미 위치가 심하게 변위 됐거나, 인접한 절치의 치근 흡수가 진행된 경우, 외과적 발치술 혹은 향후 보철적 치료가 추가될 것이다. 본 증례는 매복된 상악 견치의 특발성 악화 현상을 관찰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과잉치를 동반한 상악 중절치 전위와 상악 견치 매복에서 자가이식에 의한 치험례 (AUTOTRANSPLANTATION OF TRANSPOSITION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MESIODENS AND IMPACTED MAXILLARY CANINE : A CASE REPORT)

  • 남동우;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27-733
    • /
    • 1997
  • Autotransplantation is a procedure which transplants teeth from the original position to other positions in the same individual. It is classified surgical reposition by intraalveolar autotransplantation and transalveolar autotransplantation. The prognosis for successful autotransplantation is dependent on a number of factors such as root development, surgical technique, patient's age, endodontic treatment, time and type of splinting, preserv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and storage medium.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preserv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The cause of the failure of transplantation include damage of the transplant during removal from deep palatal malposition, poor regeneration of the bone around the transplant and chronic periodontal infection. In case I, Impacted maxillary canine for which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was impossisle was transplanted. After 2 weeks, It showed periapical radiolucency and external root resorption. So, endodontic treatment was done. One year later, permanent filling was done with gutta percha. In case II, Transposition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transplanted after extraction of impacted mesiodens. Pulp vitality was maintained during 5 months without other clinical symptons.

  • PDF

자가 이식을 이용한 매복 견치의 치험례: 증례보고 (AUTOT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CASE REPORTS)

  • 고윤식;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5-440
    • /
    • 2011
  • 상악 견치의 매복은 소아치과 의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맹출장애이며, 이를 방치하였을 경우 인접치의 치근 흡수, 낭종 형성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치료는 간단한 유치 발치에서부터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중 자가 이식은 매복치아가 교정적 견인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거나 재위치 시키는데 실패했을 경우에 매복치아의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으며, 그 예후는 치근의 완성도, 환자연령, 외과적 술식, 근관치료 시기, 치아고정 기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두 증례들은 혼합치열기 말기에 상악 견치가 매복된 환자에서 그 매복 위치가 자발적인 맹출 유도나 교정적 견인 및 배열이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이며, 자가 이식 후 근관치료와 교정 치료를 시행하고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급속 구개확장을 이용한 상악 견치의 이소맹출 치료: 증례보고 (RAPID PALATAL EXPANSION FOR THE TREATMENT OF AN ECTOPICALLY ERUPTING MAXILLARY CANINE: CASE REPORTS)

  • 장수영;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3-481
    • /
    • 2010
  • 상악 견치 매복은 소아 청소년기 환자들에게서 흔하게 발견되는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구개측 매복이 순측 매복 보다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서양에서는 오히려 순측 매복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의 순측매복이 의심되는 8-10세의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급속 구개확장(rapid palatal expansion)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상악 측절치의 근원심 치근각도를 조절하여 매복 가능성이 있는 견치의 정상맹출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in low-risk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in mixed dentition

  • Sergio Estelita Barros;Bianca Heck;Kelly Chiqueto;Eduardo Ferreir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06-115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of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between low-risk patients with and without displaced canines. Methods: The normal canine position group consisted of 30 patients with 60 normally erupting canines ranked in sector I (age, 9.30 ± 0.94 years). The displaced canine group comprised 30 patients with 41 potentially impacted canines ranked in sectors II to IV (age, 9.46 ± 0.78 years). Maxillary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inclination, rotation, width, height, and shape, as well as palatal depth, arch length, width, and perimeter composed a set of clinical predictors, which were evaluated on digital dental casts. Statistical analyses consisted of group comparisons and variable correlations (p < 0.05).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x and mesially displaced canines. Unilateral canine displacement was more prevalent than bilateral displacement. The crow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s was significantly angulated more mesially and rotated mesiolabially in low-risk patients with displaced canines, who also had a shallower palate and shorter anterior dental arch length. Lateral incisor crown angulation and rotation, as well as palatal depth and arch length,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anine displacement severity. Conclusions: The null hypothesis was rejected. Maxillary lateral incisor angulation inconsistent with the "ugly duckling" stage as well as a shallow palate and short arch length are clinical predictors that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arly screening of ectopic canines in low-risk patients.

매복된 견치의 Tunnel을 통한 교정적 견인 (TUNNEL TRAC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전정훈;오유향;이난영;이상호;이창섭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39
    • /
    • 2005
  • 매복된 상악 견치를 위한 외과적 수술을 동반하는 교정치료는 주위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치열궁내에 적절히 위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매복된 치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외과적, 교정적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그 방법으로 window procedure, apically positioned flap, closed eruption technique, tunnel traction 등이 있다. 깊은 골연하 매복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closed eruption technique 그리고 tunnel traction이 있는데, closed eruption technique은 점막 및 치은 하방으로 지나는 견인 와이어의 자극으로 염증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치은퇴축 및 부착 치은의 소실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tunnel traction은 치아의 맹출이 터널을 통해서 유도되어 각화치은에 둘러싸인 채 치조골의 중앙으로 나오게 되므로 치은퇴축이나 치주부착의 소실 없이 적절한 각화치은을 얻을 수 있으며 매복치가 치조골의 중심부로 맹출함에 따라 생리적 맹출과 같은 효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깊은 매복을 보이는 상악 견치를 tunnel traction을 이용한 치료를 보고한 것으로, 적절한 방향을 가지고 맹출하였으며 치은퇴축이나 부착치은의 소실이 발생하지 않았다.

  • PDF

구개측으로 매복된 상악견치의 교정치료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Factors that influence treatment duration for patients with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정송화;조봉혜;김성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0-158
    • /
    • 2007
  •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와 인접구조물 간의 위치관계가 전체적인 교정치료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편측성 구개측 견치 매복으로 진단받고, 교정적인 견인을 하여 치료를 완료한 환자 36명의 초진 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체 치료기간의 평균인 21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장기치료군에 비해 단기치료군에서 인접 측절치의 치근에 견치의 치관이 겹치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치료기간을 예측하기 위한 중회귀분석에서 상악견치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교합면에 대한 수직거리를 나타내는 HCV (Height of the canine crown vertically)와 하악견치간폭경이 각각 0.142와 0.115의 예측상수$(r^2)$를 보였으며, 두 인자를 같이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0.208의 예측상수를 보였다. 나이에 따른 분류에서 치료기간, 상악 견치 치관에서 치조정까지의 수직거리(HCV), 중절치 정중선에 대한 견치의 각도가 초기 영구치열기까지는 점진적으로 감소를 하다가 완성 영구치열기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개측으로 매복된 견치의 견인을 시행할 때에는 초기 영구치열기에 견치의 치관첨이 교합면에 가깝고 직립이 되어 있을 경우에 전체 교정치료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매복된 상악 견치에 의한 전치의 치근 흡수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Analysis of Incisor Root Resorption Associated with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정서현;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3-214
    • /
    • 2018
  • 상악 견치가 매복 시에 종종 인접 전치 치근의 치근흡수가 나타난다. 심각한 전치의 치근 흡수는 치아의 장기적인 예후를 불량하게 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상악 견치에 의한 전치의 치근 흡수를 관찰하고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상악 견치 매복을 가진 65명의 어린이로 총 88개의 치아에 대해 65개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악 견치의 치근 발달 정도와 치근단공의 폐쇄 및 치관의 근원심적인 위치가 중절치의 치근흡수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였다. 측절치의 치근 흡수 여부는 환아의 성별, 나이, 상악 견치의 협설 위치, 수직적 위치에 영향을 받았다. 상악 견치 치배의 확장은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근 흡수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어, 치배의 확장이 치근 흡수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견치의 매복 시에 전치의 치근 흡수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

Panoramic radiological study to identify locally displaced maxillary canines in Bangladeshi population

  • Alif, Sheikh Mohammad;Haque, Sejuty;Nimmi, Naima;Ashraf, Ali;Khan, Saeed Hossain;Khan, Mahfujul Haq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1권4호
    • /
    • pp.155-159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axillary canine impaction on a basis of a single panoramic radiograph in Bangladeshi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 A random sample of seven hundred panoramic radiographs was collected from the patient record of a dental clinic. All the selected panoramic radiographs were taken from January 2009 to August 2010 by a single panoramic radiograph machine with the same exposure time (19 seconds) for all radiographs. One hundred and twenty panoramic radiographs were excluded to minimize the selection bias. In a dim lit room, an observer assessed the radiographs on a standard radiographic light box. The position of the impacted maxillary canine was recorded in line with the longitudinal axis of a tooth using the edge of a metal ruler. Data were subsequently put on SPSS 11.5 software and chi-square (${\chi}^2$) tests were applie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Results : Among 580 panoramic radiographs it was found that impacted maxillary canines were present in only 7 (1.2%) radiographs. A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age of the patients and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impacted canines (p=0.000) and between the age of the patients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impacted canines (p=0.003). Conclusion : The prevalence was found to be low compared with the present study from the limitation of panoramic image. Further study needs to include three-dimensional imaging mod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