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radiometric Assay(IRM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5초

면역방사 계수측정법 (Immunoradiometric, Assay)에 의한 혈청 TSH 측정의 기본적 검토 및 임상적 의의 (Basic Evaluation of Analyt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Utility of Immunoradiometric TSH Assay)

  • 서교일;조보연;이홍규;고창순;민헌기;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3-150
    • /
    • 1987
  • To assess the analytic performance of immunoradiometric TSH assay (IRMA TSH), assay precision determined by intra and interassay variance, assay accuracy determined by dilution and recovery study, were evaluated by using two commercial kit $(Abott^{(R)}\;and\;Daichi^{(R)})$. Normal range of basal serum TSH and TRH stimulated TSH increment were also determined in 234 healthy subjects (male 110, female 124; age 20-70) and 30 voluteers (male 10, female 20; age 21-26). In addition, basal TSH levels of 70 patients with untreated hyperthyroidism, 50 untreated hypothyroidism, and 60 euthyroidism were measured to assess the clinical utility of IRMA TSH. The detection limit of IRMA TSH was 0.04 mU/l and 0.08 mU/l by Abott Kit and Daichi kit respectively. Using Abott kit, intra assay variance were 2.0, 3.1 and 1.4% in mean TSH concentration 2.4, 31.6 and 98.2 mU/l repectively and interassay variance were 2.0 and 3.2% in mean TSH concentration 2.3 and 31.3 mU/l. Mean recovery rate was 92.5% and dilution study showed nearly straight line. When Daichi kit was used, intrasssay variance were 5.6, 5.2 and 6.2% in mean TSH concentration of 2.4, 31.6 and 98.2 mU/l respectively and interassay variance were 7.1 and 7.4% in mean TSH of 2.3 and 31.3 mU/l. Mean recoveray rate was 89.9%. Normal range of basal TSH and TRH stimulated peak TSH were 0.38-4.02 mU/l and 2.85-30.8 mU/l repectively (95% confidence interval, Abott kit used).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basal TSH levels for diagnosing hypothyroidism as well as specificity for diagnosing hyperthyroidism were 100% by using both kit. Sensitivity of basal TSH level for diagnosing hyperthyroidism was 100% when TSH levels were measured by Abott kit while that was 80.9% when measured by Daichi k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MA TSH was very precise and accurate method and might be used as a first line test in the evaluation of thyroid function.

  • PDF

사람 혈청 트란스페린수용체의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방사면역측정과 철영양상태의 진단 (Immunoradiometric Assay using Monoclonal Antibody Against Human Serum Transferrin Receptor for Diagnosis of Iron Deficiency)

  • 김승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9호
    • /
    • pp.971-980
    • /
    • 1996
  • The soluble transferrin receptor(TfR) in human serum has been shown recently to be a truncated form of intact membrane bound receptor containing most of the extracellular domain. We purfied the transferin-free TfR from human serum by immounoaffinity chromatography which produced the single protein identity in high resolution gel chormatography. The monoclonal antibodies(MAb) against purifed serum TfR were produced by fusion of spleen cells o fimmunized Balb/c mice and SP2 cells. Ten hybrids producing MAb specific for serum TfR were identifed and determine their iostypes. A immunoraddiometric assay (IRMA) for serum TfR was established using two monoclonal IgG1 antibodies as the coating and indicator antibodies on the bosis of their suitability in sandwich IRMA of serum TfR. The mean serum TfR levels in the 15 normal male, 15 normal female, and 19 iron-deficient subjects were 5.4$\pm$0.98, 4.6$\pm$0/76, and 18.0$\pm$12.8mg/1,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in mean values between normal and iron deficient subjects was significant(p=0.0005). There existed the inverse logarithmic relationship(r=-0.9336, p<0.0001) between the serum TfR and ferritin levels.

  • PDF

Alpha-fetoprotein 측정용 국산 방사면역측정법 시약의 평가 (The Evaluation of Domestic Immunoradiometric Assay Kit for Alpha-fetoprotein)

  • 원경숙;류진숙;문대혁;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3-359
    • /
    • 2000
  • 목적: 최근 국내에서 방사면역측정법용 ${\alpha}$-FP 검사시약(Riakey AFP IRMA $CT^R$, Sin-Jin Medics, Seoul, Korea)이 개발되어 그 성능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검사방법은 시약 내 설명서의 권고사항을 준수하여 실시하였으며, 정밀도, 회수율, 평행성, 민감도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다른 상업용 방사면역측정법용 a-FP 검사시약에 의한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측정 내 정밀도는 세 준위의 혈청을 각각 10개의 튜브에 분주한 후 한 배치에서 검사하였는데, 평균 18.9 ng/ml에서 변이계수 5.3%, 평균 133 ng/ml에서 3.4%, 평균 332 ng/ml에서 변이계수 1.6%였다. 측정간 정밀도는 세 준위의 혈청을 하루 간격으로 5회 측정하여, 평균 20.9 ng/ml에서 변이계수 9.7%, 평균 137 ng/ml에서 3.2%, 평균 330 ng/ml에서 변이계수 4.1%였다. 회수율은 저, 중, 고 세 가지 농도의 혈청에 각각 시약 내 표준용액 10, 70, 250 ng/ml을 1:1로 섞은 후 검사하여, 17.6 ng/ml에서 각각 102%, 105%, 101%, 105 ng/ml에서 각각 103%, 95%, 105%였고, 245 ng/ml에서 각각 97.3%, 92.1%, 98.6%이었다. 평행성 검사는 세 개의 고농도 검체를 각각 2, 4, 8, 10, 20, 100 배 희석하여 한번에 검사하였으며, 평행성 검사에서 계산한 수식은 각각 y=0.98x-10.3, y=0.99x-8.32, y=0.98x-11.3이었다. 민감도는 측정가능한 최소농도가 0.63 ng/ml이었다. 175명의 환자검체의 측정결과를 다른 시약들로 측정한 것과 비교하였을 때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98). 결론: 이상의 결과로 ${\alpha}$-FP 검사시약인 Riakey AFP IRMA $CT^R$은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시약으로 판단된다.

  • PDF

면역방사계수측정법의 민감도 향상을 위한 변법의 평가 (Evaluation of Variation Method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Immunoradiometric Assay)

  • 권원현;강미지;김나경;박지솔;김정인;이경재
    • 핵의학기술
    • /
    • 제27권1호
    • /
    • pp.29-35
    • /
    • 2023
  • Purpose The concentration of PSA (Prostate Specific Antigen) after radical prostatectomy in prostate cancer patients is a predictor of biochemical recurrence, and the AUA (American Urological Association) is defined as biochemical recurrence when the concentration of PSA is measured at 0.2 ng/mL or more, 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measured at 0.2 ng/mL or more at the retest. This standard is also applied our hospital. In this laboratory, the PSA reagent using IRMA (Immunoradiometric Assay) is used, and the sensitivity at a very low value was not as good as the reagent used in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sensitivity of very low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As a reagent for the study, PSA reagent using IRMA was used. As a method to improve the precision and sensitivity of very low values, a variation method on the serum volume(25 uL, 50 uL, 100 uL, 200 uL) was studied, and variation usefulness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evaluation item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precision, analytical sensitivity, recovery rate, dilution test, high-dose hook effect test, parallel test and very low concentration values(n = 20). Results The validation results were displayed in the order of 25 uL, 50 uL, 100 uL, 200 uL. As the serum volume increased, it was confirmed that CV (Coefficient of Variation)(%) improved. Analytical sensitivity(ng/mL) was 0.038, 0.041, 0.017, 0.015 and recovery rate(%) was 101±3, 101±3, 99±2, 97±4. very low concentration values(ng/mL) between each volume(n=20) were 0.135±0.068, 0.076±0.050, 0.048±0.034, 0.046±0.034. and high dose hook effect appeared as the serum volume increased. Conclusion Through the variation usefulness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serum volume increased, the precision and sensitivity improved at very low concentration valu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occurrence of high-dose hook effect as the serum volume increases. In the case of tests that requires very low concentration values, it is thought tha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will be increased if the variation method is properly used after the variation usefulness evaluation.

  • PDF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환자에서 HBeAg 및 HBV DNA 검출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HBeAg and HBV DNA Detection in Hepatitis B Patients Treated with Antiviral Therapy)

  • 천준홍;채홍주;박미선;임수연;유선희;이선호
    • 핵의학기술
    • /
    • 제23권1호
    • /
    • pp.35-39
    • /
    • 2019
  • [목적]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감염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며 만성간염, 간 경변,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B형 간염바이러스의 혈청학적 검사는 필수적이다. 항 바이러스 치료중인 B형 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방사계수 측정법(IRMA; Immunoradiometric assay)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분석법(CMI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al Immunoassay)을 이용하여 HBe-Ag 검사를 시행하였고,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이용하여 혈청 내 HBV DNA 검출율 을 비교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항 바이러스 치료가 시행중인 B형 간염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HBeAg 혈청 검사와 HBV DNA 정량 검사를 실시하였다. HBeAg 혈청 검사는 검출 원리가 다른 두 가지 혈청학적 검사법(IRMA, CMIA)을 적용 하였고, 혈청 내 HBV DNA는 Abbott m2000 System을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Realtime-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정량 측정 하였다. [결과] HBeAg 검출율은 면역방사계수법(IRMA)의 경우 24.1% (65/205),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에서는 82.2% (222/48)의 결과를 보였다. 혈청학적 검사방법(IRMA, CMIA)에 따른 HBeAg 검사결과의 일치율은 33% (89/270)이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이용한 혈청 내 HBV DNA의 검출율은 29.3% (79/191)를 보였고, 혈청 내 HBV-DNA 농도는 $16IU/mL{\times}1.0{\times}10^9IU/mL$ 이며 검출한계는 <15IU/mL 이다. 면역방사계수법(IRMA)으로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55.4%, 그리고 음성일때 20.9%의 HBV DNA 검출율과 $1.1{\times}10^8IU/mL$, $5.7{\times}10^5IU/mL$의 혈청내 HBV DNA농도를 나타냈다. 이에 반해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CMIA)의 경우 HBeAg 검출결과가 양성일때 HBV DNA 검출율은 28.4%, 음성일때 33.3%의 결과를 나타냈으며 혈청 내 HBV DNA농도는 $6.0{\times}10^7IU/mL$, $2.4{\times}10^5IU/mL$ 이었다. 면역방사계수법과 화학발광 미세입자 면역 분석법에서 동일하게 HBeAg 검출 결과가 양성인 경우 HBV DNA 검출율은 62.3%의 결과를 보였으며, 혈청 내 HBV DNA 농도는 $1.1{\times}10^8IU/mL$ 이다. [결론] 혈청학적 검사법에 따른 HeAg 검출율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검사kit에 사용된 Ab의 특성과 epitope, HBV의 genotype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각된다. 혈청학적 검사 결과로 분류 된 그룹별 HBV DNA의 검출율과 농도를 비교한 결과, Group II(IRMA 양성, CMIA 양성, N=53)에서 높은 검출율과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 측정을 위한 방사면역측정법 (Radioimmunoassay for Determination of Serum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 이태섭;신석환;송지인;우광선;정위섭;최창운;임상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32-539
    • /
    • 2004
  • 목적: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는 많은 감염성 질환에 의한 패혈증의 병인론과 숙주의 염증 및 면역 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은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혈중에서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를 측정할 수 있는 방사면역측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사람 대식세포 유주저지 인자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포획항체로, 비오틴화된 다클론항체를 검출 항체로 사용하였다.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인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스트렙타비딘에 $^{125}I$를 방사성추적자로 사용하고 재조합 사람 대식세포 유주저지인자를 이용하여 표준투여 응답곡선을 작성하였다. 스트렙타비딘에 $^{125}I$의 표지는 Chloramine-T법을 사용하고, 분리정제는 한외여과법을 사용하였다. $^{125}I$-스트렙타비딘의 안정성을 60일까지 평가하였다. 표지수율과 안정성은 ITLC법을 사용하였다. 방사면역측정법의 유용성은 intra- 와 inter-assay의 변이계수 측정, 재현도 및 희석 실험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125}I$-스트렙타비딘의 표지수율은 88%이었으며, 분리 정제된 $^{125}I$-SA의 방사화학적 수율은 99%였다. $^{125}I$-스트렙타비딘는 60일까지 93%의 안정성을 나타내어 방사면역측정의 방사성추적자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였다. 작성된 표준투여 응답곡선에서 재조합 사람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농도와 결합된 $^{125}I$-스트렙타비딘의 방사능 값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0.99$). 가장 높은 intra-와 inter-assay의 변이계수 간이 각각 5.5%와 7.6%로 나타났다. 시료 내에서 평균 recovery 측정값은 102%였다. 시료의 농도 희석에 따른 방사능의 측정치는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2=0.97$). 결론: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농도 측정을 위하여 방사성추적자로 $^{125}I$-스트렙타비딘를 이용한 방사면역측정법을 확립하였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가진 임상환자에서 대식세포 유주 저지 인자의 혈중 농도와 임상적 의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RMA 검사법 중 알고리즘 변경에 따른 장비 간 결과값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The results of IRMA Test among Different Equipment According to Algorithm change.)

  • 김정인;권원현;이경재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43-50
    • /
    • 2019
  • 목적: 분당서울대병원 검체 검사실에서는 노후화된 전자동방사면역측정기의 교체로 인하여 새로운 자동화 장비가 도입이 되어, 검사원리가 IRMA법인 Insulin 검사로 장비 간 비교실험을 하게 되었다. 실험결과 장비간에 동일한 알고리즘인 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저농도값에서 현저한 값 차이를 보였다. 이에 실험실내 보유중인 SR300, Gamma 10, Gamma Pro, Cobra 감마카운터 각각의 장비에 2가지의 알고리즘을 다르게 적용시켰을 때 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검사원리가 IRMA법인 검사법 중 주로 자동화 장비에 검사가 시행 되고 있는 TSH, Ferritin, C-peptide, Insulin 4종목을 각각 10검체씩 저, 중, 고농도 값으로 선별하여 총 30개씩 동일한 검사항목에 대해서 SR300, Gamma 10, Gamma Pro, Cobra 카운터 장비에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으로 적용했을 때의 결과 값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결과: TSH, Ferritin, C-Peptide, Insulin 항목의 결과값에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을 다르게 적용시켜 장비간 상관성 검사를 시행한 결과 결정계수 $R^2$ 값은 0.9이상으로 모든 장비에서 상관성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 검증결과 장비간 비교에서는 TSH를 제외하고 Ferritin, C-Peptide, Insulin 항목은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 간의 결과값 비교에서는 TSH, ferritin, insulin을 제외하고 C-peptide 항목만 P값의 유의성이 0.03으로 보간법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sulin 낮은 값 영역에서 장비간 비교한 결과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Gamma Pro, Gamma 10, Cobra, SR300 카운터 장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선형 보간법과 스플라인 보간법 간의 결과값 비교에서도 P값의 유의성이 0.001 미만으로 보간법간에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 검사원리가 IRMA법이면서 linear 보간법인 검사결과를 살펴보면 장비마다 Curve Fitting 방식 차이에 따라 Standard 0값을 설정해주는 기대치와 실측치의 값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서 저농도 결과값에 영향을 미치고 장비 간에 차이가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체간안정화 운동이 측만증 환자의 폐기능과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rmone and Pulmonary Function in the Scoliosis Patients after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 이우형;이윤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3-7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scoliosis angle, pulmonary function, and growth hormones. Method: In the study, 3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scoliosis exercise group (n=15) and an obese scoliosis exercise group (n=15). The participants performed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he exercise sessions lasted 50 minutes. The participants' pulmonary function [FVC, FEV1, FEV1/FVC, and PEF] was measured using a CardioTouch 3000S, and their scoliosis angles were measured using the Cobb's angle. The levels of growth hormone (GH)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were analyzed on an immunoradiometric assay (IRMA) and radioimmunoassay (RIA), respectively.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scoliosis angle, hormone levels, and pulmonary fun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05). The result of the intergroup difference test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items (scoliosis angle, hormone levels, and pulmonary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refore, this program may be recommended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scoliosis.

전혈에서 시간과 온도에 따른 Adrenocorticotropic Hormone의 안정성 평가 (Preanalytical Stability of Adrenocorticotropic Hormone Depends on Time to Centrifugation)

  • 신선영;이현주;민경선;이호영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116-119
    • /
    • 2009
  • 목적: 호르몬검사에서 채혈 후, 신속한 혈장분리의 과정은 검사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혈중의 Adreno Corticotropic Hormone (ACTH)은 단백질의 분해에 의해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ACTH검사에서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tube의 온도가 환자 결과에 미치는 영향과 전혈에서 시간과 온도에 따른 ACTH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전체 22명의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냉장상태의 EDTA tube와 실온상태의 EDTA tube에 채혈한 후(n=18), 즉시 원심분리하여 두 그룹 간의 ACTH 결과를 비교하였다. 전혈상태의 EDTA 검체를 일정량을 나누어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n=11), 4시간(n=11), 24시간(n=7), 냉장에서 24시간(n=7) 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ACTH 농도를 측정하였다. 냉장 EDTA에 채혈 후 즉시 원심분리된 검체의 ACTH 결과와 실온에서 2시간, 4시간 방치된 검체의 ACTH결과를 비교하였고, 냉장에서 24시간 방치된 결과와 실온에서 24시간 방치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온상태의 EDTA tube에 채혈한 ACTH 결과가 냉장상태의 EDTA tube에 채혈한 결과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8). 채혈 후 즉시 원심분리된 ACTH 결과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방치된 결과가 유의하게 낮았고 (p<0.001), 실온 2시간과 실온 4시간 사이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p=0.907). 24시간 동안 방치된 결과를 보면, 실온보관과 냉장보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다(p=0.474). 결론: ACTH 검사 시에는 냉장고에 넣어둔 EDTA tube의 사용이 권장되며, 채혈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될 경우 결과가 유의하게 감소되므로, 신속한 원심분리가 요구된다.

  • PDF

성장호르몬 결핍증 진단에 있어서 혈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농도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iagnostic utility of serum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n growth hormone deficiency)

  • 지근하;이정녀;정우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29-1335
    • /
    • 2008
  • 목 적: 저자들은 한국 소아발육 표준치를 이용하여 25-50백분위수에 속하는 정상대조군 환자들의 혈중 I형 인슐린 양 성장인자(IGF-I)와 인슐린 양 성장인자 결합단백-3 (IGFBP-3) 농도의 SD치를 이용하여, 성장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검색검사로서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아 31명, 정상대조군 230명(남아 129명, 여아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장호르몬 결핍증 환자는 완전 결핍증 14명(남아 12명, 여아 2명), 부분 결핍증 17명(남아 9명, 여아 8명) 이었다. 연령분포는 7세에서 15세 사이였다. IGF-I은 RIA 방법으로, IGFBP-3는 IRM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ROC 분석을 통해 얻어진 가장 가능성이 높은 절단치는 정상대조군에서 얻어진 혈중 농도의 -1 표준 편차에 해당하는 값과 유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정상키를 가진 대조군의 혈중 IGF-I 농도의 -1 표준편차 값을 기준 절단치로 잡아 7-9세군, 10-12세군, 13-14세군 각각에서의 성장호르몬 결핍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계산하였을 때 민감도는 87.5-100%였고 특이도는 80-84.6%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혈중 IGFBP-3는 민감도는 58.7-85.7%로 다소 차이가 많았고 특이도는 79.2-85.5%로 유사하였다. 전체 연령군을 대상으로 한 혈중 IGF-I의 진단적 정확도는 완전결핍 군에서 78.5%, 불완전결핍 군에서는 94.1%였다. 혈중 IGFBP-3의 진단적 정확도는 완전결핍 군에서 83.3%, 불완전결핍 군에서는 76.5%였다. 결 론: 성장호르몬 결핍증을 진단하기 위해서 외래에서 시행하는 일회성 검색검사로 혈중 IGF-I 및 IGFBP-3농도의 측정은 신체계측, 방사선학적 검사법등과 함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절단치를 대조군으로부터 얻어진 혈중 평균농도치의 -1 표준 편차 값으로 잡았을 때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