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jin War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시대 고문서(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An Analysis of Papers used in Historical Manuscrips)

  • 손계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9-105
    • /
    • 2005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존하는 종이 실물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시대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의 상태와 변화를 실질적으로 관찰해 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문중에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1,504건으로, 그 종류는 17종 23항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종이의 발형태(발초 발끈의 형태), 밀도, 섬유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우선 발의 형태는 발초수와 발끈폭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는데, 3cm내의 발초수는 크게 10개 내외의 경우와 17개 내외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17개 내외의 경우는 조선초기의 책지에서 보이는 발초수와 유사하나, 10개 내외의 경우는 그 사례가 드물다. 10개 내외의 발초수를 갖춘 것은 1933년 Dard Hunter의 조사에 보이는 억새발인 것으로 파악된다. 발초수를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조선전기에 비해 중기부터 말기로 갈수록 발초가 더욱 촘촘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발끈폭은 상당히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끈과 발끈 사이에 짧은 발끈이 있는 경우, 발끈이 이중으로 나타나는 경우, 발끈폭이 좁게 나타나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발끈폭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좁아지는 현상을 보이는데, 특히 1800년대 이후에 확연히 좁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밀도를 살펴보면, 문서종류마다 나타나는 평균밀도가 "탁지준절(度支準折)"에 기록된 종이 종류와 무관하지 않다. 종이 종류의 항목이 같은 문서는 서로 유사한 평균밀도를 보이며 초주지,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저주지의 순으로 밀도가 점점 낮아진다. 이외에도 같은 종류 문서의 밀도를 분석해 보면 당시에 문서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서지에 사용된 식물섬유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탁지준절"에서 구분한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초주지, 저주지를 사용한 각 문서지의 섬유를 관찰한 결과, 모두 같은 형태의 닥섬유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문서지 제조에 사용된 종이가 식물섬유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되었던 것이 아니라, 제작 가공방법 등의 차이로 구분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문서의 작성목적에 따라 종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하고, 시기에 따라서도 종이의 특징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책지(冊紙)와 문서지(文書紙)의 비교를 할 수 있고, 중국의 고대 종이와 조선시대 종이의 비교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당시의 종이 종류와 문서종류별 시대별 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영월하동 고씨동굴과 난고 김삿갓 시선의 문학외적 학술평가 (Art and Science Revaluation on Literary Outwards of Kim SaKat related with Gossi Cave in Youngworl)

  • 소대화
    • 동굴
    • /
    • 제79호
    • /
    • pp.17-30
    • /
    • 2007
  • 난고 김삿갓의 생애 :선생은 안동 김씨의 시조인 고건 개국공신 신평의 후예로 순조 7년(1807년) 3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회암리에서 부 안근과 모 함평 이씨 사이의 2남으로 출생하였고, 본명은 병연(炳淵)이고 자는 성심(性深) 호는 난고(蘭皐) 별호는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이다. 순조 11년(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을 때 조부 김익순이 선천부사로 있으면서 홍경래에게 항복, 역적으로 몰려 폐족처분을 받아 가족이 영월로 옮겨와 은둔생활을 하였다. 이러한 생활 속에서도 모친은 자식에게 조부의 사연을 감추고 글을 가르쳤으며, 20세 되던 해 영월 동헌에서 백일장에 응시하여 조부를 비판하는 글로 장원이 되었다. 그 후에 조부라는 사실을 알고 자책과 통한을 이기지 못하여 22세에 집을 나서 방랑생활을 하면서 서민들의 애환을 시로 읊어 서민문학의 큰 틀을 마련하였다. 1863년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에서 작고하여 그곳에 묘를 썼으며, 3년 후 둘째 아들 익균이 지금의 묘로 옮겨 모셨다. (난고선생 묘 옆에 서있는 안내문에서)

"개주"와 "군복"과 "융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ea Ju", "Goon Bok" and "Yoong Bok")

  • 임명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7
    • /
    • 1979
  • 1. The old Korean costume had two different kind of dress, one was a military uniform (Goon bok) for military only and the other was uniform (Yoongbok) for civilian and militarian. 2. The military uniform (Goonbok) were dressed under armour, was for war time. And the civilian and military uniform were dressed under Mo (Hat) and Po (Coat dress), was for War time or emergent case. 3. Armour were made of leather in ancient times but later they were made of metal. 4. In generally, armour is classified; 1) To protect neck 2) To protect shoulders and arms 3) To protect breast 4) To protect both legs 5) To protect hands 5. Armour and military uniform (Goonbok) for military only. at the time of three Nations (Ko-kuryo, Bakje. Silla) 1) Armour-a) Identified by found relics or ancient wall picture. b) They had improver! armour. c) Armour of three Nations were resembled each other. 2) Military uniform(Goonbok) a) The Jeogori reached to hip area was called Jangyoo. b) The pants were tight trousers. 6. Armour and military uniform (Goonbok) for military only at Koryo Dynasty. 1) They had improved armour like three nation's age. 2) They were made of iron. leather, paper or cloth 3) The color was white. puple. red. 4) Military uniform(Goonbok) a) Hat-(1) Banggak (2) Josamoja (3) Ibgak (4) Jakwan (5) Sabgak (6) Sumale (7) Jaragwan (8) Kummoja (9) Mubyunkwan (10) Pyungyunchek b) Dress-(l) Jayeisokade (2) Bosanghwa Gayendae (3) Hongbeja Rokrahansam (4) Jag- ongbok Hongeung (5) Jagongbok Jogeung (6) Kumyeisokdae (7) Bilapeja Rokrahansam (8) Jasupoto (9) Kumyei Honggung (10) Kumyei Dokuyeunsokdae (11) Bibosunghwa Dongokumdae (12) Bidaesuyei Kayeundae (13) Jasosulansam (14) Biyeiko (15) Chung-yei Dongsim Sokdae 7. Armour and military uniform of Lee Dynasty 1) Armour-a) the Helmets were attached with visor ar without visor, and later it was added the neck protecter. b) dresses were given various names according to the materials used. for example, Suiejakap or Kyungfunkap. 2) The military uniform (Goonbok) were composed by molip, Hyunchungsakpuja, Jundae, Soowhaja. 8. Military uniform (yoongbok) for civilian and militarian 1) The unifom was developped through Imjin war, Byungja war since the middle of Lee Dynasty. 2) The military uniform (Goonbok), (Yoongbok), armour were by the established dress reg-ulation of imperial ordinance dated April 8th, 1895 which falls 35th year of Kojong. the dress regulation was based upon the western uniform.

  • PDF

『침구극비초(鍼灸極秘抄)』 연구(硏究) (A Study on 『鍼灸極秘抄(Chimgu-kukbicho)』)

  • 박상영;오준호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20
    • /
    • 2012
  • Kim Deok-bang(金德邦)'s "Chimgu-kukbicho(鍼灸極秘抄)"(Secrets o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hasn't been known throughout Korea yet, let alone its existence. Kim Deok-bang was the person who was taken to Japan as a prison during the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he is known to have initiated Japan's noted doctor Nagada Tokuhon(長田德本), who is comparable to Huh Jun in Korea, into the acupunctural method. Nagada Tokuhon healed many patients with the unusual blood-drawing method, which was one of the very unfamiliar scenes in Japan at that time. "Chimgu-kukbicho" shows that the very blood-drawing method was used for not a few medical treatments. This aspect can be said to be an unprecedented point of the acupunctural method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eon Dynasty period as shown in "Chijong-jinam(治腫指南)" in our country, and from such a context, it is understood that the medical skills were widely distributed in Japan by Kim Deok-bang. This paper is going to lay a foundation for the argument hereafter related to this by including Provision 114 stating Kim, Deok-bang's acupunctural method like this.

덕수궁(경운궁)의 혼재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 - 대한제국시기 이후를 중심으로 - (Remixed Sense of Place in Deoksugung(Kyungungung) - Since After the Daehan Empire Era' -)

  • 한소영;조경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45-56
    • /
    • 2010
  • 본 연구는 덕수궁을 대한제국시기 전후를 기점으로 현재의 시민 중심의 공공성을 지향하는 '공원'의 성격을 띠는 장소로 변화하기까지 주체의 변화와 장소독해자의 해석에 따라 그 장소적 맥락과 장소성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시도이다. 결론적으로 덕수궁은 수난과 비애의 장소이기도 했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꾸준히 출구를 모색한 재기의 장소였다. 덕수궁은 임진왜란이나 청일전쟁과 같은 조선 왕조의 변란 때마다 군주가 잠시 이곳에 머물며 난리를 극복한 중요한 역사의 무대였으며, 더욱 중요하게는 한국사상 최초의 황제국인 대한제국의 시련과 희망이 교차한 황궁이었다. 이와 더불어 현재의 덕수궁은 경복궁이나 창덕궁과 달리 영역 자체가 임진왜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시각각 변해왔고 덕수궁 주변과의 끊임없이 영역이 변하면서 시대적 상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는 현재의 덕수궁의 외관으로 드러나는 모습보다도 훨씬 더 다양한 장소성이 혼재된 곳이다. 때문에 최근에 논의되기 시작한 덕수궁 복원 사업은 다른 어떤 궁들의 복원보다도 어려운 작업이며 정치적 이권을 넘어서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광서(匡西) 박진영(朴震英)의 사상적 토대 고찰 -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위시한 사승(師承)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Park jin-young[朴震英] - Mainly studied the relationship of Jung gu[鄭逑] -)

  • 김형태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235-252
    • /
    • 2014
  • 본 논문은 조선중기에 경상남도 함안을 기반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과 병자호란(丙子胡亂, 1636~1637) 및 이괄(李适)의 난(1624) 등 온갖 국난을 겪으면서 창의(倡義)하여 애국애민(愛國愛民)적 실천을 보여준 지식인 박진영의 사상적 토대를 살펴본 글이다. 따라서 본고는 박진영의 행적을 중심으로 그 사상적 토대에 초점을 맞추어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그가 대의명분(大義名分)에 뜻을 세우게 되었던 측면과 현실 참여의 측면 그리고 그의 달관(達觀)적 처세(處世) 등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아울러 정구를 중심으로 그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끼친 사승 관계와 연관 지어 이를 고찰하였다. 박진영은 임병(壬丙) 양난(兩難) 이후, 조선 사회에 대두된 존주(尊周)사상의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며, 대의명분을 입지의 근간으로 삼았던 스승 정구의 사상이 제자인 박진영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고, 이는 또다시 대의명분에 입지한 조선시대의 전형으로서 박진영이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구의 현실적 애민의식의 발로(發露)는 박진영이 국난의 어려움을 간과하지 않고, 창의(倡義)를 도모할 수 있었던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박진영은 유가적 사상에 기반을 두고 적절하게 처신했던 스승들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공명(功名)을 좇는 삶이 아닌, 시의에 따르는 삶을 영위했던 당대에 보기 드문 참지식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시기 합천지역의 의병 활동과 전투 (Military Activity and Combat in Hapcheon Area during the Imjin Invasion Period)

  • 곽낙현
    • 동양고전연구
    • /
    • 제70호
    • /
    • pp.257-301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진왜란 시기 합천지역의 의병활동과 합천지역의 전투를 조명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인홍은 합천, 김면은 고령에서 의병 창의를 하게 되었다. 정인홍은 지피지기의 리더십을, 김면은 조화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의병을 이끌고 일본군에 대항하였다. 둘째, 정인홍 의병군의 전투는 1차 무계전투, 사원동 복병전투, 초계 마진전투, 안언전투, 3차 성주성전투이다. 김면 의병군의 전투는 연강전투, 개산포전투, 2차 무계전투, 우척현전투, 지례전투, 사랑암전투이다. 정인홍 김면이 연합하여 싸운 전투는 1차 성주성전투, 2차 성주성전투이었다. 정유재란시기 정인홍은 경상우도의 군량을 책임지는 조도사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합천지역은 일본군이 전라도로 들어가는 진입로이자 수송로였다. 셋째, 명군의 참전과 역할은 일본군을 조선에서 몰아내고 요동을 방어하는 이이제이의 전술과 함께 일본군을 대항하는 견제 장치의 한방편이었다. 1593년(선조 26) 1월 이여송의 평양성 전투 승전 이후, 명군은 적극적인 전투보다는 강화협상을 통한 실리를 추구하였다. 실제적으로 진주성전투가 벌어졌을 때, 명군의 유정 부대는 1593년 6월 말에 사천병의 단병무예를 가지고 입성하였으나, 경략 송응창과 제독 이여송의 명령을 기다려야 한다는 이유로 참여하지 않았다. 넷째, 임진왜란 시기 조선은 일본군의 침략과 명군의 군량미 원조 등 전국토가 폐허로 참담한 피해를 입었지만, 각 지역의 의병과 관군이 협력하여 일본군을 물리쳤다. 경상우도 합천지역의 사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조선은 전쟁기간 중에 일본과의 강화와 전투의 두 가지 측면에서 전권을 행사하였던 명군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주체성을 내세워 일본군과 끝까지 싸우겠다는 항전의지를 보임으로써 민족적 자신감과 긍지를 잃지 않았다. 이러한 정신문화는 향보와 근왕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외세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했던 지역공동체의 하나 된 마음과 정신이 승화된 민족의 저항정신이었다.

조선 중·후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 염정하;조우현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171-187
    • /
    • 2013
  • This is a study on the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which was the center of Five Military Camp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by document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Hunryeondogam was comprised of the high-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Hunryeondaejang, Junggun, Cheonchong, Byeoljang and Gukbyeoljang, the mid and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Pachong, Chogwa and soldiers. And the military costume of Hunryeondogam included Gapju, Yoongbok and Goonbok for military officers and all kinds of military uniforms for soldiers. Imjin war and ritualized military ceremonies in the era of peace had influence on the military costume. Officers, for example, were wearing Dangap and soldiers were wearing Cheolgap or Pigap that depended on the branch of the army. Politically, king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had organized military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ir royal authority. I think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seen by observing the military costume system.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cloth material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terns of Goonbok,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decoration of Jeonri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Yodae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identity and the rank.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these thing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social causes, such as frequent trips of the King and stable society. This cause could be influence on substitute Yoongbok with Goonbok that from the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to the high ranking military officers of Hunryeondogam. The societal change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re reflected on the military costumes system of Hunryeondogam.

조선 중.후기 안경집의 소재에 따른 색채 특성 (Color Analysis of Glasses Cases of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by Materials)

  • 이영경;김영인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35-4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the history of glasses and their cases used in the middle and late of Joseon Dynasty and identify inherent quality of our traditional glasses cases through color analyses of glasses cases' material and shape. While theoretical examin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s of glasses and their cases that firstly appeared in around Japanese Invasion (Imjin war) of Korea in 1592, practical analyses were demonstrated on photos of glasses cases used in the middle and late of Joseon Dynasty collected from both museum pieces and the internet which were grouped into wood, fabric, paper, sharkskin, hawksbill and cow's horn in accordance with their materials. 623 color samples were abstracted from collected 159 glasses cases and quantity analyses on each material were performed respectively. Abstracted representative colors based on the result of color analyses were classified into the main materials and accessories' color scheme.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both Yellow and Yellow Red were mostly used in main materials. In Fabric case's colors were widely used in embroidery and in animal matter material cases such as sharkskin, hawksbill and cow's horn, which can be used as itself or dyed, Green Yellow shown in high frequency. Secondly, accessories were analyzed into similarity coloration with main materials. From this finding, it turns out that our traditional cases have characteristic of similarity coloration between main materials and accessories. Red Purple and Purple Blue in high frequency in accessories used as an accent color.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hue and tone, while the middle and low value colors shown in very high frequency, the high-chroma colors hardly shown.

18·19세기 한양도성(漢陽都城) 안 궁묘(宮廟)의 입지와 위상 (The Location and Topology of the 'Gungmyo' in Hanyang Doseong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y)

  • 송인호;조은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6호
    • /
    • pp.7-18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location and topology of the 'Gungmyo(宮廟)' and in Hanyang Doseong(漢陽都城) during 18th and 19th century. Based on the changes of royal processions(行幸) which had been done between the Gungmyo and the Palace, the Gungmyo can be a barometer of cognition where the city center was. Hanyang Doseong was the the capital of Joseon(朝鮮) which had established by king Taejo(太祖). The city had been organized with Gyeongbok-gung(景福宮) as the center. However, after the Imjin War(1592), Gyeongbok-gung was destroyed and urban space was reorganized with Changduk-gung(昌德宮) which reconstructed first. As most kings in late Joseon dynasty had mainly stayed in Changduk-gung, lots of Gungmyos where a memorial service for king's relatives had been held were established in and around the palace and the frequency of visiting the Gungmyo varied by political purpose.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Gungmyo and the rounte of parade were important to impress on the center of urban space. In 18th century, lots of King's procession had been done with Changduk-gung as departure point. The king used to start from Donwha-mun(敦化門), and the routes included main street around Changduk-gung. It shows that the urban center focused on the east of the c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king lived in Kyeonghee-gung(慶熙宮), a secondary palace in late Joseon dynasty, the parade started from Hungwha-mun(興化門) and the urban center was expended to the west. Since Gyeongbok-gung had reconstructed in 1865, recognition scheme of urban space had changed from Changduk-gung to Gyeongbok-gung as the center. When the Gungmyo relocated western side of Gyeongbok-gung, spatial proximity of the palace and relation with facilities around downtown fed into changing the route of king's pa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