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조선 중·후기 훈련도감(訓鍊都監)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 Yum, Jung Ha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Cho, Woo Hyun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3.09.11
  • Accepted : 2013.11.22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which was the center of Five Military Camp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I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 of military costumes of Hunryeondogam by document research and positive research. The military organization of Hunryeondogam was comprised of the high-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Hunryeondaejang, Junggun, Cheonchong, Byeoljang and Gukbyeoljang, the mid and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such as Pachong, Chogwa and soldiers. And the military costume of Hunryeondogam included Gapju, Yoongbok and Goonbok for military officers and all kinds of military uniforms for soldiers. Imjin war and ritualized military ceremonies in the era of peace had influence on the military costume. Officers, for example, were wearing Dangap and soldiers were wearing Cheolgap or Pigap that depended on the branch of the army. Politically, king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had organized military organizations to strengthen their royal authority. I think that the policy can be effectively seen by observing the military costume system.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cloth material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terns of Goonbok, the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decoration of Jeonrip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Yodae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identity and the rank.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these things could have been affected by social causes, such as frequent trips of the King and stable society. This cause could be influence on substitute Yoongbok with Goonbok that from the low ranking military officers to the high ranking military officers of Hunryeondogam. The societal changes in the mid and the late Joseon dynasty are reflected on the military costumes system of Hunryeondogam.

Keywords

References

  1. 金東旭(1973), 增補韓國服飾史硏究, 서울: 亞細亞文化社, p. 316.
  2. 正祖實錄(1791), 卷三十二, 正祖十五年一月十四日(己丑)
  3. (己丑)正祖實錄(1793), 卷三十八, 正祖十七年冬十月八日(戊辰)
  4. 純祖實錄(1834), 卷三十四, 純祖三十四年四月二十九日(甲子)
  5. 大典通編(1785), 卷之三, 禮典 儀章.
  6. 大典會通(1865), 卷之三, 禮典儀章.
  7. 茶山詩文集(1936), 第九卷文集議公服議.
  8. 任明美(1979), 介胄와 軍服과 戎服에 관한 硏究, 韓國衣類學會誌, 3(1), pp. 31-47.
  9. 金華善(1985), 우리나라 軍服史의 考察,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金正子(1986), 韓國軍服의 變遷硏究, 대한가정학회지, 24(4), pp. 27-50.
  11. 金正子(1996), 韓國軍服의 變遷史 硏究: 戰鬪服을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국방군사연구소 (1997), 韓國의 軍服飾發達史1 古代-獨立運動期, 서울: 國防軍史硏究所.
  13. 박가영, 이은주 (2004), 정조시대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pp. 129-143.
  14. 정혜경 (1978), 李朝時代의 軍服에 관하여: 具軍服을 中心으로, 硏究論叢, 8(-), pp. 347-359.
  15. 이봉숙 (1983), 답호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姜淳弟(1995), 軍服冠帽에 관한 硏究: 戰笠(氈笠)의 수용.발전.쇠퇴의 과정을 중심으로, 學藝誌, 4, pp. 129-148.
  17. 권오선 (2002), 조선 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최영로 (2009), 조선시대의 軍服에 관한 연구: 具軍服을 중심으로, 學藝誌, 16, pp. 35-49.
  20. 변지연 (2007),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금종숙 (2011), 朝鮮時代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白英子(1985), 우리나라 鹵簿儀衛에 관한 硏究: 儀仗, 儀禮服의 制度및 그 象徵性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혜영 (2002), 어가행렬에 나타난 의장병의 복식에 관한 연구: 정조의 화성행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김경미 (2009), 조선시대 군례 의식의 복식 분석과 장면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미숙, 남경미 (2009), 경기도박물관 소장 憲宗嘉禮陳賀契屛의 군복류에 관한 연구, 學藝誌, 16, pp. 104-142.
  26. 徐希媛(1995), 철릭의 조형성을 활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양승옥 (2001),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현정, 조오순, 김여숙 (2007), 심의와 철릭을 활용한 나이트가운 개발에 관한 연구, 服飾, 57(6), pp. 1-16.
  29. 김월계 (2009), 답호를 응용한 여성용 코트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9(4), pp. 19-30.
  30. 박선영 (2010), 16세기 갑옷을 응용한 패션 디자인, 한국디자인포럼, 26, pp. 57-66.
  31. 박가영 (2012), 관왕묘 의례 복식의 변천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服飾, 62(4), pp. 32-45.
  32. 趙又玄(2012), 國賓訪韓환영식의 傳統儀仗隊服飾, 아시아民族造形學報, 11, pp. 93-119.
  33. 正祖實錄(1793), 卷三十七, 正祖十七年一月二十五日(己未)
  34. 正祖實錄(1793), 卷三十八, 正祖十七年十月二十一日(辛巳)
  35. 車文燮(1996), 朝鮮時代軍事關係硏究, 서울 : 檀國大學校出版部, pp. 38-84.
  36. 김종수 (2003), 朝鮮後期中央軍制硏究: 訓鍊都監의 設立과 社會變動, 서울: 혜안, p. 13.
  37. 김종수 (2003), 朝鮮後期中央軍制硏究: 訓鍊都監의 設立과 社會變動, 서울: 혜안, pp. 71-74.
  38.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21-232.
  39. 김종수 (2003), 朝鮮後期中央軍制硏究: 訓鍊都監의 設立과 社會變動, 서울: 혜안, pp. 77-79.
  40. 宣祖實錄(1593), 卷四十三, 宣祖二 十六年十月六日(丙戌).
  41. 紀效新書(2011), 國防部 軍史編纂硏究所편, 서울: 國防部軍史編纂硏究所, p. 48.
  42. 김종수 (2003), 朝鮮後期中央軍制硏究: 訓鍊都監의 設立과 社會變動, 서울: 혜안, pp. 92-95.
  43. 崔錫鼎, 李世白, 申琓외 (1974), 典錄通考禮典.兵典, 法制處역, 서울: 法制處, pp. 268-269.
  44. 續大典(1746), 兵典京官職軍營衙門.
  45. 正祖實錄(1788), 卷二十五, 正祖十二年一月二十二日(乙酉).
  46. 純祖實錄(1802), 卷四, 純祖二年, 二月七日(戊申).
  47. 訓鍊都監(1801-1834), 訓局謄錄.
  48.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00-201.
  49. 訓鍊都監(1654), 訓局謄錄, 甲午二月二十六日.
  50. 肅宗實錄(1692), 卷二十四, 肅宗十八年七月十九日 (丙寅).
  51. 肅宗實錄(1692), 卷二十四, 肅宗十八年, 七月二十五日(壬申).
  52. 御營廳(1692), 御營廳擧動謄錄, 壬申七月二十五日.
  53.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36.
  54. 고려대학교 박물관 (2001), 조.의.사.속: 조선시대 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 박물관, p. 44.
  55.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157.
  56. 樂學軌範(1493), 定大業呈才儀物陶說.
  57. 박가영 (2003),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78-179.
  58. 박가영 (2008), 조선시대 갑주 유물의 감정을 위한 현황파악과 시대구분, 복식, 58(5), p. 171.
  59. 世宗實錄(1425), 卷二十八, 世宗七年四月一日(庚子).
  60.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277.
  61. 宣祖實錄(1593), 卷三十六, 宣祖二十六年三月十八日(癸酉).
  62. 宣祖實錄(1599), 卷白十六, 宣祖三十二年八月二十八日(甲辰).
  63. 思悼世子嘉禮都監儀軌班次圖(1744).
  64.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班次圖(1759).
  65. 憲宗孝定王后嘉禮都監儀軌班次圖(1845).
  66. 續大典(1746), 卷之三, 禮典儀章.
  67.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4), 名選中,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97.
  68.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6),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 대전: 문화재청, p. 192.
  69. 박가영, 이은주 (2004), 정조시대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pp. p. 132.
  70. 日省錄(1788). 正祖十二年八月十七日(丙午).
  71. 純祖實錄(1834) 三十四卷, 純祖三十四年, 四月二十九日(甲子).
  72. 純祖實錄(1834) 三十四卷, 純祖三十四年, 五月十六日(庚辰).
  73. 李圭景(19세기), 五洲衍文長箋散稿卷四十五笠制辨證說.
  74. 訓鍊都監(1747), 訓局謄錄, 卷三十, 丁卯四月十八日
  75. 訓鍊都監(1864-1895), 訓局總要, 扈衛字內.
  76. 訓鍊都監(1628-1881), 訓局謄錄.
  77. 訓鍊都監(연대미상), 訓局謄鈔.
  78. 備邊司(1717), 備邊司謄錄, 丁酉二月初十日.
  79. 經國大典(1485), 卷之三, 禮典儀章.
  80. 純祖實錄(1834), 卷三十四, 五月十六日, 庚辰. "動駕時領軍大將服色之有異於城內外者, 終涉斑駁, 自今京擧動時, 亦爲一體軍服."
  81. 大典通編(1785), 卷之三, 禮典儀章.
  82. 大典會通(1865), 卷之三, 禮典儀章.
  83.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92.
  84.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44.
  85. 한영우 (2001), 正祖大王華城幸行班次圖, 서울: 효형출판.
  86.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16.
  87. 純祖進饌儀軌(1829), 服飾圖.
  88. 純祖進爵儀軌(1828), 服飾圖
  89. 憲宗進饌儀軌(1848), 服飾圖
  90.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p. 218.
  91. 李裕元(1871), 林下筆記, 卷二十八春明逸史.
  92. 금종숙 (2011), 朝鮮時代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2-127.
  93.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6-239.
  94. 금종숙 (2011), 朝鮮時代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4.
  95. 금종숙 (2011), 朝鮮時代철릭[帖裏],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2.
  96. 변지연 (2007),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3.
  97. 宣祖實錄(1594), 卷五十四, 宣祖二十七年, 八月三日 (戊申).
  98. 訓鍊都監(1616), 訓局謄錄, 丙寅七月初三日.
  99.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 311.
  100.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74.
  1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별무사", 자료검색일 2013. 6. 10, http://encykorea.aks.ac.kr/ Contents/Index
  102.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36.
  103. 李德懋, 朴齊家, 白東修(1790), 국역 무예도보통지, 김위현 역, 서울: 민족문화사, p. 517.
  104. 朴宗慶(1813), 戎垣必備, 圖說.
  105. 肅宗實錄(1692), 卷二十四, 肅宗十八年七月二十三日(庚午).
  106.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7.
  107. 한국고전용어사전, "서자지", 자료검색일 2013. 6. 10, http://terms,naver,com/entry,nhn?cid=85&docId=100159&mobile&categoryId=2644
  108. 김정자 (1998), 한국군복의 변천사 연구, 서울: 민속원, pp. 307-312.
  109. 박가영, 이은주 (2004), 정조시대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p. 136.
  110.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21-232.
  111.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40.
  112. 承政院(1666), 承政院日記, 四月三十日庚辰.
  113. 承政院(1709), 承政院日記, 二月二十九日, 庚午.
  114. 仁祖莊烈王后嘉禮都監儀軌(1638), 班次圖.
  115. 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1681), 班次圖.
  116. 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1759), 班次圖.
  117. 李德懋, 朴齊家, 白東修(1790), 국역 무예도보통지, 김위현 역, 서울: 민족문화사, p. 515.
  118. 備邊司(1703), 備邊司謄錄, 六月六日.
  119. 備邊司(1786), 備邊司謄錄, 二十六日.
  120. 中宗實錄(1530), 卷六十七, 中宗二十午年, 三月十八日(戊申).
  121. 박가영, 이은주 (2004), 정조시대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p. 137.
  122. 徐榮輔, 沈象奎(1808), (國譯)만기요람: 군정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36-240.
  123. 부산박물관 (2012), 임진왜란, 부산: 부산박물관, p. 26.
  124. 부산박물관 (2012), 임진왜란, 부산: 부산박물관, p. 24
  125. 두산백과사전, "뇌자", 자료검색일 2013. 6. 30, http://www.doopedia.co.kr/ 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6212
  126. 한국고전용어사전 "회자수", 자료검색일 2013. 6. 3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9506&cid=85&categoryId=2644

Cited by

  1. A Study of Official Hats Shown on Shaman's Costumes of Seoul Village Gut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364
  2. A Fundamental Study of the Armors of the Missionsmuseum St. Ottilien in Germany vol.65, pp.3, 2015, https://doi.org/10.7233/jksc.2015.65.3.076
  3. A Study on the Ceremonial Dress of the Joseon Wangjo Sillok “Bongansik (enshrinement ceremony)” in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vol.70, pp.1, 2020, https://doi.org/10.7233/jksc.2020.70.1.059